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바닥낚시

· 떡밥낚시, 유료터낚시 등 바닥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질문/답변] 스위벨 생미끼 사용시 목줄을 당줄로 몇센치정도 사용하시나요?

IP : 6a0da941cfd206c 날짜 : 조회 : 6156 본문+댓글추천 : 0

안녕하세요... 스위벨로 당줄을 목줄로 사용할때 생미끼 인 지렁이나 새우사용시 길이를 얼마로쓰시는가요? 아 저기 궁금한건 바늘과 스위벨의 아랫쪽 목줄길이가 정말궁금합니다.. 출조시. 추운날씨 방한 단단히 하시고 기록갱신하세요.. 꾸벅

1등! IP : dd91793c65bd51f
길이가 얼마라고 정해진것도 아니고요..
이길이가 맞네 저길이가 맞네 하는건 더더욱 아닙니다.

스위벨채비니.. 요즘 막 나오는 소위.. 예전부터 있었던 분활봉돌 채비의 짝퉁..
장사목적으로 이름바꿔가면서 많이 있던데.. 다 같은 채비이고. 크게 의미를 두지마세요

목줄길이도 마찬가지입니다.

바닥낚시에서 목줄이 가지는 의미는 붕어의 흡입과정 즉..먹이 섭취과정에서 이물감을 적게해주고..
최대한 부드럽게 하여서..먹이를 섭취하고 고개를 들때..봉돌의 부력을 깨는데 있는데요

낚시하시는곳에서 붕어의 활성도가 왕성하고 좋으면 목줄이 짧아도 아무상관이 없습니다.

단 저수온기나.. 붕어의 활성도가 떨어지고 입질이 정말로 예민하고 막 그러시면 조금만..
목줄을 길게 하여서.. 전혀 이물감을 없이 부드럽게 흡입하게 하고.. 미끼도 최대한 작게..
나름대로 개인의 노하우가 좀 필요하죠..모.. 대충 그런 맥락이에요

특히 생미끼 같은경우는..떡밥낚시도 아니여서 ..목줄이 떡밥낚시보다 짧아도 됩니다

분활채비의 단점도 있는데요.. 찌올림이 정직하지 못합니다.. 단일 본봉돌 채비일경우보다
그말이 무슨말이냐면.. 헛챔질이 많이 생길수가 있다는 이야기이구요

예부터 본봉돌 단일직공채비 비슷하게 생미끼를 많이 쓰는 이유는
정직한 찌올림에 의한 확실한 후킹(제걸림)을 보장하기 때문인데.. 그걸 잘 모르는 분들이 많습니다.

5~7센티정도 많이 사용하니깐.. 그정도 해주시면 됩니다. 근데.. 길이가 중요한게 아니라..
님이 낚시하는 곳에서의 여건이나...상태가 더 중요해요..

사람들이 저수온기가 되어가고 점점 예민한 채비에 눈이 돌아가니깐..
생미끼 대물낚시하는분들도 ..분활채비에.. 목줄길이 까지 조정해가면서 .. 채비를 더 가볍게 하는거 같아서..

낚시는 기다림의 미학아닙니까 ㅎㅎ
목줄길이가 중요한게 아니라.. 정말 잡힐놈은 무거운 봉돌 다 올려줍니다.. 그게 ..정직한 찌올림이란거 ㅎㅎ

아 밤에 잠이 안오니 ..내가 모하는지 모르겟네..지송요.. 도움되시길
추천 3

2등! IP : 34fc3fe595ce8e3
스위벨 목줄길이 떡밥이건 생미끼이건 길게해서 좋은게 아니더라구요..
전 묻기전에 나름 데이터를 분석하는 스타일이라...
질문자님처럼 해보았습니다...길어야 10cm내로 쓰심이 좋습니다..
저같은 경우는 모든미끼 7cm전후로 씁니다..
개인적으로 만족합니다
추천 0

3등! IP : 6a0da941cfd206c
네.. 완전 도움이 됩니다..진심으로 감사말씀드립니다..말씀해주신 부분에서 헛챔질을 줄이면서도 이물감을 더욱 줄일수 있는 저가모르는 황금비율이 있지 않을까 기대하며 여쭙는거지요..(개인적으론 스위벨이 원봉돌에비해 이물감을 더많이 줄여주고찌올림이 더이쁜??채비라고 생각하고있습니다만) 예전에 이쁜찌올림을 볼수있단말에 혹해서 대충 스위벨쓰다 기본도 모르고 문제가생겨 질문드렸는데 많은분들의 댓글에.. 엄청도움이되었습니다..그래서..궁금한 부분에 검색으로 찾지못하는걸 질문드리고있습니다.. 좋은 말씀 많이 부탁드립니다.. 떡밥엔 대충 6cm기준으로 쓰고있습니다 생미끼 10cm 괜찮을까요..
추천 0

