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물낚시

· 생미끼 붕어 대물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질문/답변] 새벽 3시~5시 사이에 꼭 한번 찌를 올리는 저수지...

IP : 0597b012d1005a8 날짜 : 조회 : 5098 본문+댓글추천 : 0

안녕하십니까 경산희나리입니다. 선배님들께 한가지 여쭈어볼 것이 있습니다. 제가 한번씩 찾아가는 저수지가 있습니다. 새벽 3~5시에는 어김없이 꼭 한번 찌를 밀어올려주는 저수지이죠.. 문제는 30.3의 문턱에 걸리느냐, 아니면 30.3을 아주 넘기느냐. 말 그대로 한번 밀어올리면 큰놈이 걸리는 저수지이지요.. 저수지 전체가 수심이 깊고 2.5칸대가 2미터 가까이 나오는 못입니다. 베스터도 아니고 잔챙이와 새우 참붕어 천지에 12시만 넘어가면 잔챙이와 참붕어는 온데간데 없고 한번 올리면 간혹 8치가 나오고 그 외엔 거의 월척이상이 나오는 곳입니다. 이 못의 특이한점은..상, 중, 하류 구분없이 새벽 3~5시가 되면 한번 밀어올린다는 점입니다... 수심이 아주 깊은곳에 안착시켰다면 모를까.. 입질오는 수심대가 수심 60,70cm ~ 2m권 중 오늘은 어느 수심대에서 밀어올릴지 모르는 로또 입질수심대입니다. 전체적인 저수지 모양은 바지모양(V자)에 상류든 하류든 구분이 없이 입질시간대는 새벽 3~5시입니다. 저수지 한중간의 수심은 물이 빠졌을때 측정해본결과 현재는 3~5미터가 넘구요... (양쪽 상류 골자리 한가운데 수심도 마찬가지 입니다. 양쪽골 상류도 발앞 급경사이고 마름과 솔풀이 군락져 있습니다.) 저수지의 크기는 약 4000평 정도 됩니다. 이 저수지의 고기는 도대체 어느 수심대를 따라서 도는것이며 초저녁에 입질을 받을려면 어떤 수심대에 채비를 넣는것이 좋을까요..? 새벽 3시에 수심 60~70CM 에서 올리는것을보니 종잡을수가 없습니다. 초저녁에 입질을 받은적이 거의 없는 제가 대편성을 잘못하고 있는 것인지.. (여태껏 십여회 도전해서 항상 얕은 수심부터 깊은수심까지 대편성을 모두 해봅니다.) 이런 타입의 저수지는 어떻게 공략을 해야하는지 모르겠습니다. 경험많으신 선배님들의 도움을 기다립니다. 이번주도 비조심하시고 출조하시는 분들은 안전출조 하시기 바랍니다.

1등! IP : 5184a457301ed1f
올해 상당한 조과를 올리시고, 노련하시기로 소문난 조사님께서 질문을 하시니...

초보인 저는 숨죽여서 올라올 답변들을 기다려 봅니다... 훌륭한 의견들을 참조하시어

올해 기록갱신 하시길 바랍니다.
추천 1

2등! IP : cb396bff31d06cd
올해 최고의 월척행진을하고계시는분께서..
질문을하시고..ㅎㅎㅎ
저도 답변이 궁금해지네요~

못마다 입질시간대가있다고 들은것같은데..
새벽에 무조건 올려준다는것만이라도 넘좋은못인것같네요..
동출해요~~~~~~~~~~~~~^^
추천 0

3등! IP : 0597b012d1005a8
소호강호님...다 헛소문입니다...

과찬해주셔서 민망합니다...^^;;

너무 부풀려져서.. 초짜 삽질하는 모습 들통날까봐 매일 숨어서 혼자다니고 있습니다.

소호강호님도 올 가을에 엄청난 대물로 기록경신 하셨으면 합니다..^^
추천 0

IP : cb396bff31d06cd
새벽에 무조껀 올려준다면서요(준척이상 월척)
나도 한마리 올리고싶퍼요~

가을시즌이되니..
바닥낚시가하고 싶네요~~~~~~~~~~
추천 0

IP : 0597b012d1005a8
작년에 저 못에서..음력날짜로 바로 내일부터 시즌마칠때까지 좋은녀석이 자주 나와서

오늘 가볼까 고민중입니다.

경산 붕어요정님.. 제가 말한 저못은 물 좀 더 빠지고 마름 조금만 더 삭으면 옥내림도 잘됩니다.

이슬내릴때 같이 가시죠..

아..그나저나 동출하면 밤새도록 삽질 안할려고 똥폼잡아야 되서 또 꽝인데...ㅠㅠ
추천 0

IP : 72d4948599e59ef
희나리님 죄송합니다...

앞으로는 초저녁에도 한번 올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ㅎㅎㅎㅎ

오늘 출조 하시는것 같은데....부럽습니다....ㅠㅠ 출조하시기전에 전화 한통 주세요...

