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머님 살아계실때 어머님께서 명절날 차례는 생략하고 온가족이 모여서 식사나 하자고 하셔서 차례는 지내지 않은지 몇년이 되었습니다.
제사는 세달전에 어머님이 돌아가셔서 올해까지는 할아버님 할머님 아버님 제사를 모두 지내고 내년 부터는 어머님 기일에 모두 한꺼번에 지낼까 합니다.
어머님과 할머님 기일이 하루밖에 차이가 나지를 않고 이제는 따로 사는 형제들과 조카들이 한꺼번에 다 모이기가 힘이 드는군요.
그래서 일년에 명절 두번과 어머님 기일. 딱 세번만은 모두 모이기로 결정을 했습니다.
저는 5대째 장손 입니다.
아버지 돌아가시고 어머니께서 큰 며느리로 워낙 고생을 하셔서
자식대에 까지 부담을 지우고 싶지 않으시다고
어머니께서 강력히 주장 하시어
매년 4월 가족 봉안묘에서 조상님들 한번에 제사를 지냅니다.
명절 차례도 간단히 준비하여 봉안묘에서 지내고요.
2년전부터 제삿상 안 차리고,
묘소에 찾아가 간단히 몇가지 놓고, 술 한잔 따르고 인사하는 걸로 바꿨습니다.
덕분에 벌초를 자주하게 되고, 주변에 있는 많은 묘지들 중에서 외모가 가장 단정합니다.
고향에는 매월 한번씩은 내려가는 데 봄부터 가을까지는 그냥 운동 삼아 매달 가서 다듬어 드리고 옵니다.
그냥, 고향 내려가면 매번하는 루틴이 되었습니다.
형제들과도 명절, 제사 때 오고 가는 것도 전부 자율로 하자고 했습니다.
모이게 될 식구들 먹을 반찬이나 기본적인 음식들도 집사람과 같이 직접 붙어서 다 합니다.
앞에 하천이나 저수지가 있는 산꼭대기가 명당인 것은 옛말이라는...
찾아가기 쉬운 곳이 명당이라는...
제가 큰집에 독자라서
결혼하기전까진 명절.기제사 포함
1년에 12번 지냈습니다
나이많은 아들 장가못갈까봐
어머니께서 1년에 기제사한번
추석엔 산소에서 간단히 차례지내고
설때만 집에서 차례 모십니다
결혼전 집사람이 걱정많이 했는데
지금은 너무 편하고 좋다고..ㅋ
에고~~우리 엄만 47년을 이고생을 했내요
부모님도 이제 줄일까? 고민중이십니다.
제 주변에 친한 분들은 반반인거 같습니다.
제사는 세달전에 어머님이 돌아가셔서 올해까지는 할아버님 할머님 아버님 제사를 모두 지내고 내년 부터는 어머님 기일에 모두 한꺼번에 지낼까 합니다.
어머님과 할머님 기일이 하루밖에 차이가 나지를 않고 이제는 따로 사는 형제들과 조카들이 한꺼번에 다 모이기가 힘이 드는군요.
그래서 일년에 명절 두번과 어머님 기일. 딱 세번만은 모두 모이기로 결정을 했습니다.
물론 형제 모두요 그런데 제사 안지내니 일이 더 잘풀려요
고민도 없고 조상 잘모신다 ?? 돌아가시면 땡 이지요 좋은기억만 간직하면 돼겠지요
제주위도 다 지내는 편 입니다
곳으로
갑니다.
그리고 주변에보면
대체적으로 안지내는 집들도 있긴하더군요
기일은 모십니다.
아버지 돌아가시고 어머니께서 큰 며느리로 워낙 고생을 하셔서
자식대에 까지 부담을 지우고 싶지 않으시다고
어머니께서 강력히 주장 하시어
매년 4월 가족 봉안묘에서 조상님들 한번에 제사를 지냅니다.
명절 차례도 간단히 준비하여 봉안묘에서 지내고요.
부모님 봉양, 재산 상속 등 문제도 다툼이 있을 경우 남보다 못할 경우가 있죠.
