떡밥 낚시의 경우 같은 자리에 무한 반복 품질을 기본으로 압니다만..
지렁이 미끼의 경우에도 한자리에 집중적으로 투척을 히야하는지 알고 싶습니다.
지렁이낚시시 투척이 많지는 않지만 그래도 한자리에 투척하는 것이 확률이 더 높은것 같은데..
자꾸 신경이 쓰여서 같은 자리에 던질려고 회수하고 또 회수하고 ㅎㅎㅎ긴대는 더 심합니다.
월님들은 어떤가요? 지렁이 미끼시 한자리에 하시나요 아니면 변경 하시나요?
- © 1998 ~ 2025 Wolchuck all right reserved. ▲TOP
떡밥은 집어효과가 있어 한곳을 집중 케스팅하는데,
지렁이 점액이
멀리까지 붕어를 유혹한다는 의견도 있던데 저는 부정합니다.
따라서 붕어의 이동 길목을 집는다 탐색한다는 의미로
저는 조금씩 달리하는 케스팅으로 합니다.
부지런히 탐색하는게 맞을겁니다
채비 떨어지는소리에 반응해 붕어가 미끼를 물기도 하고
빈 채비에 루어낚시처럼 본능적으로 반응한 월척이 물고 나오기도 하는등
변수가 많은게 낚시지만 지렁이 집어효과는 ..아닌것 같습니다
지렁이 채비는 목을 지켜 잡거나 이곳 저곳을 탐색 하는게 맞는 방법일겁니다
왠만하면 같은자리 던집니다....
하지만 바람이나 장대의무게 등등으로 힘들다면
어느정도 벗어난자리는 그냥 그대로 둡니다
한자리에 넣는것보다 채비투척으로인한 소음이 줄이는게 더 중요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
요즘같이 추운시즌기엔 지렁이끼고
입질없음 챔질하고 살짝옆으로투척하고
반복한 대에 입질이 자주들어오더라고요
따라서,포인트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 한도에서 조금씩 달리 투척합니다.
시각적 효과가 큰 미끼인 만큼 붕어가 다닐만한 길목이나 바닥상황이 좋은 곳으로 투척합니다.
바닥이 좋지않을때 지렁이 사용시 한두번 고패질만 하는정도로...
나쁜버릇 들까봐 가능하면 같은자리에 던지려고 신경 씁니다.
하지만 바람의 영향등으로 조금 잘못 들어간 경우 그대로 둡니다.
지렁이도 잘 안 갈고 시간이 한참 지나면 대만 살짝 당겨 놓습니다, 뻘이나 썩은 수초에 묻힐까봐.
하룻밤 낚시하면 대 하나에 지렁이 많이 써야 서너마리입니다.
투척하다 보면 낚시대 정렬이 안 맞아 계속 한자리에 투척을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생각해 보면 한자리에 고집하여 투척할 이유는 없다 봅니다.
자주 캐스팅 해주는건 고움이 되리라 봅니다
던지는 위치가 틀려도 입질은 잘 들어왔던
기억이 납니다
지렁이 냄새가 이상하게 싫어서
요즘은 거의 사용을 하지 않읍니다
올해는 상황이 조금 달라질 것도 같읍니다
이쁜 지렁이통을 선물 받았기에ᆞᆢ
행복하고 건강한 출조 되십시요
비슷한위치에 대충던져서 바닥안착이 잘되었다면 그냥두는편입니다..
요즘시기엔 가끔씩 낚시대를 살짝앞으로 당겨 고패질을 해주고요
떡밥이 멀리 있는 붕어를 유인한다기보다는
쌓인 떡밥입자가 지나는 붕어무리를 묶어두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최대한 같은 자리에 떡밥을 풀어지게 합니다
지렁이의 경우는 입자가 풀어지거나 하는 누적되는 집어
효과가 별로 없는듯 합니다 그냥 퐁당거리는 집어효과라면
모르겠지만...
저는 가급적이면 같은자리에 던지는 편입니다~
저는 지렁이나 새우등 생미끼를 사용시 다대편성을하다보니 찌와찌간 간격을 어느정도 맞게
배열을하다보니 어느한쪽으로 붙어서 치우치는것도 싫고 또 낙하지점이 달라지다보면
수심차이로 인하여 찌높이도 너무올라왔다가 내지는 너무잠겼다가 달라지고해서 가급적이면 처음던지던곳을 고집하는 편입니다~~
정입질이 없으면 그때가서 긴대와 짧은대를 서로 위치를 바꿔줍니다 그럼자연스레 포인트가 달라지겠죠....ㅎㅎ
그대신 일정시간 간격으로 미끼 확인후 재 투척해주고 있습니다.
이유는 지렁이를 짧게 꿰지않고 던질시에 바닦을 파고 들어갈수도 있다는 말을 들었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