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력이 큰 찌, 작은 찌
우리들은 막연히 부력이 작은 찌가 부력이 큰 찌보다 더 예민하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전통 바닥 낚시에서는 부력이 큰 찌나 작은 찌나 그 예민성에 있어서 전혀 차이가 나지 않는다. 이유가 무엇일까?
붕어 입에 걸리는 봉돌의 무게와 찌가 솟아오르는 속도라는 측면에서 생각해 보자.
찌낚시에서 찌맞춤은 필수과정이다. 봉돌의 무게는 이 찌맞춤 과정에서 찌의 부력에 걸맞게 조정된다. 그러므로 부력이 큰 찌에는 그에 상응하는 무거운 봉돌, 부력이 작은 찌에는 작은 봉돌이 짝지어진다.
그런데 붕어 입에 걸리는 봉돌의 무게는 봉돌의 원래 무게가 아니고, 원래 무게에서 찌가 들어주고 남은 무게(잔존무게)이며, 이 잔존무게는 찌맞춤과 수심맞춤에 의하여 그 크기가 결정되어진다.
예를 들어 표준찌맞춤 후 찌톱 한 마디를 내놓고 수심맞춤 할 경우 바닥에 닿아있는 봉돌의 잔존무게는 물 밖으로 돌출된 찌톱 상단 1마디의 상실부력으로서 돌출 부피에 해당하는 물의 무게가 되는 것이다.
이것은 곧 붕어가 들어 줄 봉돌의 무게는 부력이 크냐 작으냐에 상관없이 찌맞춤과 수심맞춤에 의해서만 결정되어 진다는 것을 증명한다.
일찍이 평산 송귀섭씨는 이 점을 간파하고 찌맞춤의 종류를 정의 할 때 표준찌맞춤, 무거운 찌맞춤, 가벼운찌맞춤으로 정리하였으며, 이 때 찌의 부력이 크냐 작으냐의 문제는 거론조차 하지 않고 있다.
다음은 찌가 솟아오르는 속도에 관한 것이다.
찌는 봉돌이 들리는 만큼 떠오르는데 봉돌은 붕어가 들어 준다.
그 과정을 살펴보면 붕어가 미끼와 함께 바늘을 삼키고 유영할 높이까지 떠오를 때 목줄에 연결된 봉돌은 붕어가 떠오르는 만큼 따라서 들리므로 봉돌의 떠오르는 속도는 붕어가 떠오르는 속도와 같다. 그런데 붕어가 떠오르는 속도는 꼬리지느러미를 이용하여 위로 헤엄쳐서 올라오는 것이 아니고 미끼(바늘도 함께)를 삼키고 나서 부레와 보조 지느러미를 이용하여 떠오르는 속도이기 때문에 찌가 떠오르는 속도보다 빠를 수가 없다.
왜냐하면 붕어가 아무리 부레를 크게 부풀려도 붕어 전체의 부피에 비해 부레의 부피가 작기 때문에 붕어의 비중은 물의 비중인 1보다 크게 가벼워지지 않는다.
그런데 찌의 비중은 부력의 크기에 상관없이 대개 0.5를 넘지 않으며 그보다 큰 비중의 찌는 존재가치도 희박하다.
따라서 찌보다 훨씬 비중이 큰 붕어가 떠오르는 속도는 찌의 부력의 크기에 상관없이 찌보다 빨리 떠오를 수가 없다.
고로 찌의 부상속도는 부력이 크냐 작으냐에 상관없이 붕어의 부상속도에 수렴하기 때문에 찌의 부력의 크기는 고려대상이 안 된다.
지금까지의 상황을 간추려보면, 전통 바닥낚시에서 붕어가 미끼를 물고 유영할 높이까지 떠오를 때 붕어 입에 걸리는 봉돌의 무게는 찌맞춤과 수심맞춤에 의해 결정되는 봉돌의 잔존무게이기 때문에 부력의 크기, 그리고 거기에 걸맞는 봉돌의 크기와는 아무런 상관이 없는 것이며 찌가 떠오르는 속도는 붕어가 떠오르는 속도에 제한되어지기 때문에 부력이 큰 찌나 작은 찌나 차이가 없는 것이다.
그러나 붕어가 바늘을 빨아드릴 때 봉돌이 빨려가면서 나타나는 예신은 봉돌이 클수록 둔하기 때문에 찌의 반응도 둔하지만 예신은 챔질타이밍이 아니기 때문에 고려의 대상에서 논 외로 하였음을 첨언한다.
