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채비중 1인 입니다. 찌가 쑥 올라 오는 속도가 정점 찍을때까지 얼마나 걸리나요? 1초도 안걸리는 100프로 찬챙이나 잡어 입니다. 붕어 20cm만 되도 찌 올림 중후 합니다..
찌가 중후하게 올라 왔다면 정점찍은후 속으로 하나둘 센다음에 후킹...
저 같은 경우에는 익숙해져서 그런가.. 방채비에 밖에 붕어가 안잡히네요.. 그래서 더더욱 믿음이 가여 ㅎㅎㅎ 자신이 빨리 채비에 익숙해지셔야 합니다
정상적인 찌 움직임에서 입걸림이 안되고 채비를 무겁게 또는 가볍게 바꿔도 소용없을땐 거의 잔챙이 이기때문입니다.
물론 다른경우도 있겠지만 대부분 그렇습니다....
이경우 두가지 선택 방법이 있지요 잔챙이라도 잡으시려면 바늘을 작은걸로 쓰시구요(붕어바늘 4~5호 정도면 적당할겁니다) 아니면 잔챙이는 포기한다는 생각으로 포기하시고 작은고기 입질은 찌움직이는걸 보시면서 느낌으로 걸러내서 낚시를하시던지 하셔야 합니다.
그런데 만약 납자루가 때로 설쳐서 그렇다면 그건 4호에도 잘 안걸립니다. 납자루는 워낙에 입이 작아 거의 훅킹이 안되요 어차피 그건 잡으실 생각도 없으시겠지만 어찌되었던 상당히 피곤합니다.
이럴땐 방법 없죠 그냥 계속 밥넣어가며 붕어오길 기다리고 납자루 성화가 사라지길 기다려야죠.
그나마 떡밥을 뭘쓰시는지 궁금합니다만 중층에서 사용하는 포테이토계열의 미끼가 있다면 포테이토 계열로만 섞어서 쓰시면(글루텐두 포함입니다) 잡고기 성화가 조금은 덜해지지만 불행히도 이경우엔 토종보다도 떡이 많이 붙어요.
하여간 제가 아는 해결방법은 이정도가 전부네요...
다른 방법이 있다면 그건 다른분께 패쑤~~~~
^^
찌가 올라와서 정점에서 멈칫하거나 모두 올라와서 옆으로 끌고갈때 챔질을 해보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혹시 찌올림이 너무 빠르다면 붕어가 아닌 잡어일 가능성도 의심해 봐야겠죠.
봄기운이 좀 쌀쌀한데 즐거운 낚시 하세요^^
찌가 중후하게 올라 왔다면 정점찍은후 속으로 하나둘 센다음에 후킹...
저 같은 경우에는 익숙해져서 그런가.. 방채비에 밖에 붕어가 안잡히네요.. 그래서 더더욱 믿음이 가여 ㅎㅎㅎ 자신이 빨리 채비에 익숙해지셔야 합니다
저는 방랑자 채비 밑바늘 제거하고 뜬바늘만 사용중입니다.
방랑자 채비의 장점이 뜬바늘이어서 밑바늘이 뜬바늘 찌오름에 방해가 될것같아서이구요
성질이 급해 찌몸통까지 못기다립니다. 올라오다 잠시라도 주춤하면 챕니다.
방랑자 채비 특히 윗바늘 5치 이상만되도 올리는 입질 중후합니다.^^
대부분 올리다가 끌고가죠
첨엔 이 긴목줄에 이 어마어마한 사각이 있는데 올림 입질이 나올까 의구심이 들었는데
찌를 환상적으로 밀어주니 채비에 믿음이 가네요.
저수심 보다는 중수심(1m)이상 에서 확실히 찌오름이 좋았습니다.
물론 다른경우도 있겠지만 대부분 그렇습니다....
이경우 두가지 선택 방법이 있지요 잔챙이라도 잡으시려면 바늘을 작은걸로 쓰시구요(붕어바늘 4~5호 정도면 적당할겁니다) 아니면 잔챙이는 포기한다는 생각으로 포기하시고 작은고기 입질은 찌움직이는걸 보시면서 느낌으로 걸러내서 낚시를하시던지 하셔야 합니다.
그런데 만약 납자루가 때로 설쳐서 그렇다면 그건 4호에도 잘 안걸립니다. 납자루는 워낙에 입이 작아 거의 훅킹이 안되요 어차피 그건 잡으실 생각도 없으시겠지만 어찌되었던 상당히 피곤합니다.
이럴땐 방법 없죠 그냥 계속 밥넣어가며 붕어오길 기다리고 납자루 성화가 사라지길 기다려야죠.
그나마 떡밥을 뭘쓰시는지 궁금합니다만 중층에서 사용하는 포테이토계열의 미끼가 있다면 포테이토 계열로만 섞어서 쓰시면(글루텐두 포함입니다) 잡고기 성화가 조금은 덜해지지만 불행히도 이경우엔 토종보다도 떡이 많이 붙어요.
하여간 제가 아는 해결방법은 이정도가 전부네요...
다른 방법이 있다면 그건 다른분께 패쑤~~~~
갑니다^^
월척 조사님들 짱 입니다~~ 헛챔질 이유는 성질이 급해서 였습니다 ㅋ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