지금은 주무실것 같아서 498잡는 꿈 꾸시라고 전화 안넣습니다....^______________^
추천 0

IP : 0656522c58d249c
참붕어와 새우가 엄청 많다면, 초저녂에는 입질이 거의 없다고 보는게 맞는 말일 겁니다.
제가 가는 저수지도 비슷한데...참붕어가 들어가고 새우가 가장 자리로 나오는 새벽에만 입질이 집중되더군요.
초저녂까지는 참붕어와 새우가 미끼를 다 갉아 먹어서 낚시하기도 힘들 정도입니다.^^
추천 0

IP : e3d4dae9ad5e3ed
저수지 마다 틀리지만...유형은 구분됩니다.

위의 경희님께서 질문하신 저수지는..

특별한 경우가 아니고는 위의 특징이 두드러지는 가장 큰 이유는...

수심대가 전반적으로 깊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수초가 아예 없다면..그래도 꾸준히 입질은 받는 날도 잇을것인데..

분명히 수초대가 계곡지보다는 많이 잇을겁니다.

물가로만 약간의 수초가 형성된것이 아니라.. 아마 중앙에도 많이 있을겁니다.

이런 곳은 늦가을이 기대되는 곳입니다.

초저녁 부터 갑자기 물안개가 팍 피어 오르는 날...( 가을에도 이런날은 몇번 없읍니다.)

2.5미터 이상 수심권에서도 초저녁에 밀어 올리는 경우가 잇읍니다.

잔챙이도 이런 날은 설치지 않읍니다.

한마디로 그 저수지의 최고 호황기는 아주 짧다고 하겟읍니다.

저는 새벽에 월척급이상 되는 붕어를 못 잡아 본지... 오래 되엇읍니다..

12시가 넘으면 잠때문에 낙시시를 해본적이 거의 없읍니다.

잡는 월척의 99.9%가 해지기 한두시간전에서 11시 이전입니다.


초저녁에 되는 저수지가 좋아욧~~!!
추천 1

IP : e3d4dae9ad5e3ed
작년 추석 연휴때...

위와 같은 저수지에서 혼자 낙시를 한일이 잇읍니다.

세상에나...

초저녁..8시에서 9시경 줄을 두번이나 뜯겻읍니다.

8치~9치는 60수... 그리고 까불다가 대물은 줄터지고..ㅎㅎ

방심은 금물..

그 저수지에서 수초가 가장 밀집되고 가장 얕은 연안과 만나 곳에서 작은 구멍안에 넣으세요...

달이 밝아지면 점점 더 작은 구멍으로요..ㅎㅎ
추천 0

IP : e14a22eadbbb0b4
어딘지 제가 가서 현장의 상황을 체크해봐야겠네요 ㅎㅎㅎㅎㅎㅎㅎ.......

말씀만 들어도 분위기 쥑입니다~~~~
추천 0

IP : 0597b012d1005a8
선배님들의 답변 감사합니다

물트림 선배님..오늘 가서 한수 걸고 오겠습니다..ㅎㅎ

쪼스님..말씀하신바와 같이 초저녁에는 미끼를 거의 강탈당합니다. 참붕어를 사용해보면 입질을 받기 쉬울까요..?
추천 0

IP : 5d9bd820e0cb23f
희나리님하고 저하고 실력차이가 점점 벌어지는것 같아 씁쓸합니다.
나름한다고 하는데 희나리님보구 난 아직 초짜구나...느꼈습니다.
암튼 언제 동출한번 합시다!!!
추천 0

IP : 000ee1fbcc6f996
희나리님! 초저녂은 새우나 참붕어나 뜯기는 것은 비슷하더군요~
또한 물트림님이 얘기하신 저수지의 특성과는 달리,
저의 경우는 수초 하나없는 맹탕지에, 새우와 버들치가 너무 많고 참붕어도 있는 곳인데...
저의 제일 긴대(4.8대)를 던져도 수심은 1m 될까말까 입니다. 물론 물도 맑지요.
그러니 달빛이 거의 없어도 초저녁 보다는 3~4시 사이 제일 조용한 시간에 얕은 곳에서 입질이 들어옵니다.

저의 경우는 참붕어나 버들치보다는 새우가 더 낳은 것 같았고...
특히, 꼬리서 부터 배쪽으로 꿰는 경우보다 머리꿰기를 하니까 미끼 뜯김이 덜하다는 것이였습니다.
새우를 꼬리부터 배쪽으로 해서 머리까지 꿰도 희한하게 새우머리만 뜯기는 경우가 많더군요.
하지만 등쪽에서 머리쪽으로 꿰니 좀 덜했습니다. 물론 새우꿰는 솜씨가 없어서인 탓도 있겠지만...

새우나 참붕어를 굵은 놈으로 12시경에 달아 던져 놓으세요~
추천 0

IP : 75e98c2e8064caf
반가버요 경산희나리님!

