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처의조그만저수지입니다ᆞ수초가조금있고요수심은전반적으로2m권이고요ᆞ고기는대물잉어ᆞ가물치ᆞ조그만붕어와치어들이네요ᆞ노지낚시는왕초보라ᆞ미끼는옥수수랑지렁이어분써봤네요ᆞ그런데붕어작은거3마리가전부네요낚시할수있는곳은제방말곤거의없네요ᆞ넘두서없네요ᆞ낼가는데ᆞ지금시즌에수심이조금더깊은곳이나을까요?아님수온이빨리오르는얇은곳이나을지ᆞ대물잉어잡아서어머니고아드려야해요ᆞ미끼랑수심ᆞ제발좀도와주세요
- © 1998 ~ 2025 Wolchuck all right reserved. ▲TOP
되도록 조금 긴 장대를 투척하여 바늘 8호 이상 원줄 목줄 튼튼히 하시고 미끼는 떡밥류에 찐버거 많이 섞으셔서 던지시면
그나마 조금 낫을 껍니다
참대로는 힘들어요
내일은 아침에 가보려고 합니다..
한자리에 연속으로 집어하시면 꼭 옵니다
정성껏 고아서 효도하시길......
바늘은 붕어바늘 10호나11호 아니면 이두메지나
13호 정도 쓰시는게 좋을것 같습니다
찌맞춤은 바늘빼고 케미 수평맞춤이 좋을것 같구요
미끼는 신장떡밥 하나만 쓰셔도 되고 아니면
콩가루나 찐버거 찐깻묵을 섞어 쓰셔도 좋습니다
중요한게 피래나 잡어가 많이 없다면 떡밥을
잘풀리게 개어서 집어를 많이한 다음에 인내심을
가지고 기다리시면 잉어를 볼수 있을것입니다
낚시대는 많이 펴지 마시고 두대가 적당할거 같습니다
바닦은 진흙 바닥은 잉어입질 받기가 힘들기 때문에
단단하고 깨끗한 바닥 잔자갈이 깔린 바닥이 좋습니다
대단할듯 하네요 위에 분들 말씀처럼
긴대 위주로 하시다가 입질이 없을시
수초군이 형성된 곳에 20칸대 위주의
짧은 대로 하셔도 괸찮을듯 합니다
채비는 바늘은 10호이상
목줄 합사 3호이상 원줄 카본 3호이상 낚시대는 두대 정도가 좋겠네요
초기 집어엔 양어장 처럼 어분과 찐버거 또는 보리 등을섞어
잘 풀어지게 한그릇 준비 하시고 투척시 크게 달아 집어 하시고
다른 바늘 한쪽엔 스폐셜 같은 아주 향이 진한 어분을 미끼용으로
중지 손톨 만 하게 짝밥 형태로 투척 해 보세요
특히나 바람이 살살불어 물살이 유동이 있을타임에
잉어 입질이 자주 오며 찌가 들어 가는 입질 형태로 자주 들어 옵니다
낚시대 튼튼한거 준비 하시고 총알 필착 입니다...
심혈을 기울여 잉어 잡이에 몰두 하고 있읍니다...
거의 한달동안 어분및 밑밥으로 집어를 해놓은 상황인데...
하루에 두어번은 입질을 해주고 있답니다...
물론 걸어도 보았지만...원줄 2호라서 잡고자 하는 욕심보다
잉어들의 힘은 보통이 아닙니다...
낚시대 끌고 들어가는 것은 다반사이고
챔질과 동시에 낚시대 세우지도 못하고
안타까워만 하는 심정이죠 ㅎㅎㅎ
윗분들 말씀 처럼 단단한 채비부터 시작해서
인내심을 가지고 도전해 보시기를 바랍니다~~~
낚시대 빠이빠이~
옥수수 먹는 저수지가 있으면 옥내림이 아니더라도 밑밥 많이 주시고 기다리시면 한놈 걸릴것 같아요
페리칸 어분 따라갈게 없네요.바닥이 감탕이면 잉어밥 좀 더섞으시고 마사토나 황토라면 페리칸이 왔다 입니다
찐버거+아쿠아텍이면 됩니다. 꼭 큰놈 잡고 인증 올려주세요 ^^
태풍이 지나가고 나면 도전 하려고 합니다 ㅎㅎㅎ
참고로 잉어를 잡기위해서는 많은 인내와 노력이 따름니다...
그럼 제가 2달여걸쳐서 잉어들을 뻘탕에 모이게 했던 방법들을 잠깐 나열해 보겠읍니다~~
어분(천원짜리)을 낚시대 던질만한곳에 5봉정도 투척한다
겉보리황토로도 미리 밥질을 해놓구요...