IP : f7f7459961d1982
전 간단하게 떡밥이나 옥시시는 5cm정도내외 생미끼는 7cm정도 쓰고 있어요..지렁이나 새우는 보통 뜯어 먹는다고 하죠 툭툭 치는 입질이 많아서 떡밥이나 옥수수보다는 좀더 길게 사용하는겢 좋다고 봐요..그런데 무엇보다 목줄이 길고 채비가 어찌하던 간데 지금같이 입질 약할때는 포인트가 제일 중요하다 봅니다..고기가 있는곳에 먹기 좋게 가져다 놓는수밖에 없는것 같아요..
추천 0

IP : 0a4eb9c8a18432a
떡밥은 4센티, 생미끼는 7~10센티 이상 사용하고있습니다.
바닥이 많이 지저분하면,10~ 15센티까지도..
추천 0

IP : 2e9b02af69faeee
떡밥(당합사)..4~4.5cm(바늘 제외 및 결속후 목줄길이)면 충분~~이러쿵저러쿵 생각 필요없슴!

생미끼(당합사)..5cm(바늘 제외 및 결속후 목줄길이)면 충분~~이렇네저렇네 생각 필요없슴!

생미끼용 목줄로 10cm 가량을 사용하고자 한다면 합사는 불리하오니 경심줄(카본/모노)을 권하고 싶습니다~

글구 모노(퍼머현상)보단 카본(1.75~2호)을 추천하며 목줄길이는 바늘 제외 및 결속후 8~9cm면 최적입니다~ㅎ
추천 0

IP : 2d4b125f1bf1e4b
모노에 10센티이상~ 떡밥은5-7센티 합사를 기본으로 쓰시던데..전 모노에 떡밥 생미끼8센티 통일해서 씁니다~
추천 0

IP : d357667d3b623a1
목줄길이는 바닥낚시에 있어서 상당히 중요한 변수가 아닐까 생각합니다.

기다림의 미학이니 풍덩채비여도 올려줄놈은 다 올려준다고 말씀하시면 할말 없지만...

일단 채비의 효율성에 관한 이야기이므로 확인하고 가야 할거 같다는 생각입니다.


목줄은 봉돌이 바닥에 닿아 있는 상태에서 얼마만큼 봉돌과 거리가 있는지를 결정하게 됩니다

여기서 입질사각이 생겨나게 됩니다. 봉돌과 바늘과의 거리 안에서 미끼가 움직이면 봉돌은 움직이지 않으며

이 반경안의 공간을 입질사각지대라고 합니다. 즉, 목줄이 길면 길수록 입질사각은 커지게 됩니다.

또한 목줄이 지나치게 짧으면 먹이 바로 옆에 봉돌이 위치하게 되어 경계심을 불러올 수도 있게 됩니다.

그런 이유로 저수온기에는 목줄길이를 다른 시기와 비교해서 길게 해주기도 합니다.

또한, 바닥의 상황에 따라 때로는 봉돌만 바닥에 닿게 하고 가지바늘 채비를 운용하기도 합니다.

청태가 많거나 낙엽이나 수초가 삭아서 바닥을 매우고 있을 경우 미끼가 함몰되어 입질 대기시간이

지나치게 길어지게 될수도 있으니까요

따라서, 목줄길이는 상황에 따라서, 환경변수에 따라서, 적절히 변형해서 운용해야 합니다.

어떤 미끼는 몇센치로 하고 어떤 미끼는 얼마로 해야 한다는 정답은 없다는 말입니다.


단, 바닥이 비교적 깨끗하다고 가정했을때 5~7 센치가 경험상 입질을 유도하기 적합하다는 것입니다.

목줄이 지나치게 길게 되면 입질사각이 커지게 되므로 입질 대기시간이 길어지고 배고픈 붕어 이외엔

찌를 올려주지 않는다는 것이죠

가끔, 우아한 입질을 보기 위해서 15센치 이상의 길 목줄을 사용하시는 분들을 봅니다만

그분들은 하루에 한두번의 아름다운 입질을 보십니다. 완벽한 기다리는 낚시죠


저는 개인적으로 재미있는 낚시를 추구합니다.

따라서 무입질 1시간을 기다리지 않으며, 1가지씩 변화를 줍니다.

결과에 따라서 다른 변화를 생각하죠 그러다 보면 변화의 결과를 보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낚시인의 로망... 우아한 입질... 손맛... 대물... 다 좋습니다만

전 생각하는 낚시에 의한 성취감을 최고로 생각합니다.

그럼 이만.....
추천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