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이싸이트를 통해 많은걸 배우는초보입니다
낚시를갔는데 찌와 초리대 사이의 줄이 많이늘어져서 챔질이 정확하게되지가 않네요
최대한 줄길이만큼 투척을 한다고해도 또늘어져요 저는 3호줄(메이커모름낙시방에서주는대로사용)을 사용하는데요 어찌해야되나요
낚시대 길이보다 약20정도 짧게 원줄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앞치기도 잘못해서 들리는말에는 유동채비를하면은 앞치기가 수월하다고하는데 자세한 설명 좀 부탁드립니다
감쏴 합니다
- © 1998 ~ 2025 Wolchuck all right reserved. ▲TOP
카본줄로 바꾸시면 늘어짐이 없습니다.
노지의 경우 밑걸림 등으로 원줄을 무리하게 잡아당겨야 하는 경우가 발생하므로 늘어짐이 있는 모노계열은 맞지 않습니다.
유동채비를 하면 찌의 위치가 봉돌에 가까워지므로 앞치기가 조금 수월해지기는 하겠지만 수심이 깊은곳이 아닌 곳에서는 유동채비나 고정채비나 앞치기의 큰 차이는 없습니다.
유동채비보다는 원줄을 매실때 일괄적으로 20센치를 짧게 매는것 보다는 대의 탄성이나 칸수에 맞춰서 매시면 훨씬 앞치기가 쉬워집니다.
앞치기 자세를 잡을 때 던지기전 원줄을 당겼을 때 팽팽한 듯한 느낌이 들 정도로 원줄을 매시면 대의 탄성으로 인해 앞치기가 잘 됩니다.
유동채비는 앞치기의 용이성 보다는 채비의 수직입수 즉 원하는 좁은 포인트에 찌를 쉽게 세워주는 역할을 하면 밤에 원줄잡이 역할도 합니다.
항상 즐거운 낚시 하시기 바랍니다.
위 호수님의 말씀대로 님은 모노줄을 사용하신 것 같습니다.
1. 대물낚시에서 모노줄을 사용하면 여러 가지 단점이 많습니다.
대물낚시의 특성상 다대편성을 주로 하며 수초나 고사목 주위에서 낚시를 하게 됩니다.
모노줄은 원줄 자체가 물에 뜨기 때문에 바람의 영향을 받아 옆의 낚시대나 줄을 걸게 될
가능성이 있으며 수초나 고사목에 채비가 걸릴 시 원줄을 주로 잡고 채비를 걷어내는데
모노줄의 경우 이 때 늘어짐 현상이 일어납니다.
이러한 현상들 때문에 대물낚시를 하시는 많은 분들은 카본줄을 사용하게 됩니다.
카본줄을 원줄로 사용하시면 일단 물에 가라앉기 때문에 위와 같은 단점들을 충분히
해결할 수가 있습니다.
카본줄의 단점으로 줄의 무게가 무겁기 때문에 예민한 찌맞춤을 하는 낚시(중층이나
떡밥낚시)에는 부적합하다는 의견이 많습니다만 대물낚시를 하시는 분들은 무거운 찌맞춤을
하시므로 큰 단점이 되지 않습니다.
2. 원줄의 길이는 대물낚시에서 앞치기 투척시나 붕어를 끌어낼 시 불편함이 없을 정도의 짧은
길이로 매시는게 유리합니다.
제 경우 아래와 같이 낚시대보다 짧게 조정을 합니다.
낚시대의 종류와 여러 가지 특성에 따라 다른 사항이므로 참고만 하시기 바랍니다.
1.7칸대 - 23cm
2.1칸대 - 28cm
2.4칸대 - 33cm
2.8칸대 - 38cm
3.2칸대 - 43cm
3.6칸대 - 48cm
3. 유동채비는 찌,봉돌의 무게가 줄 끝부분에 있기 때문에 앞치기 투척시 고정채비에 비해
유리합니다.
또한 수초사이 작은 구멍에 투척시 고정채비는 찌 세우기가 불편한데 반해 유동채비는
쉽게 찌를 세울 수 있으며 야간낚시에서 채비 회수(미끼교환) 시 캐미라이트 불빛 때문에
쉽게 회수가 가능하다는 장점도 있습니다.
투척시 뒷꽂이 뒤에서 투척을 하고 대를 앞으로 이동 거치하는 경우가 있는지요?
찌를 봉돌의 무게가 좀 나가는 것으로 사용 하시고, 또 될 수 있으면 유동으로 하시고
뒷꽂이 사이에 앞발을 두시고 팔을 쭉 편상태에서 허리를 약간 굽힌 상태로 투척해 보시기를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