2-3일정도 지나면 잉어들이 노는것을 목격할수 있을겁니다..
떠있는 고기는 잡을수 없듯이...잉어가 노는 시간을 체크해서
본밥을 투척해서 낚시를 시작해 보세요...
혼자서는 잉어를 제어해서 잡기가 힘이 듭니다...(장대용뜰채 필수)
원줄도 단단히~ 물론 목줄도 튼튼히 하시고요
목장갑이나 수건은 필수 사항이니 미리 준비 하시고요
잉어는 입질또한 까다롭읍니다...
붕어처럼 위에서 흡입하는게 아니라 어분을 빨아 먹듯이 흡입하기때문에
섣불은 챔질은 금물이고 찌가 살짝올렸다가 빨려들어갈때 동시에 챔질 하는게 젤 효과적이지만
잉어가 찌를 빨고 들어가는 이유는 이물감이 생기면 고개를 돌려서 도망을가기때문에..
찌가 빨려들어간다고 하네요
암튼 잉어전용 어분을 사용하실때는 단단하게 밑밥사용하시면 더더욱 잉어를 잡는데
효과적이고요...
챔질 타이밍 놓치면~~~ 낚시대 끌고 가는것에 대해 단단히 준비 하셔야 합니다...
물론 많은 조사님께서도 잉어를 수없이 잡아 보셨겠지만...
60이상급을 잉어라 부르듯 ~~~제가 잡고자 하는 싸이즈는 80이상급이고
2호줄로 기록 갱신에 도전코자 잉어낚을 요즘 즐기고 있답니다 ㅎㅎㅎ
기본적인 참고사항으로 생각하시고...저는 하루에 두번정도는 잉어 입질을 본답니다..
2호줄로는 감당하기 어렵다는 건 잘알지만..(원줄 5번 터짐 ㅎㅎㅎ)
제가 배운 잉어 낚시는 이렇읍니다...
제가 잡으면 쪽지 보내 드릴께요
잉어도 물론 드리고요 ~~~홧팅하자고용
마사토로된 포인트에 자리잡고 미동도 하지마세요 노지 초보이니 수심 1미터권 선택하고요
그 이상이면 제어하기 힘들겁니다
미끼는 가을인만큼 지렁이,새우처럼 동물성 미끼와 단품으로 어분,깻묵,참잉어 써보세요
원줄 5호에 바늘 감성돔 5호~6호
대추만하게 꼭꼭눌러 달아주면 잉어입질 빨리 들어옵니다
나는 잉어를 싫어라 하는데 세시간에 7마리나 달려들어서
둔치가면 그비율은 사용을 안합니다
올해는 꼭 잉어대물 하셔유 ㅎ
밑밥으로 옥수수,겉보리와 같이 섞어서 뿌려주시고 옥수수미끼 쓰신다면 낚을수있지않을까 합니다.
제가 자주가는 소류지는 잉어때문에 옥수수에서 새우로 미끼교체를 많이 하거든요.
좋은 조과있길 바랍니다.
그다음 채비 튼튼히 해가지고 드리데면 잡을수 있어용...가장 중요한게 집어에요...
아침일찍 먹이 섭취를 마이 하니깐...오전중에 드리데는것도 중요한것 같고요...
f-tv에서 친구동네 촬영하러 왔는데...일주일전부터 준비를 했다고 하네요...친구한테
포인터에 닭사료를 포대기로 뿌리라고 했다네요...촬영당시에 잉어를 8마리정도 잡았다고
하던데...ㅎㅎㅎ ...꼭 대물 잡으시길...
손끝마디정도 크기로 단단하게 ... 기다리는 낚시하며 낮에는 깊은곳이 유리하고 ,조용하거나 밤이라면 물가 얕으곳에도 나옵니다
잉어는 다니는 길목이 있어 알면은 유리합니다 붕어도 그렇지요 특히 잉어는 주로 앞이 넓게 트이거나,정초수품있거나,돌출부분등등
유리합니다 입질시 빨리 낚시대를 세워야 서로 씨름할수 있어요 못세우면 줄이 터지는 경향이 아주아주 많어요
강제로 낚시대 세울려고 하면 대에 무리가고,파손돼니 주의바람니다 많이 늦으면 낚시대 끌고 감니다 자기맘에 드는것으로 준비하세요
입질타입은 붕어입질과 비슷하나 대부분 찌를 5~10mm정도 스물스물올리다가 쭉 찌가 내려갑니다 또한 찌가 5~10mm스물스물올라오다가
멈춤이 있을때 챔질하세요 아무곳에서 잉어기달리면 허당하기 십상입니다 참고만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