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물낚시

· 생미끼 붕어 대물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질문/답변] 어떤 입질인가요?

IP : 006ecbccdfdd8d7 날짜 : 조회 : 4488 본문+댓글추천 : 0

열심이 쪼으로 다니는 초보조사 입니다. 선배조사님들 알려주세요. 저 번주 밤낚시에 52대에 입질이 이상하여 글을 올립니다. 채비는 원줄 카본5호, 목줄케브라합사1.5호(15Cm), 바늘감성돔4호, 참붕어미끼 찌맞춤은 바늘빼고 주간캐미 밑부분(캐미꽂이 상단) 찌고무 돌출시켜서 밤낚시하는데 어신이 왔는데 케미까지 끌고 들어갔다가 다시 올려놓았다가를 반복하면서 계속 입질을 하더니 30분정도 하다가 사지리고 하는것을 2번 경험하였습니다. 바닥은 약간은 말음 삮은것이 바닥에 깔려있지만 바늘에 걸려 나오는것은 없었습니다. 베스터는 아니고 몇년전 5짜까지 출몰한 저수지 입니다. 이것이 과연 대물 입질인가요? 저의 채비나 찌맞춤에 문제가 있어서 찌를 못올려주는건가요? 월님들 즐거운 낚시하시고 어복 충만 하십시오...

1등! IP : a5446952f34fe59
어려운 질문입니다 ㅎㅎ 참붕어라고 꼭 대물붕어만 무는게 아니라고 봅니다.
새우,징거미,우렁이 입질이 옆으로 끌고가다가 수초속에 쳐박는경우도 허다합니다.
어신후 십분쯤 지나서 본신으로 이어지지 않는다면, 의심해봐야죠. 미끼확인해봐야한다는겁니다.
그리고 목줄이 너무길면 입질이 지져분해집니다. 사각지대가 그만큼 넓어진다는거에요.
저같은경우 목줄은 최대 10Cm ~8Cm로 갑니다. 활성도가 좋을때는 더 짧게가죠. 참고만하세요^^*
추천 1

2등! IP : 006ecbccdfdd8d7
질문 내용에 추가 합니다.
나중에 회수하여 미끼 확인 하니까
참붕어미끼가 그대로 있었습니다.
추천 0

3등! IP : 3503f0e31a9742c
징거미 이런거 일거 같습니다..

그리고 추가적으로 이건 순전히 제 개인적인 생각이니 참고만 하세요

목줄이 조금 길으신거 같아요

조금 짧게 메어보시는게 어떨지 생각해봅니다
추천 0

IP : 21fff9c587cb8bf
제경험으로 미루어본다면 대물 입질은 아닌것 같습니다.

징거미,물방게,동종 참붕어 등등 ......

월척급 이상의 붕어들은 대부분 예신을 한후 본신까지 그리 오래걸리지 않더라구요

대어들은 예신 후 본신으로 이어지는 시간이짧은것 같습니다.

물론 상황에 따라서 조금 달라질수 있겠지만

제가 상면했던 월척급 이상 사짜들은

예신과 함께 바로 본신으로 이어졌습니다.

또한 예신 후 본신으로 이어지긴 하는데

찌를 올리다 떨어트리고 다시 올리고 하는 입질또한

대부분 만족할만한 씨알은 아니었습니다.

제 경험상 결론은

대어들은 예신후 바로 본신이 오며

한마디로 찌올림에 거침이 없는? 요런 느낌이었습니다.

또,수심에 따라 대어들은 찌상승중에 옆으로 살짝 끄는 입질이 많았습니다.
추천 0

IP : ee4ebced10b0d0e
큰 붕어가 찌 미동도 없거나 1cm도 안되는 찌올림 한번으로 큰 미끼를 완전히 먹는 경우가 많은 편이긴 하나,
고작 참붕어하나 못먹어서 30분을 찔금거리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큰 붕어일수록 큰 미끼도 대부분 한방 흡입입니다.

대물낚시에서 깔짝대는 찌움직임 하나에도 매우 민감하긴 하나,
큰 대물형 입질은 아니니 그런 입질에는 크게 미련두지 마세요.^^

그런것들 대부분. 우렁이, 참게, 가재, 징거미, 물방개, 물장군 이런 녀석들이 범인입니다.
요런 녀석들이 1~2시간을 가지고 놀고 있는 와중에 붕어가 와서 물어주는 경우에
"붕어가 1~2시간을 조심스럽게 깔작대더니 이제야 먹어줬다"는식의 상상은 할 필요가 없습니다.