그렇다면 찌의 부력이 크냐 작으냐 하는 것이 사용상에 아무런 상관이 없는 것인가?
아니다. 차이가 있다.
통상의 개념대로 긴대에는 부력이 큰 찌, 작은 대에는 작은 찌라는 발상은 대체적으로 맞는 발상이다.
그러나 절대적인 것은 아니다.
그러면 부력이 큰 찌와 작은 찌는 어떤 관점에서 선택해야 할까?
우선 전술한대로 긴대에는 부력이 큰 찌, 짧은 대에는 작은 찌를 쓰면 좋다.
그 이유는 채비 투척 시 공기의 저항을 극복하려면 긴대의 경우는 짧은 대보다 상대적으로 봉돌이 무거워야하며, 그렇다고 해서 지나칠 필요는 없다.
다음에는 수심에 따른 고려사항으로서, 수심이 깊을수록 부력이 큰 찌가 유리하다.
채비를 투척하면 봉돌은 본줄 길이만큼 날아가서 찌 쪽으로 다가오다가 떡밥의 무게 때문에 찌까지 다가오기도 전에 바닥에 가라앉는다.
찌는 찌대로 봉돌 쪽으로 끌려가다가 본 줄에 붙들려 이동이 제한되어지기 때문에 찌와 봉돌은 수직을 이루지 못하고 경사지게 되는데 찌의 부력이 작을수록 더 크게 경사진다.
그러면 찌는 수심맞춤 시보다 더 잠길 수밖에 없고 그 잠기는 정도는 떡밥의 무게가 똑 같을 경우 부력이 작은 찌가 더 많이 잠기게 되며 그 정도는 수심이 깊을수록, 떡밥의 무게가 클수록, 찌의 부력이 작을수록 더 많이 잠기게 되며, 심할 경우 찌가 물속에 잠기기 때문에 이런 측면에서는 부력이 큰 찌가 유리하다.
그리고 찌와 봉돌이 많이 경사질수록 떡밥이 떨어져 모이는 범위가 넓어지기 때문에 부력이 작은 찌는 집어에 불리하다.
그러나 원천적으로 볼 때 찌와 봉돌은 ‘필요악’이다.
붕어와 줄다리기를 할 때 거추장스러운 군더더기가 될 뿐이다.
그러나 찌의 경우는 찌맛, 손맛, 입맛이라는 말대로 꾼에게 환상적인 즐거움을 제공하는 장본인이다.
그러므로 찌올림의 황홀감을 만끽하려면 수심에 여유가 있는 한 적당히 키워주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강좌(Tip)
· 테크닉, 미끼운용, 용품, 역사, 문화 등 낚시 장르에 구애 없이 낚시와 관련된 모든 실용적 강좌나 TIP이 해당됩니다.
· 기존제품의 개조 또는 자작용품의 경우 나의낚시장비를 이용해주시기 바랍니다.
· 본인이 저작권을 가지는 게시물만 게시하여 주십시오.
· 질답 게시판이 아니오니 질문은 월척지식을 이용하십시오.
· 동영상은 동영상게시판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봉돌만 있을때는 무게감이 있지만. 봉돌에 맞는 풍선을 단다면 [봉돌 = 풍선]이라는 해석이 맞는지요?
풍선(찌)이 있기 때문에 봉돌의 무게는 간과해야 하는 말씀인지요..잘 해석했는지 모르겠네요..
장대 매니아들 보면 봉돌이 13~17호까지 쓰던데..그 봉돌을 0점 맞춤을 하는냐? 아니면 마이너스 맞춤을 하는냐에 따라서
민감한 낚시가 될수 있는거죠.. 잘 읽었습니다.
수중에 떠있는 잠수함(^^)과 수중에 떠있는 페트병을 들어 올리는데는 같은 힘이 작용한다는 말씀으로 해석해도
됩니까..?
참 어렵네요...
더불어 아래 의견에 님의 견해는요?
1,경험상 저수온기나 활성도가 낮을때에는 저부력찌가 찌올림이 좋지 않나요?
2,그리고 같은 크기의 찌몸통중 부력이 많이 나오는 찌가 예민성이 좋지 않나요, 채비투척도요?
어떤 한사람이 자연현상을 이것이라고 단정하기에는 오묘하고 미지의 사실이 많이 존재하지 않을까요?
진리를 찾아가는 우리였으면 합니다. 유명한 분이건 저같은 평범한 사람이건 간에...