올해 30호 넘어 셨습니까?

전 자동빵 몇시에 입질 왔는지 몰라요.

그시간만 노리시고 다른시간 쉬세요. 그게 공략 법이겠네요
추천 0

IP : 68b2632e8a7f3c3
일반적인 계곡 일급수 v자 계곡지라면 수초가 거의 없거나 상류에 약간의 육초나 운좋으면 말풀 군락 몇군대쯤??
거기에 수몰나무 조금..정도 있을수도 있겠지요. 경험상 그런곳에서는 대부분 초저녁입질은 보기 힘들겠죠.
당연히 붕어의 은신처가 없으니 하류쪽 깊은곳에서 조금씩 조금씩 올라오다보니 입질시간대가 그렇게 늦어지지 싶습니다.
경험으론 그런 계곡지에서 하류쪽에서 일몰시간대에 대편성하면서 대물낚아 본적있습니다. 상류쪽에 앉을땐 늘
12시이후에나 입질을 볼수 있었습니다. 그나마 늘 같은시간대라도 꽝없이 입질 볼수 있는곳이니 좋은곳이지 싶네요~
추천 0

IP : 83f6442859aa8ff
질문과 답글에서 많이 배웁니다.
경산히나리님!
이런 곳에서는 쪼울만 하죠?
확신이 있는 곳은 자신감과 희망이 솟아납니다.
추천 0

IP : 9f8e5063548a223
중부 이북지방에 사는 저로서는 부럽기만 한 모습입니다
댓글 주~욱 정독 하면서 첨부터 끝까지 부러움만 한가득입니다
나만의 터는 고사하고 마음놓고 출조 할수 있는 대물터는 찾기 힘들지요
해서 아랫쪽으로 이사(?)를 할까 합니다
제가 가도 됩니까!?
추천 0

IP : 0597b012d1005a8
선배님들 많은 답변 감사합니다..^^

날씨때문인가..주말 조황이 그렇게 좋은편은 아니었네요

답글에 힘입어서 올해 꼭 큰놈 한번 잡아보겠습니다..^^
추천 0

IP : 781aa8df8fe8368
경산희나리님..

그 못의 공략법을 알려드리지요.


초저녁에 주무시고요...

.
.
3~5시 사이에 낚시를 하시면 됩니다.
꼭 3~5시 사이입니다.

그러고 5시가 넘으면 주무십시요.

텨텨. ==33333333

농입니다. ^^ ㅎㅎ

제가 아는 저수지.. 와 비슷하네요.
거긴 4시 땡입니다.
사람들과 얘기합니다.
그 저수지에서 날새는 사람 이해를 못하겠다고...
고기요? 4짜도 여러마리 보았지만..(다른 사람 잡은거)
4짜는 고기도 아닙니다.
산란기때 물위에 뛰어오른 붕어는 계측자 없어도 5짜입니다. ㅎㅎ
몇년째 갔고 4시에 입질 서너번 받아봤지만.. 다 터트렸습니다. ㅠ.ㅠ 걸리는게 많아서..
추천 0

IP : 781aa8df8fe8368
이 댓글로 5000점 넘었습니다. ㅎㅎ
만 5년만에 5천점입니다. ㅋㅋ
추천 0

IP : 4035194e025e08a
비슷한 경험담이네요
준 계곡지 .나올땐 30-35사이 붕어들이 쏟아지지만
그렇지 않을땐 입질도 보기 힘든곳 ..

말씀하신곳처럼 대박시기를 빼고는
꼭 한번씩 입질 보여주는곳 이었습니다
초저녁 입질이 없어 무너미 쪽 둔덕이 있길레 참붕어를 꿰 던져놨습니다
수로처럼 바닥이 파여 무넘이까지 이르고 그 수로양옆으로 둔덕이 울타리처럼 높았는데
그 둔덕에 .. 40쎈티짜리 찌 겨우서는 수위에
찌를 휙 .1미터 정도 끌고가더니 한참후 꼬물 꼬물 올라오더군요
그 둔덕에서만 30-35사이 일곱마리 잡았습니다 그날밤에만 ..
추천 0

IP : 2987ea10f61de3a
희나리님 그래도 입질시간대라도 파악하셧으니

적어도 그 소류지에선 꽝은 면하셧네여.

부럽사옵니다.
추천 0

IP : b1ac393135f96f8
작년인가 물빼기전에 청도 풍락지와 비슷하네요
제 경험상으론 메주콩에 꼭 새벽 3시 넘어야 입질 들어오더군요

바지 모양 저수지면 군위쪽? 인것 같기도 하고~

아무튼 수초대에 밑밥 적당히 뿌리시고(황토+찐보리)
너무 다대 편성은 지양하시고 4~6 대 정도로만 참 새 콩으로 수심 신경쓰지 말고
평일에 도전해 보시면 어떨까 싶네요 언젠가는 대물상면하겠지요
추천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