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물낚시

· 생미끼 붕어 대물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질문/답변] 모노 목줄과 카본 목줄의 입질형태의 차이점이 궁금합니다

IP : 6234cb50bf4ec36 날짜 : 조회 : 5562 본문+댓글추천 : 0

안녕하세요 다름이 아니고 궁금한점이 잇어서 경험 많으신 조사님들 의견을 듣고싶습니다 .. 제가 베스터을 자주 출조하면서 옥수수 보다는 지렁이을 더 많이 쓰는 편이거든요 .. 오리지널 대물찌 부력 7호정도 나가는 찌에 무거운 수조 찌맟춤으로 주구창장 다녀습니다 ㅎㅎ 그때마다 지렁이 베스 입질은 찌올림이 없고 빨고 가는 입질이 거즘 10번이면 10번 모두 그랫습니다. 그러던 어느날 전전후 찌을 제가 바꿧습니다 다시 그 저수지가서 지렁이로 미끼을 끼우니 붕어 입질처럼 몸통까지 쭈욱 올리더군요 그래서 저는 아 찌가 좋아서 그러는갑다 하고 생각을 햇습니다 .. 그때당시 원줄 그랜드맥스 5호4호 짬뽕이엿구요 목줄은 모노 4호 엿습니다 바늘은 다이찌 대물바늘 3호엿구요 .. 모노목줄이 자꾸 퍼머 현상이 생겨서 고민 고민하다가 날도 추워지고 입질이 예민해저가는 시기라서 바늘도 2호로 내리고 모노목줄4호에서 카본목줄 그랜드맥스 2호로 다시 셋팅을 한후 그저수지에 또 룰루랄라 갓습니다 미끼도 지렁이 엿구요.. 그런데 다시 베스 입질에 올리는 입질은 없구 빠는 입질이 생기더군요.. 대체 이유가 무엇일까요? 경험 많으신 선배 조사님들 답변좀 시원하게 해주세요^^

1등! IP : d40ed9ed8632b89
전카본이든모노든쭉쭉올리던데요.
혹시찌맞춤문제아닐까요.
현장찌맞춤하시나요?
빠는입질은가벼운찌맞춤이된것같은데요.수심따라길이따라차이가심합니다.카본줄은현장찌맞춤은필수라고생각드네요.
추천 0

2등! IP : 3a57fffe5c8c1fb
부력7무거운찌맞춤= 대를많이필경우 잔챙이성화에 눈의피로가생김. 잔챙이짜증남. 모두다 걸러버리겠다 난 대물만 상대한다.라는 생각으로 무거운찌맞춤을 하는 대부분대물꾼들이 구사하는 방법.
모노줄.카본줄. = 정말 큰놈 안걸어본사람들이 사용하는 목줄. 정말큰놈 걸어보면 카본줄 텐션없어서 매듭부분 대부분 다 터져나감. 그런대 2호?를 썼다는건 원줄지킬려고 그런것 같은데요 원줄5.4호에 2호 목줄이면 제생각으로는 빨래줄원줄에 명주실목줄을 사용하는것과 같은 느낌이? 원줄5.4호에 카본줄을 고집하신다면 카본4호목줄를쓰시는것이 좋을듯 그랜드맥스면 좋은것 쓰시는대 원줄과목줄 같은홋수써도 인장력은 원줄이 길기때문에 터져나가는것은 목줄이 터져나감. 카본줄도 좋치만 그냥 합사 말아쓰심이 속편할듯.
바늘 = 3호도 작은대 2호를;;;;; 옥수수라하시면 4호. 새우 7~6 꼬리꿰기. 참붕어.지렁이.5호 등꿰기. 떡밥 3호

채비를 안전하게 다시셋팅하심이 좋으실듯 합니다.


배스는 올린다기보단 죄다 옆으로 아래로 찍~~~ 끌구가지요. 올린다하더라도 붕어처럼 스믈스믈 부드럽게올린다기보단 붕어잰챙이입질처럼 휙 들어올리구요. 아마도 그저수지에 다시가셔서 찌올림의 속도 형태를 다시파악하심이 좋을듯 합니다.
찌의 형태 = 고부력찌에 무거운찌맞춤일경우 고기가 입에 바늘을 넣는순간은 예신으로 느껴질수있지만 찌를 들어올리거나 하지않습니다. 고기가 입에 바늘을 넣고 움직여야 찌에 변화가 생기고요.
전천후찌로 바꿨썼다고 하셨는대 전천후찌라면 고부력이 아닐듯 싶내요. 대략 4~5호봉돌부력잡아먹는경우일것이고 7호부력잡아먹던 봉돌보단 4~5호부력의 봉돌을 들어올리기엔 그 저수지의 고기들이 편하지않았나 생각해봅니다. 그래서 찌가 솟았을것이고요.
저부력으로 갈수록 찌에움직임이 확연해집니다... 그러다가 내림.전층낚시로갈경우 너무 예민하기때문에 다대편성을못하고요.
참고하세요
추천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