옥수수내림낚시

· 옥수수 미끼를 이용한 내림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질문/답변] 옥내림 초보가 궁금한게 있어서요..

IP : 912d8fff1b1e42d 날짜 : 조회 : 3844 본문+댓글추천 : 0

평소에 콩알이랑 대물낚시는 해보았습니다. 월척 옥수수내림 채비를 보고........ 혹해서 바로 자주가는 낚시방에 들려서 이것저것 채비를 사면서 내림에 대해 물었는데요 들어도 하나도 모르겠어요 그나마 그땐약간의 이해가 갔었는데 ㅠㅠ 현장가니깐 또 틀리더라구요 1. 질문 : 집에서 찌맞춤을 할시 밑에 바늘이 바닥에 닿게 하면 되는건진요? 빈바늘로? 아니면 옥수수나 지우개 같은걸 끼워서 닿아야하는건지요 2. 질문 : 채비를 다해서 현장에 갔을시 현장 찌마춤을 해야한다고 많이들 말씀하시는데요 현장찌마춤은 빈바늘을 먼저 던져보고 5목을 마춘후 거기에 미끼를 달아서 다시 찌를 올려 5목을 마추는 식으로 이해를 했습니다. 그게 맞는건지요 3. 질문 : 낚시방에서 찌마춤을 하나 해주길래 낚시를 갔는데요.. 바늘을 아무리 올려도 바닥에 닿는건지 아닌지 계속 그자리 그대로입니다 그래서 무게가 가벼워서 떠잇나 싶어서 밑에 바늘에 옥시시 2알 끼우니깐 그래도 바닥에 닿는 기분이들더라구요. 5목마춰두고 낚시를 했는데 3치 한마리는 잡았습니다. 챔질 타이밍 잡기가 너무 어렵더라구요 챔질 요령이라든가 챔질 타이밍 잡기등등 월척에서 공부중인데요 지금 찌마춤은 머가 문제가 되는걸까요? 편납을 더 감아야하나여? ㅠㅠ 정말 지대로 아는게 없어서 질문도 참;;; 이상하죠? 멀이런걸 물어보나;; 할정도는 아닐지 모르겠네요 여러 선배 조사님의 조언좀 구해봅니다.. 좋은주말 ~~~~~ 안출하십시요

1등! IP : a030fe848741e41
행복한 출조를 기원 하며.....
주위에 옥내림 고수가 계시면 필드에 동행 출조 하시어
한수 지도 받으심이 어떻 하올지요.
처서가 지나면 옥내림의 위력이 발휘 되오니 한번 시도해 봄직 하여
글 올려 봄니다.
늘 기쁨이 함께 하시길.....
추천 0

2등! IP : cdc6551a98eb8a7
놀림낚시 홈페이지에 들어가시면

자세하게 설명 되어있습니다.

낚시로 즐거움이 함께하시길...
추천 0

IP : 178f8d37e4a974f
1. 수조통 맞춤시는 두바늘 모두 띄운 상태에서 찌톱이 4-5목 정도 나오도록 맞춥니다. (빈바늘)
이 상태에서 옥수수를 각각 한알씩 달면 캐미목까지 잠기고 다시 수심을 맞추어 4-5목 정도
나오게 하면 아래바늘은 바닥에 닿고 윗바늘은 떠 있는 채비가 됩니다....
2.수조통에서 찌맞춤을 해도 현장에 가면 원줄 무게라든지 수압의 차이등으로 미세하게 찌맞춤의
차이가 있으므로 현장 찌맞춤을 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매번 할 필요는 없고 한번만 현장 맞춤을
해 두면 그 다음 부터는 그대로 사용하시면 됩니다. 현장 맞춤도 수조통 맞춤과 동일합니다.
빈바늘로 4-5목을 맞추시고(이때 될수 있으면 찌를 최대한 낮춰서 하세요) 옥수수를 달아서 찌를 올려가며
다시 4-5목이 나오게 하시면 끝입니다...(그상태가 아래바늘이 닿고 윗바늘은 떠있는 상태이죠)
여기서 두바늘이 모두 닿게 하는 낚시를 하시고 싶으면 찌를 더 올려주면 됩니다. (슬로프 낚시)
하루밤 낚시를 하고 나면 물먹는찌의 경우는 처음보다 1-2목 정도 낮아집니다. 아침에 철수할때
낮아진 찌를 다시 4-5목으로 만들어 놓고 다음부터는 그냥 낚시하시면 됩니다. 일반 내림찌의 경우는
이 과정은 불필요하겠죠.
3.첫번째 질문은 질문의 요지를 잘 모르겠군요. 떠있는것 같다는 건지 닿아있다는 건지...
찌맞춤이 정상적일 경우 예를 들어 수심이 1미터인데 찌높이를 그 이상으로 해서 빈바늘을 던지면 찌는 그대로 있지 않고
넘어지죠. 찌맞춤이 무겁다면 찌를 올려도 편납이 바닥에 계속 닿아있기 때문에 찌가 잠수가 될것이구요...혹시 윗수심측정고무
만 올리신건 아니겠죠?^^
챔질의 기본은 어신파악이겠죠. 내림낚시 자체가 미세한 채비의 조합이다 보니까 이물감의 극소화로
붕어의 흡입과정이 대물채비보다 자연스럽습니다. 그래서 흡입후에도 이물감을 못느끼고 내뱉는 시간도
늦죠. 그러다 보니 자연스레 서서히 빨고 들어가는 입질이 많습니다. 물론 바닥낚시처럼 아래바늘에
먹이를 섭취할때는 쭉올리는 입질도 있기도 합니다. 잔챙이 일수록 패턴이 빠르고 콩닥거리죠. 대물일수록
찌올림도 찌내림도 중후하게 움직입니다.
챔질동작의 기본은 챔질이라기 보다는 채비회수정도의 힘만을 요한다는 겁니다. 강한챔질과 약한 채비 =뭔가
맞지 않죠. 약한 채비를 쓰는 이 낚시에서 강한 챔질은 원줄목줄터짐을 가져오기 쉽습니다. 간만에 만난
대물을 챔질 실수로 날리면 억울?하겠죠? 채비는 약하지만 강해서 부러지는 대나무보다는 연해서 부러지지 않는
갈대의 힘을 가졌다고 해야되나요? 운영만 잘하면 얼마든지 강한힘을 내는게 이 낚시라 생각됩니다.
자꾸 낚시 하시다 보면 이녀석이 아래바늘을 먹었는지 아님 윗바늘인지도 보이게 되고 그에 따른 입질패턴과
챔질 타이밍도 보이시리라 생각됩니다.
아무튼 새로운 채비로 열심히 하시어 꿈꾸는 대물도 만나고 즐거운 낚시 하시길 바랍니다.
추천 1

IP : dd572164423ef33
흠... 암담합니다 .. ㅎㅎ 언제 다 배울동 명월님 말씀 감사드립니다....
추천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