신증후근성출혈열(유행성출혈열)은 Bunyaviridae과에 속하는 Hantaan Virus, Seoul Virus등에 의한 급성열성감염증으로 발열, 출혈, 신장병변이 특징이다. 늦가을(10∼11월)과 늦봄(5∼6월) 건조기에 들쥐의 배설물이 건조되면서 호흡기를 통해 전파되며, 잠복기는 평균 2∼3주 정도이다. 환자를 격리할 필요는 없다. 감염 후에는 항체가 생기고 항체는 수십년 후까지 유지되어 재감염 되지는 않는다. 우리나라에서는 1951년 이후 매년 수백명 정도의 환자가 신고되고 있고 치명률도 7%정도로 높다
★쯔쯔가무시병이란?
발열기(3∼5일): 갑자기 시작하는 발열, 권태감, 심한 두통, 얼굴과 몸통의 발적, 결막 충혈, 출혈반, 혈소판 감소, 단백뇨 등이 나타난다.
저혈압기(1∼3일): 전신증상이 지속되고, 불안해 보이며, 심하면 착란, 섬망, 혼수 등 쇼크 증상을 보이며, 심한 단백뇨, 빈뇨가 나타나고, 혈소판 감소, 백혈구 증다,. 혈뇨, 토혈, Hematocrit 상승 등을 볼 수 있다.
핍뇨기(3∼5일): 오심, 구토, 핍뇨, 질소혈증, 전해질 이상(K 증가), 고혈압, 때로는 뇌부종, 폐수종도 볼 수 있으며, 반상 출혈, 자반, 위장관 출혈이 현저해진다.
이뇨기(7∼14일): 신기능이 회복되는 시기로 다량의 배뇨가 있으며, 심한 탈수, 쇼크, 폐합병증으로 사망할 수 있다.
회복기(1∼2개월): 가끔 다뇨가 지속되거나 야뇨, 빈혈 증상이 있다.
관목숲에서 살고 있는 매개충인 진드기(Leptotrombidium)의 유충이 그 지역을 지나가던 사람의 피부에 우연히 부착하게 되면 조직액을 흡인하게 된다. 이때 O. tsutsugamushi는 인체내로 들어가서 그 부위에서 증식하면서 구진이 생기고 이어 궤양이 된 다음에 가피가 되고 건조된다(eschar 형성). 쯔쯔가무시의 기생숙주는 집쥐(Micorotus montebelli, Apodemus specious)이며 이외에 들쥐, 들새등의 야생설치류가 자연계 내의 보유동물이다. 쯔쯔가무시 또는 아까무시(Trombicula akamushi)라 불리는 매개곤충은 애벌레만이 흡혈성으로 감염원이 된다. R. rickettsii, R. conori, O. tsutsugamushi 및 R. akari는 알을 통해서 자손에게 전달(transovarian transmission)하기 때문에 리켓치아의 매개자이며 보유자이다. 감염되면 10-12일의 잠복기를 거치게 된다
1∼2주의 잠복기를 거쳐서 고열, 오한, 두통, 피부 발진 및 림프절 비대가 나타나며, 피부 발진은 발병 후 5∼8일경에 몸통에 주로 생기고, 간비종대, 결막 충혈 등이 나타날 수 있다. 진드기가 문 곳에 피부 궤양이나 가피(eschar)형성을 볼 수 있다. 기관지염, 간질성 폐렴, 심근염이 생길 수도 있으며 수막염 증세를 나타내기도 한다. 일부 환자는 가피(진드기에 물린 상처)가 없거나, 열이 나는 기간이 짧고 피부발진이 더욱 많이 나타나기도 한다
요즘 쯔쯔가무시병이 성행 한다는 언론 보도가 있었습니다.
또한 유행성 출혈열,렙토스피아등 들쥐때문에 생기는 대표적 병들입니다.
모두 최고 사망에까지 이르는 무서운 병들입니다.
저수지 부근에 특히 들쥐들이 많습니다.
저수지 부근에 들쥐가 많아지는 이유는 바로 낚시인들이 버리는 음식물 쓰레기에도 원인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몇년전 구미 장천 초곡지에 출조를 했을때 정말 아찔한 경험을 했습니다.