사람이 갈비뜯듯 입으로 조금씩 베어먹는게 아니고, 붕어의 먹이 취이는 한방 흡입입니다.
흡입할수 없는 작은 입을 가진 붕어라면 모를까.
큰 붕어는 원천적으로 깔작댈수가 없습니다.
추천 1

IP : 5046cdc58bcfaf4
물속의 수서곤충에 의해 찌에 대한 반응일 수도 있지만
찌맞춤이 무거운지 혹 가벼운지도 궁금하며
찌맞춤이 가볍다면 바늘에 끼워진 그 참붕어가 움직여서
찌놀음으로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추천 0

IP : 5046cdc58bcfaf4
첨하여 30분정도 입질 후 그 입질이 사라졌다면 꿰어놓은 참붕어의 소행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꿰어진상태에서는 살아서 움직이다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힘도 빠지고 죽게 되어 입질표현이 없기때문입니다.
그 상황을 잘 생각해 보면 답일 수도 있겠네요^^
추천 0

IP : 7c50832898c77c2
동쪽나라님 의견에 한표!

예전에 지런이 여러마리 꿰오 놓았더니

지렁이가 뻘로 파고들더라고요(머리 / 꼬리가 꼬물꼬물...)

입질은 캐미 방울 들었다 놨다....
추천 0

IP : 71b0fe9249a59c9
아마도 미끼로 달아놓은 참붕어소행이 아닐까 생각되네요.저는 생미끼사용시 목줄을 합사보다는 카본이나 모노줄로 사용하는 허접조사입니다.
추천 0

IP : a4d92a6384b5948
달려있는 참붕어의짓일겁니다 더구나 대물채비치곤 예민한 채비이니까요
달려있는 참붕어가 비실비실하면 새우도 달려들고 새우미끼에 참붕어가 달려듭니다
큰참붕어 미끼에 등만 살짝 꿰어줘도 무거운 대물마춤채비에도 찌에 반응이옵니다
추천 0

IP : 7fea7b09f53197a
참붕어 미끼가 잘 듣는 포인트라면 붕어가 아닌 확률이 99%입니다.
7치급 붕어도 왠만한 크기의 참붕어를 그냥 흡입하기 때문에 찌올림도
시원하게 표현되지요.

그리고 까칠한 성격의 붕어들이라면 모를까 왠만한 대물붕어들은 부력
따위에는 별로 신경 안씁니다.
특히 산란준비를 할 시기에는 도시락만한 봉돌도 거침없이 들어 올릴껄요?
(표현이 좀 거시기 하네염^^)
추천 0

IP : a1469092d8bae47
99프로 미끼로 끼워놓은 참붕어가 살아서움직인겁니다ᆞ저수온기엔 등꾀기한참붕어도 꾀오랜시간 물속에서 살아움직이죠ᆞ채비자체가 좀가벼운듯보입니다ᆞ그리고 참붕어가많은곳은 참붕어미끼에 참붕어가붙어 지느러미 눈알등을 파먹고 한참후 잠잠해지는경우도 허다합니다ᆞ그런경우 미끼가 허옇게죽어있을것이고 꼬리지느러미등이 손상되어있을 것입니다ᆞ허나 그리죽은상태라고해서 새벽녁대어입질을 받지못하는것은 아니니 채비자주회수하지마시고 그냥두시는게 어떨까합니다 한번회수해서 그냥바늘에 제대로달려있는것을 확인하셨다면요 생미끼가 작은입질에 바늘에서 완전히 이탈할 확률은 잘없다고봅니다ᆞ경험상 참붕어 잘듣는곳ᆢ진짜7치 흡입하고 막째고 난립니다ᆞㅎㅎ짧은소견 참고하시구여 물방개나 여타의 미끼도둑이없다면 거의제몸꾀어진 참붕어가움직인겁니다ᆞㅎㅎ대물하세요
추천 0

IP : 006ecbccdfdd8d7
답변주신 님들 감사합니다.
대물입질은 아닌것으로 알고 잊어버리겠습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되시고 어복 충만하십시오.
추천 0

IP : b5180f0d6d757bb
비슷한 찌놀음에 가재와 참게를 잡아본 기억이 있습니다.
하지만 이럴경우 반드시 미끼가 어느정도 훼손이 되어있더군요..
말씀처럼 미기훼손이 없다면 미끼가 최후의 발악(?)을 했을 가능성에 한표...ㅋ
그리고 위에서 많은 선배님들께서 말씀하셨듯이 목줄이 너무 길어요...
7~10Cm가 적당할듯 합니다...
예민할 시기엔 길게 활성도가 좋을땐 짧게...
그것도 말씀드린 길이 안에서 하는게 좋을듯 합니다.
말씀하신 15Cm는 너무 긴듯합니다...
참고만 하시라고 몇자 적어봅니다.^^
추천 0

IP : 31a70be52a8ba3e
저도 비슷한 찌놀음에 장어 잡아봤습니다. 일반 하천에서 캐미를 올려놨다가 잠겼다가를 계속 반복 이게 대체 뭔가 잡아보니 장어 새끼네요. 2번 잡아봤는데 똑같은 입질이었습니다.
추천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