특히 큰 며느리의 인성이 결정적 역할을 합니다.
무조건 지냅니다
아마 제 차례상에 각종전대신 옥시시전
조기대신 참붕어 민물새우 튀김 글루텐탕이 올라오진 않겄츄?
남들처럼 격식 갖추고 제대로 하는건지는 모릅니다만.
막내입니다.
그래서 옛말에" 맏 며느리 감이다" 역시
명절때는 차례도 지내구요.
한식떈 선친들의 선산에도 갑니다.
마눌이 가끔 짜증도 부리지만 그러면사도 할건 다합니다..
이제는 며느리도 밨으니 차츰 줄여나갈까 생각 중입니다.
아직까지는 마눌이 건강한 편이라서 제를 지내는 편입니다...
기제사는 남들 모라 해도 애들 집사람 그리고 고인이 평소 좋아하던 음식들 시켜서 제사 지냅니다.
그때 그때 새로나온 과자.과일도 놓구요
난 처가 제사나 차례지낼때 당신 만큼 도와 줄수 없으니 편하게 하자고 했습니다.
남에 귀한딸 데려다가 고생 시키는 것 같아 고집하지 않습니다.
돌아가신 부모님도 더 좋아 하실 거라 믿습니다.
이번 추석전에 벌초 간단히 하고 술한잔 올리고 가족들 모여서 2박3일 놀다 왔네요
묘소에 찾아가 간단히 몇가지 놓고, 술 한잔 따르고 인사하는 걸로 바꿨습니다.
덕분에 벌초를 자주하게 되고, 주변에 있는 많은 묘지들 중에서 외모가 가장 단정합니다.
고향에는 매월 한번씩은 내려가는 데 봄부터 가을까지는 그냥 운동 삼아 매달 가서 다듬어 드리고 옵니다.
그냥, 고향 내려가면 매번하는 루틴이 되었습니다.
형제들과도 명절, 제사 때 오고 가는 것도 전부 자율로 하자고 했습니다.
모이게 될 식구들 먹을 반찬이나 기본적인 음식들도 집사람과 같이 직접 붙어서 다 합니다.
앞에 하천이나 저수지가 있는 산꼭대기가 명당인 것은 옛말이라는...
찾아가기 쉬운 곳이 명당이라는...
설날, 추석은 안지내고 1년에 두 번 산소만 한 번 찾아뵙니다.
설, 추석, 2대 3번(증조부, 증조모 같은 날) 총 5번
지금은
설, 추석, 모친 총 3번 지냅니다
부친 돌아가시면 안 지낼수도 있습니다
결혼하기전까진 명절.기제사 포함
1년에 12번 지냈습니다
나이많은 아들 장가못갈까봐
어머니께서 1년에 기제사한번
추석엔 산소에서 간단히 차례지내고
설때만 집에서 차례 모십니다
결혼전 집사람이 걱정많이 했는데
지금은 너무 편하고 좋다고..ㅋ
에고~~우리 엄만 47년을 이고생을 했내요
제사합치고.
줄이고.
초저녘지냅니다
성묘는가는데
추석때 캠핑가네요
예전에 비해 간소하지만 설, 추석 차례상 준비합니다.
성묘는 전후로 신축적으로 하고요.
부모님은 기일 전후로 찾아 뵙죠.
차례밥 먹고 담소 하지요
여행다니던지 모여서 맛난거 먹으면서 담소나 나누기로 했습니다.
조상 덕 보는 사람들은 명절에 해외여행 다니고
조상 덕 없는 사람들이 '음식 차려 놓고 벽에다 절한다'는 말도 있더군요.
개인적으로 제사의 의미가 돌아가신 가족을 추모하고 살아있는 가족들간의 우애를 돈독히 하기위함 인데 제사를 준비하는 과정은 누군가는 수고스러움입니다.
그래서 앞으로 제사를 맡아 지낼 입장으로 옛 제사 문화에 얽메이지 않고 자손들이 참석할수 있는 제사,차례를 만들어 볼까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