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본 5호는 말도 않됩니다
너무 성의 없는 답변이네요
카본 5호쓰면 낚시대 부러지거나 초릿대 빠집니다.
게다가 더더욱 굵은 줄을 쓰라니요. . .헐
잉어나 향어잡는 채비도 카본 4호~5호정도 씁니다.
카본사일경우 2호~3호 쓰기고요
모노사는 강도가 조금 앾하니 3호에서 4호 쓰세요
저도 처음 대물낚시 접할땐 카본 5호로 시작했습니다.
무식한 채비한다고 구박도 받았지만,
수초 왠만한거 다 딸려나오고...채비 터질 일이 없어
무난하게 입문했답니다^^
그러다가 입질 빈도도 떨어지고해서 점차 카본 4호..3호...
결국엔 다시 4호로 돌아왔네요.
최종적으로 중요한건 몇호냐가 아니라 낚시 테크닉이 생기면
본이에게 맞는 호수가 정해질꺼라 생각됩니다.
그러니 처음엔 좀 높은 호수의 카본줄 사용을 권해드립니다.
수초낚시 특히 정수수초 낚시에서는 강한채비가 필수입니다.
정수수초가 자라는곳은 대부분 저수심이기 때문입니다.
예전에는 그런곳에 일명 뽕치기 낚시를 많이 했읍니다
그러나 지금은 왠만해선 스윙낚시를 많이 합니다.
저수심(70이하)에서는 강한 챔질과 과감한 랜딩만(언저리 낚시 제외)이
본인이 원하는 싸이즈의 붕어를 볼수 있기 때문 입니다.
저수심에서의 강한 챔질은 채비에 상당한 부하가 걸립니다
또한 정수수초가 상당히 억쎕니다
본인의 낚시 여건에 따라 채비의 강약은 본인의 경험으로 터득 하셔야만 합니다.
낚시에서 경험만큼 뛰어난 스승은 없읍니다.^^^
낚시중 가장 부담스러우면서..
가장 좋은포인트가 뗏장..부들.
뗏장 속 구멍에 투척...
부들에 바짝붙어서 투척..
위 두군데...
챔질후 제대로 감아버리면..
강한채비일 경우...
채비전체는 회수가 될지언정..
붕어는 터지고 없을 확률이 많습니다,,
채비가 좀 약할지언정..
무우뽑듯이 뽑을때는 터지질 않습니다....
제대로 뗏장..부들...감지만 않는다면 충분히 제압이 가능하리라봅니다,,
가끔터지긴합니다^^
3호정도 무난하죠?
그 이하가 되면 물고기가 아니라 수초들 걸림 때문에 당기다가 원줄이 거의 맛이 갑니다.
깨끗한 땟장을 넘겨친다던가. 맨바닥 낚시를 즐긴다던가. 깨끗하게 작업된 곳의 수초언저리에서만 낚시하신다면
1.75, 2, 2.5, 3호중에 골라쓰셔도 붕어한테 터져서 채비뺐길일은 크게 없을겁니다.
저는 원줄값 아까워서 그냥 5호(세미플로팅)로 다닙니다.
사계절 연밭 위주로 출조합니다만.
한번 원줄 채비하면 2~4년은 가네요.
조구가 망하기 딱좋죠.
적응하면서 호수를 조금씩 나추시면 문제 없을듯합니다
역시나 경험이 쌓이면 다양한 호수를 응용하면
되는데 ...
현장조건 즉 포인트 주변에 수초등이 많다면
더더욱 굵은호수를 권합니다
1.(대물낚시)를 할때...
2.다양한 (수초)주변에서...낚시를 합니다.
3.(원줄. 목줄)은...튼튼하게 하십시요.
4.(원줄) 4호
5.(목줄) 3호 2.5호
6.(원줄. 목줄)은...(동일제품)을 사용 하십시요.
7.(동일제품)을 사용해야 (줄)의 (강도)가 (일정)하게 나옵니다.
너무 성의 없는 답변이네요
카본 5호쓰면 낚시대 부러지거나 초릿대 빠집니다.
게다가 더더욱 굵은 줄을 쓰라니요. . .헐
잉어나 향어잡는 채비도 카본 4호~5호정도 씁니다.
카본사일경우 2호~3호 쓰기고요
모노사는 강도가 조금 앾하니 3호에서 4호 쓰세요
카본3~4호
세미플로팅4호
이정도는 되야 수초밭에서 강재집행도가능합니다
목줄은 카본1.75호 혹은 옥라인 1.2호를 병행하며 씁니다.
5년 낚시 하는데 밑걸림 시 목줄은 여러번 끈어먹었지만 원줄 터진적은 한번도 없습니다.
출조 횟수가 늘어날수록 원줄 체크를 잘 해보시길 권장 합니다.
목줄은 2.5호나 3호를 씁니다.
강한 원줄 쓰셔도 낚시대 부러지거나 초릿대 부러지는 일은 거의 없습니다.
자신이 추구하는 낚시 스타일에 적합하게 원줄을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고탄성대들믿고 재끼다가 대동강합니다 그전에 줄이 터져야 정상적인 셋팅입니다.부들연받맨땅2호고정입니다
불안햇엇는데 이제는 그런거없네요 접을때 라인체크정도는 해주시면 어지간해서 터트리는일 없을듯합니다 물론튼튼한 체비도 좋지만 이물감줘서 좋을꺼없다는게 결론입니다.
