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바닥낚시

· 떡밥낚시, 유료터낚시 등 바닥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질문/답변] 붕어몸에 검은점이 많습니다.

IP : a3991c266205862 날짜 : 조회 : 16026 본문+댓글추천 : 0

지난주 강낚시에서 붕어 준척급이상 4수 했습니다. 그런데 4마리중 3마리가 몸에 검은점이 많이있었습니다. 저수지에서는 이런붕어를 보지 못하였는데 강에서 잡은붕어만 점이 있더라구요. 혹시 붕어가 오염되서 그런건지 저수지랑 환경이 달라서 그런지 궁금합니다. 비슷한경험있으신분 조언 구해봅니다^^

2등! IP : 2ed3f274cb7f3d0
깨붕어 돌붕어라고 부르지요
물흐름이있는 강개에 서식 합니다
고유 토종 이지요
추천 0

3등! IP : 82e6d8d702392c4
저수지에서도 검은점이 있는 붕어를
잡은적이 있습니다 잡히는 붕어 전체가
검은점이 있었습니다
추천 0

IP : a3991c266205862
답변감사합니다. 힘은 정말장사더군요.
손맛이그리워 당분간 강낚시 가야겠어요
추천 0

IP : 6e8d045df0d6330
조기 밑에글 한번검색해보시면 많은분들이 점있는붕어에대해 댓글주신걸보실수있을겁니다~^^참고해보시는것도 좋을것같네요!!^^
추천 0

IP : 64f69d514ea936b
돌붕어가 맞고요
대체적으로 강계에서 주로 서식하다보니 힘도 장사입니다
추천 0

IP : e94b9a2f49afc5f
돌붕어 힘이 장사죠~
초보때 병걸린줄 알았다는 ㅋㅋㅋ
추천 0

IP : 7b714a4066ee409
주로 강에 사는 붕어를 강붕어라 하고 검은 점이 박히 것이 특징이라고 합니다.
추천 0

IP : e06b35d6e0dbfcc
돌붕어나 깨붕어라불리며 붕어가 다슬기를 먹으면 그렇게 점이 박힌다고들엇습니다.
추천 0

IP : b7ee61a6bc5d4d0
붕어 몸에 검은점은...
1.몸에 점이 많은 붕어는 점박이 붕어입니다.
2.가끔 돌붕어로 착각 하신분도 있는데 돌붕어 아닙니다.
3.그냥 점박이 붕어입니다.
4.점은 머리.몸통.꼬리 몸 전체에 분포되어 있습니다.
추천 1

IP : 6530d26ab6fff73
그건 다슬기를 숙주로 하는 기생충의 흔적 입니다.
사람이나 붕어에게 크게 해가 되지는 않는걸로 알려저 있습니다.
다슬기가 살고있는 계곡형 저수지에서도 가끔 발견 됩니다...오래전에 알던거라 가물가물 하네요^^
도움이 되시길...^^
추천 4

IP : 9ef303f57792664
돌붕어가 맞습니다.
때론 몸에 깨알처럼 검은점들이 박혀있어서 깨붕어 점박이붕어 라고도 불리기도 합니다.
강가 돌무더기에서 많이 서식하고 특히 일반 붕어보다 비늘이 두껍고 딱딱한것이 특징이라 볼수있습니다.
하지만 거의 불리기를 돌붕어라 불립니다.
추천 0

IP : b85860d5d91effe
돌붕어 입니다 까만 반점이 특징이지요
저희 근처엔 없어서 돌붕어보러 가끔 경주갑니다^^
힘이 장사입니다
어색하시겠지만 주근깨라고 생각하세요ㅎㅎ
손맛 축하드려요^^
추천 0

IP : 8967ac6de6036f9
돌붕어

[명사] <동물> 잉엇과의 하나. 큰 것은 몸의 길이가 25cm 정도까지 되고, 몸에 비하여 머리가 작고 작은 입이 아래쪽으로 붙어 있다. 압록강 중류 이하의 지방에 분포한다
추천 0

IP : bc37ebe156cd5df
돌붕어 맞습니다!비늘이 굉장히딱딱하고요 하절기때는 점이 없어지거나 옅어지고 물이 차가워지는 시기때부터 진하게 생김니다 제가 금강 붕어를 많이 잡아봐서 조금 압니다
추천 0

IP : eb35c8befda51f9
어장줄자리님이 설명을 잘 해주셔서 더이상의 설명은 필요 없지 않나 하네요.
주로 강계나 하천에서 잡은 붕어에서 볼수 있고요.
보통 호나 저수지에서 서식하는 붕어보다 비늘이나 체형등이 더 강하게 보여 돌붕어라고 부르며 그 돌붕어의 비늘에 검은깨가 박힌것처럼 보여서 깨붕어 또는 점붕어라고도 하는걸로 알고 있네요..
추천 0

