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처음 대물낚시에 입문에 정말 즐겁게 낚시를 했습니다..
그러나 11월 추운날씨에 어떻게 낚시를 해야할지 고민입니다..
벌써 밤이되면 바람도 많이불고 날씨도 쌀쌀한데..
몇일전에 보니 새우도 안들어 가더군요..
새우채집은 어떻게 해야하는지???
그러고 포인터는 어디쪽이 좋은지 궁금합니다..
저도 낼 낚시를 가려는데 댓글이 없네요
저도 초보라 한수 배우고 싶은데 갈쳐주는 분이 없어
제가 생각하고 있는 내용을 올려 봅니다.
더 좋은 댓글이 올라왔으면 하는 바램으로 적어봅나다.
날씨가 추워지면서 붕어들의 회유나 먹이의 섭취를 위한
활동반경이 많이 좁아졌으리라 생각됩니다.
또 활성도가 좋을때 보다 입질의 빈도도 많이 줄어들 것이고,
입질도 매우 미약해질 것으로 생각되며,
콩이나 옥수수 등 곡물류 보다는
새우나 지렁이 등과 같은 단백질이 풍부한 동물성 미끼를 선호하고,
필히 지렁이는 챙겨서 대물낚시를 즐기는 자세가
지금부터는 필요하리라 생각되며,
첫째 새우채집은 수초가 삭아들어가는 자리보다는
제방이나 석축, 돌무더기가 있는 곳이 새우채집이 유리하며,
바닥이 마사토인 곳에서도 채집이 잘 되는 편입니다.
아직까지 새우가 자생하는 곳에서는
쓸만큼의 새우는 채집되리라 생각되며,
정말 시간을 쪼개서 가는 낚시인 만큼 새우는 낚시점에서
미리 준비를 해가는 것이 낭패를 줄일 수 있을 겁니다.
두번째 포인트의 문제인데요
저도 최근까지 낚시를 다니면서
입질을 한번도 보지 못하는 경우에는 그 저수지의 포인트에 대해
많이 생각을 하면서 나름대로 분석을 하는 편인데
우선 생각되는 것은 수온인데
날씨가 추운 만큼 외기의 추운 날씨에 영향을 적게 받을 수 있는
수심층의 공략인데 최소 1m 이상의 수심에서 영향을 적게 받으므로
다소 깊다고 생각되는 수심층의 공략이 필요하고,
또 생각 할 수 있는 곳이 수초인데
마름이 삭아드는 이 시점에서는 부들이나 갈대 등이 있는
곳이 있으면 최적의 포인트라 생각됩니다.
부들이 밀생한 곳은 이른바 온실효과라고 해서
다른 수심층의 수온보다 약간이라도 높고, 수서곤충들이 많아
붕어들의 먹이활동도 병행하게 되므로
이시기의 최적의 포인트라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또 비슷한 포인트라면
조금이라도 햇볕이 잘 드는 곳을 포인트로 선정하는 것이 좋을듯하며,
끝으로 피해야 할 포인트는
우선 수심이 얕은 곳인데 낮시간 동안 빨리 데워졌던 수온이
밤이 되념서 급격히 떨어져 더욱 차가워지기 때문에
경계심 많은 붕어들이 먹이활동을 하기위해 수심얕은 곳으로
붙지 않을 것입니다.
겨울철 얼음이 얼면 가장자리 부터 얼어붙는 것도
이와같은 이치겠지요.
또 피해야 할 곳이 새물이 드는 곳인데,
약간이라도 새물이 들게 되면 추운 날씨에 분명 수온에 영향을 미치겠지요.
어설픈 초보조사가 댓글이 없길래 몇자 적어보았습니다.
여러 고수들의 답변을 기다리며
박군님
추운날 우선 내몸부터 보호하는 차원에서
보온장구를 단단히 챙기시어 건강한 조행하세요.
저도 비가오나 눈이오나 요세처럼 겁나게 추우나 열심히 다니고 있습니다
윗분께서 보통 정석을 잘 설명해 주신거 같은데요
사실 제가 보았을때는 본인이 7전8기 찍어볼 저수지라면 이곳저곳 포인트를
잘 살펴보고 여러곳 찍어볼 필요성이 있겠으나 요세는 나름대로 포인트를 잘선정
해도 입질 제대로 몇번받기 힘듭니다 그만큼 붕어들이 꼼짝달삭 하지 않는 다는
것이죠 아무리 조력깊은 고수분이 자리를 정하고 대편성을해도 잦은 입질 받기는
힘들거라 생각 듭니다 그냥 자리 편하고 댜편성하기 용이한곳에 자리 잡으세요
요세는 붕어잡기 전에 사람먼저 잡히기 십상입니다 하도 추워서,,ㅎㅎㅎ
파라텐+난로+모포 가지고도 이제는 버티기 힘든 그런 날씨같네요..
