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층/내림에서 편납을 사용하는 이유는 수심층을 바꾸어가며, 공략층의 변화를 주기위한 필수채비입니다.
찌의 교환과 함께 편납의 가감은 수시로 확인해가면서 하는 낚시입니다.
편납을 사용함에 있어 편납홀더를 사용하는 경우와 간결한 채비를 위해 원줄에 바로 감는 방법이 있습니다.
언급하신대로 손상문제가 있을수 있는데 편납홀더의 양끝단의 높이차를 기준으로 하는게 원칙이며
편납의 처음감을때와 마지막부분으로 갈수로 조금은 작게, 사다리꼴식으로 감고 마무리를 잘 해주어야 합니다.
홀더에도 길이가 긴것과 잛은것등 종류가 다양합니다.
또 고정식 홀더와 유동식 홀더가 있는데, 붕어의 입질에서 봉돌의 무게를 제하자는 의도로 유동식을 사용하는데,
장단점이 다 있습니다.
하지만 중요한것은 편납의 양이 한쪽에 몰리게 되면, 줄꼬임등 채비의 트러블이 생깁니다.
채비는 일단 간결하여야 하며, 불필요한 부분은 과감히 없애는것 또한 바람직하다 하겠네요....
편납의 분할은 저수온기의 하우스낚시에서 가변분납채비로 사용할때 쓰입니다.
유동식 편납채비을 메인으로 해서 멈춤고무로 유격을 준 1차 편납홀더부분이 있고,
붕어의 활성도에 따라 편납의 위치를 자유자재로 조정하여 목줄과의 단차를 직접 조절할수 있습니다.
보통 분할정도는 좁살봉돌채비와 마찬가지로 8:2정도로 나누시면 됩니다.
이 채비의 장점은 찌에서 편납홀더까지는 원줄의 텐션을 팽팽하게 유지하지만 고리봉돌을 사용한
2차 편납부분에서는 긴장감을 다소 늦춘 상태를 유지해줄수 있다는 점입니다.
붕어로 하여금 이질감을 적게 주면서도, 챔질시의 정확도를 높여주는
그러나 별로 추천드리고 싶지는 않네요, 바닥낚시처럼의 봉돌의 무게가 바닥권이 아니라 떠있는 상태라서
무게의 분산을 주어 조금은 예민한 입질을 파악하고자 함이지만, 차라리 유동편납으로 봉돌에서 부터
다소 자유로운 단순한 채비가 더 좋은것 같다는 생각입니다.
분활하여 편납을 사용하는 경우는 바닥낚시의 패턴을 조금 강조한 부분인듯 하구여
중층/내림기법에서는 될수 있음 채비의 간결이 더 중요한것 같습니다.
분활시에는 80%정도를 윗부분에 단차를 두고 10~20%정도를 밑부분에 2개의 홀더의 사용이나
두번째것은 고리봉돌이나 조개봉돌 사용하면 됩니다. ( 내림보다는 거의 바닥패턴 )
전체적으로 팽팽하지 못한 부분이 오히려 찌의 반응에 약할수 있는것 같기도 합니다.
편납을 찌쪽으로 이동한다는 의미는 목줄단차를 크게 하는것과 같은것이고
당연히 수직입수는 좋아질것 같아 보입니다. 수직입수된 채비가 결코 좋은것만은 아닙니다.
중층권으로 올라올수록 다소 채비가 누여지는게 오히려 빠른 입질을 보일때도 있으니..
찌의 교환과 함께 편납의 가감은 수시로 확인해가면서 하는 낚시입니다.
편납을 사용함에 있어 편납홀더를 사용하는 경우와 간결한 채비를 위해 원줄에 바로 감는 방법이 있습니다.
언급하신대로 손상문제가 있을수 있는데 편납홀더의 양끝단의 높이차를 기준으로 하는게 원칙이며
편납의 처음감을때와 마지막부분으로 갈수로 조금은 작게, 사다리꼴식으로 감고 마무리를 잘 해주어야 합니다.
홀더에도 길이가 긴것과 잛은것등 종류가 다양합니다.
또 고정식 홀더와 유동식 홀더가 있는데, 붕어의 입질에서 봉돌의 무게를 제하자는 의도로 유동식을 사용하는데,
장단점이 다 있습니다.
하지만 중요한것은 편납의 양이 한쪽에 몰리게 되면, 줄꼬임등 채비의 트러블이 생깁니다.
채비는 일단 간결하여야 하며, 불필요한 부분은 과감히 없애는것 또한 바람직하다 하겠네요....
편납의 분할은 저수온기의 하우스낚시에서 가변분납채비로 사용할때 쓰입니다.
유동식 편납채비을 메인으로 해서 멈춤고무로 유격을 준 1차 편납홀더부분이 있고,
붕어의 활성도에 따라 편납의 위치를 자유자재로 조정하여 목줄과의 단차를 직접 조절할수 있습니다.
보통 분할정도는 좁살봉돌채비와 마찬가지로 8:2정도로 나누시면 됩니다.
이 채비의 장점은 찌에서 편납홀더까지는 원줄의 텐션을 팽팽하게 유지하지만 고리봉돌을 사용한
2차 편납부분에서는 긴장감을 다소 늦춘 상태를 유지해줄수 있다는 점입니다.
붕어로 하여금 이질감을 적게 주면서도, 챔질시의 정확도를 높여주는
그러나 별로 추천드리고 싶지는 않네요, 바닥낚시처럼의 봉돌의 무게가 바닥권이 아니라 떠있는 상태라서
무게의 분산을 주어 조금은 예민한 입질을 파악하고자 함이지만, 차라리 유동편납으로 봉돌에서 부터
다소 자유로운 단순한 채비가 더 좋은것 같다는 생각입니다.
분활하여 편납을 사용하는 경우는 바닥낚시의 패턴을 조금 강조한 부분인듯 하구여
중층/내림기법에서는 될수 있음 채비의 간결이 더 중요한것 같습니다.
분활시에는 80%정도를 윗부분에 단차를 두고 10~20%정도를 밑부분에 2개의 홀더의 사용이나
두번째것은 고리봉돌이나 조개봉돌 사용하면 됩니다. ( 내림보다는 거의 바닥패턴 )
전체적으로 팽팽하지 못한 부분이 오히려 찌의 반응에 약할수 있는것 같기도 합니다.
편납을 찌쪽으로 이동한다는 의미는 목줄단차를 크게 하는것과 같은것이고
당연히 수직입수는 좋아질것 같아 보입니다. 수직입수된 채비가 결코 좋은것만은 아닙니다.
중층권으로 올라올수록 다소 채비가 누여지는게 오히려 빠른 입질을 보일때도 있으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