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도 100% 현장 찌맞춤을 합니다.
집에서는 현장에서의 시간 절약을 위해 수조통에서 대강 맞춘 다음 현장에서 미세 조정을 합니다.
제경우는 조금 가볍게 맞추는 편인데 (현장에서 모두 다 달고 캐미꽂이 윗부분이 나오게 맞추고 아래부분이 보이게 찌를 내놓습니다.) 편납 보각을 소도구통에 넣어두고 활성도가 좋거나 헛챔질의 빈도가 높으면 조금 보강하는 방식으로 변화를 주면서 합니다.
의외로 시간대에 따라 채비에 변화를 주게 되는경우가 많더라구요...
낚시할 현장에서 다시한번 확인해보세요
수압에따라 무겁게 맞쳐지는수도 있습니다.
대충이라 생각 하시고 현장에서 다시하시면 조과가 더나옵니다
방법은 제상식으로는 아주 잘하시는분 같습니다
하지만 알면서도 저는 현장에서 잘 안하게 되더군요
게을러서요 ㅎㅎ
그래서 대물 합니다
수고 하십시오
바늘달지않고 찌맞춤을 하는건 정확하네요
하지만, 수조통은 밀도가 낮아 좀더 가볍게 찌맞춤 됩니다
그러므로 지금맞추신 찌맞춤은 떡밥낚시시에는 살짝 무거운 찌맞춤입니다
수조찌맞춤은 하지 않습니다
현장맞춤만 합니다
수조통의 찌맞춤과 현장의 찌맞춤 천지 차이 입니다
집에서는 현장에서의 시간 절약을 위해 수조통에서 대강 맞춘 다음 현장에서 미세 조정을 합니다.
제경우는 조금 가볍게 맞추는 편인데 (현장에서 모두 다 달고 캐미꽂이 윗부분이 나오게 맞추고 아래부분이 보이게 찌를 내놓습니다.) 편납 보각을 소도구통에 넣어두고 활성도가 좋거나 헛챔질의 빈도가 높으면 조금 보강하는 방식으로 변화를 주면서 합니다.
의외로 시간대에 따라 채비에 변화를 주게 되는경우가 많더라구요...
알면 알아갈수록 어렵고 복잡한게 붕어낚시인가 봅니다.^^
수조통이랑 많이 틀려요 해보심..
저수지떡밥낚시 하실거면 더욱~~~~~~~~~~~~~~
양어장은 케미부분이 다나오게 마이너스 맞춤..
노지는 케미부분이 물과 수평맞춤..
노지는 찌맞춤 크게 상관없지만..
양어장낚시터에서는 현장 찌 맞춤이 중요합니다.
아주 민감하게 맞추어야 손맞을 볼수 있으니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