IP : 2763584f6c7e25f
겨울이 지나면 점도 사라집니다. 여름에는 점있는붕어 볼 수 없어요
추천 0

IP : 5968bcf0b87f7ab
우리나라토종붕어입니다.깨붕어혹돌붕어라고하죠.귀한고기잡으셨네요
추천 0

IP : b45fa1b607159b0
요즘보기드문 토종붕어 입니다.
열러해전까지만도 강이나 수로에서 많이 나왔는데.....
돌붕어....
추천 0

IP : 403669fab0dedea
비늘이 완전히 철갑수준입니다.
더구나 힘은 장사구요.
입질도 아주 시원합니다.
합천호에도 있었는데 지금은 다 잡혀나가고 거진 없다는....
허나 강계에는 가끔 이런녀석들이 낚여 나옵니다.
이런 녀석들 나오는데가 있으면 대박입니다.
추천 0

IP : 2057f9525449e3f
예전에도 말씀드렸습니다만....

돌붕어, 깨붕어(점박이)에 생기는 이 검은 반점은 장흡충의 원인균인 메타고니무스(Metagonimus)에 의해서

발생하는 것으로 만약 피부에 기생하는 이 유충의 중간숙주인 다슬기가 서식하는 곳이라면

그 수계가 수로이든 저수지이든 그곳에 사는 일반 붕어의 비늘이나 지느러미에도 발생합니다.

그러니 깨같은 점은 돌붕어나 깨붕어를 구분짖는 기준이 되지 않습니다.

비늘의 형태를 보고 돌붕어 깨붕어를 결정 지어야 합니다.


돌붕어는 철갑붕어라고도 하는데 비늘이 철갑처럼 거칠고 단단합니다.

암반,자갈, 제방 석축등 돌틈에 삶을 공간을 만들면서 그환경에 적응하면서 비늘이 거칠어 집니다.


깨붕어는 일반 붕어가 메타고니무스(Metagonimus) 감염된것으로

미끈한 비늘에 깨같은 점만 박혀 있는 것을 말합니다.

참고만 하세요~^^
추천 5

IP : 506c9b84e2b91dd
언젠가 tv 방송본것 같은데요 깨붕돌붕 눈의여왕님 말씀에 한표 합니다
추천 0

IP : e220019a7da8f7f
눈의여왕님의 말씀이 맞습니다. 깨알같은짐이있다고해서 깨붕어나 돌붕어로 불리는것은 모순이라고 봅니다. 가령하여좀있으면 검은반점이 옂어지거나 없어질것인데. . . 그때는 무어라 부르실건지요?? 제생각에는 강계붕어라 칭하거나 아니면통종 붕어로 맞다고 봅니다.
추천 0

IP : c5d68b877e44f0e
어이쿠 정성스런 답변들감사합니다^^ 고놈들 건지로 출조 합니다ㅎㅎ
추천 0

IP : 2fc7e7b291c45f4
다슬기를 숙주에 하는 기생충입니다
일명 피부병이지요
이런 붕어를 잡고 돌붕어라 좋아 하시는데
피부병 걸린 붕어를 잡으신 겁니다
섭취시 사람인체에 큰 피해는 없다 하나
피부병 걸린 붕어를 먹는다는 것이~~~~~
전 다 방생합니다
추천 0

IP : f538c5f3d59d18e
군위 위천강에서 잡으면 열에 아홉은 나옵니다


눈의여왕님 말씀이 맞습니다.
추천 0

IP : d23d24f8e802a8c
일년에
2~3번씩
올라 오는 질문인데...

장흡충에 의한 표식 맞습니다
눈의여왕님이 잘 설명 해주셨네요

돌붕어는잡아보면
비늘이
보통 붕어처럼
매끈하지 않고
계곡지 붕어처름
날렵하면서
비늘이 약간 요철이
있는것 같으면서
거친비늘을 가졌습니다...
추천 0

IP : d96d7a003cdaa25
깨붕어 다슬기 기생충으로인해생기는 붕어.....
아~~~~~~ 보령 보 넘칠때 깨붕어잡으로가야하는대 ^^:
추천 0

IP : 1739daf6e43a4ef






첫번째 사진 = 돌붕어
두번째 사진 = 일반 붕어



깨같은 점을 볼것이 아니고 비늘을 보시면 차이점이 보이실겁니다.

돌붕어는 비늘이 거칠게 보입니다.

일반붕어는 비늘이 매끈합니다.

보편적으로 돌붕어에 깨같은 점이 많이 보여서 깨붕어를 돌붕어라 하시는 분들이 많은데

깨가 없는 깨끗한 돌붕어를 보시면 구분이 되실겁니다.

깨는 깨일뿐 ... 돌붕어는 별개입니다.
추천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