주위지인들도45이상 대물들 2호줄로충분히 뽑아냈습니다
작은구멍에 큰놈없습니다 덩치에 어울리게 붕어들도 행동합니다. 산란기가아닌이상 빼곡한곳에 들어오는경우는 드물구요
저는 수초낚시라면 4호정도 추천합니다
그러나 맹탕에 던지는 것을 가정하면 2.5호로도 충분하겠죠
목줄은 새우 참붕어에는 카본3호, 옥수수나 글루텐은 합사3호 추천합니다
본2.5호 길이12센치 주었더니 수초에서 고기를 꺼낼때 매듭부위가 터지더군요
현장에서 여러 경험들을 해보시고 자신에게 맞는 원줄 목줄의 호수을 선택하십시요
위분들이 써 놓은 것이 거의 본인들의 현장 경험치에서 나온거라고 생각합니다
좋은 선택하셔서 즐낚하십시요
모노줄도 사용해 보시고 카본줄도 사용해보시고
하시다 보면 자신한테 맞다고 생각되는 채비가 나올겁니다.
채비도 터뜨려 보고 낚시대도 부러져 보고하면서 경험이 쌓이겠지요.
경험은 전수가 안됩니다.
저수지 퍼 올려도 부담 없습니다..
헌데!! 저번에 바늘이 펴 져 버리더라구요..
무식한 채비한다고 구박도 받았지만,
수초 왠만한거 다 딸려나오고...채비 터질 일이 없어
무난하게 입문했답니다^^
그러다가 입질 빈도도 떨어지고해서 점차 카본 4호..3호...
결국엔 다시 4호로 돌아왔네요.
최종적으로 중요한건 몇호냐가 아니라 낚시 테크닉이 생기면
본이에게 맞는 호수가 정해질꺼라 생각됩니다.
그러니 처음엔 좀 높은 호수의 카본줄 사용을 권해드립니다.
충분합니다 매듭보강이나 무매듭 사용하시면 랜딩시 터질일은 없습니다
수몰나무 지역에서 허리급 무식하게 뽑아내도 한번도 원줄 나간적 없습니다
제가 운이좋아서 그런가요.? ㅎ ㅎ ㅎ
참고로 동행하시는 분이 제가 챔질하는거 보면 무식하다고 하십니다
32대부터는 무조건 두손으로 강제집행합니다 수몰나무 포인트에서만요. . . .
원줄터지는 이유는 원줄이 상했거나 옛날 방식 그대로 매듭법을 쓰시지 않나
생각됩니다
가끔 원줄상태 점검하시고 교체할 시점 오면 가감히 교체 하시길. . .
2.5호나3호줄 정도 믿고 써보세요 까딱없습니다
정수수초가 자라는곳은 대부분 저수심이기 때문입니다.
예전에는 그런곳에 일명 뽕치기 낚시를 많이 했읍니다
그러나 지금은 왠만해선 스윙낚시를 많이 합니다.
저수심(70이하)에서는 강한 챔질과 과감한 랜딩만(언저리 낚시 제외)이
본인이 원하는 싸이즈의 붕어를 볼수 있기 때문 입니다.
저수심에서의 강한 챔질은 채비에 상당한 부하가 걸립니다
또한 정수수초가 상당히 억쎕니다
본인의 낚시 여건에 따라 채비의 강약은 본인의 경험으로 터득 하셔야만 합니다.
낚시에서 경험만큼 뛰어난 스승은 없읍니다.^^^
4-5호 본인이 결정하시길....^^ 그런데 욕심을 버리면 3호도 됩니다......^^..저수심서 떡밥꾼은 강한 챔질이 없지요..수심 2미터권은 되어야 강챔 합니다
저수심 수초낚시는 얼마나 나에게 맞나 내가 채비운용에 방해가 안되는 30정도의 길이와 내성향과..맞고 무거움의차이..바란스가 좋은 호환에 무리없는
찌선택만 하면 가능합니다...저수심이 찌만 잘 선택하면 더 쉽죠....^^..랜딩도 우습죠...
1년만 하시면 웃을겁니다.....마지막으로 장대를 쓰다보면 바닥을 보게되고...지형과 골및..기온...습도...지진에의한 진동...등 주변여건
핑계대기 시작합니다....^^다 내가 몸상태 좋을땐 잡으나 ..컨디션 아닐땐..확 떨어집니다....참고 하시길..떡밥 대물로 부지런 떨어도 마찬가지입니다..
다대편성시 항상 생미끼는 사용하시고 두대정도는 떡밥대물및 옥수수 생미끼와 상관없이.품질하는게 졸리지 않고 이외의 주변 조가 상승효과가 있습니다
가장 좋은포인트가 뗏장..부들.
뗏장 속 구멍에 투척...
부들에 바짝붙어서 투척..
위 두군데...
챔질후 제대로 감아버리면..
강한채비일 경우...
채비전체는 회수가 될지언정..
붕어는 터지고 없을 확률이 많습니다,,
채비가 좀 약할지언정..
무우뽑듯이 뽑을때는 터지질 않습니다....
제대로 뗏장..부들...감지만 않는다면 충분히 제압이 가능하리라봅니다,,
줄상태 잘살피고 매듭 올바로 하시면
문제없씀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