밤12시가 넘어 야식으로 컵라면을 먹고 있었는대 찌가 움직여 라면을 옆에
내려놓고 찌를 응시하다가 다시 라면을 먹을려고 라면을 쳐다보니 들쥐 두마리가 컵라면 용기에 붙어서 라면을 먹고 있는것이 아닙니까...
제가 봤으니 다행이지 그 광경을 보지 못했다면 저는 라면을 다시 먹었을 것입니다.
그리고 콩을 들쥐에게 뺏앗긴 경험은 다른분들도 있을것이라 생각됩니다.
음식물은 분해가 잘되기 때문에 버려도 금방 없어질 것이라고 생각 하시지만
게절에 관계없이 분해되기 전에 들쥐 또는 고양이에 먹이가 됩니다.
땅을 파서 묻어도 마찬가지라고 생각합니다.
음식물 쓰레기는 번거롭고 귀찮더라도 반드시 버리지 말고 가지고 와야
될것이라 생각합니다.
저도 그냥 버렸었는데 이제부턴 반드시 가지고 가도록 하겠습니다.
그리고 가능하면 낚시용품은 땅바닥에 두지말도록 하고 의자없이 바닥에
그냥 앉는것도 절대로 하지 말아야 하겠습니다.
작년 신문보도에 "쯔쯔가무시"에 걸리는 사람의 49%가 낚시꾼이라는 보도가 나왔습니다.
절대 저수지 주변 흙바닥에 그냥 앉지 마십다!!
역시나 안전과 건강이 제일 아니겠습니까??
다른 님들도... 장기적으로 건강 챙기시면서 낚시 다니세요... ^^
겨울동안 저도 관리좀 해야겠네요...
무서운 병입니다.
꼭 감기증상이 우려 되신다면 약간의 의심을 가져 보심이 좋을듯 싶네요
아이고 큰일날쁜 했네요 쯔쯔가무시병 쉽게생각하시면 크일납니다
제가아는 시골에선배님은 합병증으로 5개월 고생하는것을 보았습니다.
밤낚시후에 몸이좀 이상하다 싶으면 빨리병원으로 가는것이 최고일것 같습니다.
월님들요 우짜던동 건강이 최곱니더 건강유히 하시길요~~~
쥐의배설물이나 잔디밭이나 아무데나 않지마세요 예전엔 이병에 걸리면 죽는사람도
여렇명 있었답니다 지금도 걸리면 1주일정도 고생하셔야 합니다
낚시를 좋아하시는 우리 횐님들은 특히 조심하셔야합니다 자주 야회에서 활동하무로
조심하셔야 합니다 즐낚요...
첨 듣는 병이네요...
어제 낚시하고있는데 쥐 *끼가 왔다갔다 하길래 받침대로 먼 세상으로 보내고 기분이찜찜하여 철수하였는데
조심해야겠네요. 모기보다 더 무서운 놈이군요. 건강조심 하시고 즐거운 시간 되세요.
★쯔쯔가무시병이란?
발열기(3∼5일): 갑자기 시작하는 발열, 권태감, 심한 두통, 얼굴과 몸통의 발적, 결막 충혈, 출혈반, 혈소판 감소, 단백뇨 등이 나타난다.
저혈압기(1∼3일): 전신증상이 지속되고, 불안해 보이며, 심하면 착란, 섬망, 혼수 등 쇼크 증상을 보이며, 심한 단백뇨, 빈뇨가 나타나고, 혈소판 감소, 백혈구 증다,. 혈뇨, 토혈, Hematocrit 상승 등을 볼 수 있다.
핍뇨기(3∼5일): 오심, 구토, 핍뇨, 질소혈증, 전해질 이상(K 증가), 고혈압, 때로는 뇌부종, 폐수종도 볼 수 있으며, 반상 출혈, 자반, 위장관 출혈이 현저해진다.
이뇨기(7∼14일): 신기능이 회복되는 시기로 다량의 배뇨가 있으며, 심한 탈수, 쇼크, 폐합병증으로 사망할 수 있다.
회복기(1∼2개월): 가끔 다뇨가 지속되거나 야뇨, 빈혈 증상이 있다.
