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계나 계곡지 위주로 낚시를 하고있습니다.... 전에 월척에서 글을 읽다보니 바늘 크기는 단지 미끼의 양과 크기에 따른 변화라고만 얼핏 본거
같은데 좁쌀채비를 쓰고 있음에도 왜 이렇게 큰바늘에만 눈이 가는지 모르겠습니다...
지렁이 위주로 낚시를 한다면 감성돔 몇호정도가 적당할까요??? 지렁이를 달드래도 한마리보단 여러마리가 먹음직스럽게 보일거 같고 해서
좁쌀채비시 바늘 크기에 영향을 많이 받는지와 아니면 바늘이 커도 상관이 없는지도 궁금합니다....
바늘이 크면 클수록 조과면에서 많이 떨어질런지요???
- © 1998 ~ 2025 Wolchuck all right reserved. ▲TOP
하지만, 갑작스런 기온의 하강, 물빠짐등의 환경에 의해 비정상적인 예민한 입질이 보여질 경우는
예외적으로 큰바늘에 의한 조과 저하가 눈에 띄게 나오는 경우가 있습니다.
제경우 이런 상황에서는 아주 작은 바늘로 교체하고 봉돌을 다듬어서 찌맞춤도 아주 예민 하도록
현장에서 조정해서 씁니다.
바늘크기의 선택은 큰고기 잡기위한 큰호수가 아나라
사용미끼에 따른 선택이 기본이며,
기대 붕어의 평균 크기가 큰 경우에도 좀더 큰 바늘을 선택하기도 합니다.
떡밥을 예를 들어 4호 5호를 주로 쓰고 상황에 따라 9호까지 사용합니다
참고로 5호 바늘로 70자짜리 숭어까지 낚아봤습니다
그냥 작은 바늘 사용하세요 대물 하신다면 강제집행을 위해 좀더 튼튼한 바늘을 찾다 보니 큰바늘을 선호하는것 같습니다
그외 맹탕지에서라면 작은 바늘이라도 랜딩만 잘해준다면 바늘 걱정 할 필요가 없을뜻합니다
일반 붕어 바늘 약9호 정도 입니다. 이정도 크기라면 잉어 60cm이상도 거뜬합니다.
지렁이는 3~4마리정도 끼울 수 있고요 새우도 끼울 수 있습니다
바늘이 너무 커도 신뢰가 안가더라구요
지금은 바늘을 조금 작게 쓰세요
감성돔3호 정도 강게는 4호 활성도 좋을때 5호
보통 붕어바늘기준 6~7호 정도 사용합니다.
7호정도 사용해도 지렁이 2~3마리 끼워서 사용합니다.
그 이후론 5호6호 7호 쓰고 있습니다
감생이 2호가 가장 무난하고요, 3호까지가 적당할듯싶네요...
동절기에는 동일채비시에 감생이 1호가 적당, 2호까지...
요즘 입질받기 힘드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