낚시도 조치만 건강 유의하세요.
조력있는 조사분들 빨리좀 올려 봐유..
나도 참고좀 하게요...
저도 초보라 한수 배우고 싶은데 갈쳐주는 분이 없어
제가 생각하고 있는 내용을 올려 봅니다.
더 좋은 댓글이 올라왔으면 하는 바램으로 적어봅나다.
날씨가 추워지면서 붕어들의 회유나 먹이의 섭취를 위한
활동반경이 많이 좁아졌으리라 생각됩니다.
또 활성도가 좋을때 보다 입질의 빈도도 많이 줄어들 것이고,
입질도 매우 미약해질 것으로 생각되며,
콩이나 옥수수 등 곡물류 보다는
새우나 지렁이 등과 같은 단백질이 풍부한 동물성 미끼를 선호하고,
필히 지렁이는 챙겨서 대물낚시를 즐기는 자세가
지금부터는 필요하리라 생각되며,
첫째 새우채집은 수초가 삭아들어가는 자리보다는
제방이나 석축, 돌무더기가 있는 곳이 새우채집이 유리하며,
바닥이 마사토인 곳에서도 채집이 잘 되는 편입니다.
아직까지 새우가 자생하는 곳에서는
쓸만큼의 새우는 채집되리라 생각되며,
정말 시간을 쪼개서 가는 낚시인 만큼 새우는 낚시점에서
미리 준비를 해가는 것이 낭패를 줄일 수 있을 겁니다.
두번째 포인트의 문제인데요
저도 최근까지 낚시를 다니면서
입질을 한번도 보지 못하는 경우에는 그 저수지의 포인트에 대해
많이 생각을 하면서 나름대로 분석을 하는 편인데
우선 생각되는 것은 수온인데
날씨가 추운 만큼 외기의 추운 날씨에 영향을 적게 받을 수 있는
수심층의 공략인데 최소 1m 이상의 수심에서 영향을 적게 받으므로
다소 깊다고 생각되는 수심층의 공략이 필요하고,
또 생각 할 수 있는 곳이 수초인데
마름이 삭아드는 이 시점에서는 부들이나 갈대 등이 있는
곳이 있으면 최적의 포인트라 생각됩니다.
부들이 밀생한 곳은 이른바 온실효과라고 해서
다른 수심층의 수온보다 약간이라도 높고, 수서곤충들이 많아
붕어들의 먹이활동도 병행하게 되므로
이시기의 최적의 포인트라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또 비슷한 포인트라면
조금이라도 햇볕이 잘 드는 곳을 포인트로 선정하는 것이 좋을듯하며,
끝으로 피해야 할 포인트는
우선 수심이 얕은 곳인데 낮시간 동안 빨리 데워졌던 수온이
밤이 되념서 급격히 떨어져 더욱 차가워지기 때문에
경계심 많은 붕어들이 먹이활동을 하기위해 수심얕은 곳으로
붙지 않을 것입니다.
겨울철 얼음이 얼면 가장자리 부터 얼어붙는 것도
이와같은 이치겠지요.
또 피해야 할 곳이 새물이 드는 곳인데,
약간이라도 새물이 들게 되면 추운 날씨에 분명 수온에 영향을 미치겠지요.
어설픈 초보조사가 댓글이 없길래 몇자 적어보았습니다.
여러 고수들의 답변을 기다리며
박군님
추운날 우선 내몸부터 보호하는 차원에서
보온장구를 단단히 챙기시어 건강한 조행하세요.
윗분께서 보통 정석을 잘 설명해 주신거 같은데요
사실 제가 보았을때는 본인이 7전8기 찍어볼 저수지라면 이곳저곳 포인트를
잘 살펴보고 여러곳 찍어볼 필요성이 있겠으나 요세는 나름대로 포인트를 잘선정
해도 입질 제대로 몇번받기 힘듭니다 그만큼 붕어들이 꼼짝달삭 하지 않는 다는
것이죠 아무리 조력깊은 고수분이 자리를 정하고 대편성을해도 잦은 입질 받기는
힘들거라 생각 듭니다 그냥 자리 편하고 댜편성하기 용이한곳에 자리 잡으세요
요세는 붕어잡기 전에 사람먼저 잡히기 십상입니다 하도 추워서,,ㅎㅎㅎ
파라텐+난로+모포 가지고도 이제는 버티기 힘든 그런 날씨같네요..
낚시도 조치만 건강 유의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