관목숲에서 살고 있는 매개충인 진드기(Leptotrombidium)의 유충이 그 지역을 지나가던 사람의 피부에 우연히 부착하게 되면 조직액을 흡인하게 된다. 이때 O. tsutsugamushi는 인체내로 들어가서 그 부위에서 증식하면서 구진이 생기고 이어 궤양이 된 다음에 가피가 되고 건조된다(eschar 형성). 쯔쯔가무시의 기생숙주는 집쥐(Micorotus montebelli, Apodemus specious)이며 이외에 들쥐, 들새등의 야생설치류가 자연계 내의 보유동물이다. 쯔쯔가무시 또는 아까무시(Trombicula akamushi)라 불리는 매개곤충은 애벌레만이 흡혈성으로 감염원이 된다. R. rickettsii, R. conori, O. tsutsugamushi 및 R. akari는 알을 통해서 자손에게 전달(transovarian transmission)하기 때문에 리켓치아의 매개자이며 보유자이다. 감염되면 10-12일의 잠복기를 거치게 된다
1∼2주의 잠복기를 거쳐서 고열, 오한, 두통, 피부 발진 및 림프절 비대가 나타나며, 피부 발진은 발병 후 5∼8일경에 몸통에 주로 생기고, 간비종대, 결막 충혈 등이 나타날 수 있다. 진드기가 문 곳에 피부 궤양이나 가피(eschar)형성을 볼 수 있다. 기관지염, 간질성 폐렴, 심근염이 생길 수도 있으며 수막염 증세를 나타내기도 한다. 일부 환자는 가피(진드기에 물린 상처)가 없거나, 열이 나는 기간이 짧고 피부발진이 더욱 많이 나타나기도 한다
요즘 쯔쯔가무시병이 성행 한다는 언론 보도가 있었습니다.
또한 유행성 출혈열,렙토스피아등 들쥐때문에 생기는 대표적 병들입니다.
모두 최고 사망에까지 이르는 무서운 병들입니다.
저수지 부근에 특히 들쥐들이 많습니다.
저수지 부근에 들쥐가 많아지는 이유는 바로 낚시인들이 버리는 음식물 쓰레기에도 원인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몇년전 구미 장천 초곡지에 출조를 했을때 정말 아찔한 경험을 했습니다.
밤12시가 넘어 야식으로 컵라면을 먹고 있었는대 찌가 움직여 라면을 옆에
내려놓고 찌를 응시하다가 다시 라면을 먹을려고 라면을 쳐다보니 들쥐 두마리가 컵라면 용기에 붙어서 라면을 먹고 있는것이 아닙니까...
제가 봤으니 다행이지 그 광경을 보지 못했다면 저는 라면을 다시 먹었을 것입니다.
그리고 콩을 들쥐에게 뺏앗긴 경험은 다른분들도 있을것이라 생각됩니다.
음식물은 분해가 잘되기 때문에 버려도 금방 없어질 것이라고 생각 하시지만
게절에 관계없이 분해되기 전에 들쥐 또는 고양이에 먹이가 됩니다.
땅을 파서 묻어도 마찬가지라고 생각합니다.
음식물 쓰레기는 번거롭고 귀찮더라도 반드시 버리지 말고 가지고 와야
될것이라 생각합니다.
저도 그냥 버렸었는데 이제부턴 반드시 가지고 가도록 하겠습니다.
그리고 가능하면 낚시용품은 땅바닥에 두지말도록 하고 의자없이 바닥에
그냥 앉는것도 절대로 하지 말아야 하겠습니다.
작년 신문보도에 "쯔쯔가무시"에 걸리는 사람의 49%가 낚시꾼이라는 보도가 나왔습니다.
절대 저수지 주변 흙바닥에 그냥 앉지 마십다!!
가까운 보건소에 문의 하시어 예방주사를 맞으시기 바랍니다.
1년에 걸처서 여러번 나누어 맞고 평생이 보장됩니다.
야외활동이 많은 우리 회원님들 현재 보건소에서 실행중이니
예방주사를 꼭 맞으시기바랍니다.
추천 한방 쏩니다~ ㅎㅎ
풀밭에 자리펴고 앉으시고
옷벗어 풀밭에 두시면 안된다는거죠
유행성 출혈열도 무서운거 아시죠
항상 안전조행들 하시고 건강 하세요
오직대물님의 자상하신 답변에 한방 찌고 턴~~~합니데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