잘보고 갑니다.
잘 배우고 갑니다. 모두들 즐낚하시길...
남해어부님의 글을 읽다 보니까 야간의 견해 차이가 있었어 글을 올립니다.
찌의 부력이 큰 찌와 작은 찌의 침하력과 부력의 관점에서 볼때는 분명히 맞는 말씀입니다.
하지만 대물 낚시에서 고부력찌를 선호하고 떡밥낚시에서 저부력찌를 선호하는 이유는
대물낚시에서는 수초를 끼고 하는 낚시이다 보니까 바닥의 수초지대를 뚫고 찌를 세워야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똑같은 표준 찌맞춤을 하였더라도 고부력찌는 뚫고 내려 갈수 있는 수초지대를
저부력찌로는 둟고 내려 가지 못하는 경우는 허다합니다.
왜 그렇까요??
그것은 바로 찌가 완전히 제자리에 자리 잡기 전까는
님이 말씀하신 잔존 무게 때문이지요
잔존 무게는 당현히 고부력찌가 더 많지 않을까요??
그리고 붕어가 입질을 시작하여 봉돌이 바닥에서 떠 올랐을때
저부력찌와 고부력찌는 분명 잔존무게에서 차이가 있다고 봅니다.
그때 이물감은 분명 고부력찌가 더 많이 느낄 것입니다.
옥수수 내림낚시가 이에 해당하는데
최대한 붕어가 이물감 없이 미끼를 흡입할수 있도록 만든것이 옥수수 내림낚시니까요!!
그리고 찌 솟음에 대한 것인데요
붕어가 봉돌을 물고 일어 난다면 당연히 님의 말씀과 같습니다.
근데 찌솟음이 좋은 찌와 그렇지 못한 찌의 차이점은 목줄의 길에 따라 달라진다는 것입니다.
봉돌 바로 밑에 바늘이 달린 아주 아주 짧은 목줄을 쓴다면 붕어가 먹이를 취의하는 순간 바로
찌에 예신이 나타나고 붕어가 먹이를 먹고 몸을 일으키면 바로 찌가 솟아 올라 오겠지만
어느 정도의 목줄을 가지고 있는 채비라면
분명히 붕어가 미끼를 취의하고 목줄길이만큼 들어 올렸을때 봉돌이 바닥에서 떠오르겟죠!!
이때 봉돌이 바닥에 떠 오르기 시작하고나서 찌가 솟아 오르는데 이때 어떻게 찌가 솟음을
표현하느냐에 따라 찌솟음이 좋은찌와 나쁜찌가 있다고 봅니다.
자중(찌 자체 무게)이 무거운 삼나무(스기), 오동찌같은 경우 솟음이 느릿하게 솟아 오르지만 솟음 폭이 다소 적을 것이고
자중이 가벼운 발사, 공작, 갈대, 부들등의 경우 솟음이 빠르게 표현하다 높게 표현는 경우가 많은 것이라고 봅니다.
단순히 붕어가 미끼를 물고 일으서는 만큼 찌가 솟지는 않는 다는 것입니다.
찌솟음은 찌의 형태와 찌의 재질, 찌맞춤과 목줄의 길이를 어떻게 했는냐에 따라 솟음 폭이 높고 낮게
그리고 느릿하게 빠르게 표현하는냐 결정 짓는 것이 아닐까요??
남해어부님의 생각과 조금의 차이가 있었어 몇자 적어 보았습니다.
갑자기 여름이 찾아 왔네요
건강하시고 대물하세요
통나무에 0점 맞춘것과 나무젖가락에 0점 맞춘것 비교해 볼께요.
만약 B봉돌을 얹는다 생각하면. 통나무는 움직이지 않지만 나무 젖가락은 가라 앉습니다.
찌를 움직이게 하는 순간적인 힘!
분명히 집고 넘어가야할 부분입니다.(붕어가 느끼는 이물감)
고부력은 대물낚시, 저부력은 떡밥낚시 편이 갈리지만 그 나름데로의 철학이 있겠죠.
분명히 차이가 납니다.(미세하게 파고들면요)
우리 대물낚시 걍 풍덩 던져두고 무모한 기다림의 낚시!
연구할수록 힘들고 어려운게 낚시이더군요
남해어부님글에 반박글 같아 죄송합니다.
제가 느낀바를 올렸으니 오해 없으시길 바랍니다.
추천 한방 놓고 갑니다.
주먹만한 봉돌 표준맞춤
좁쌀만한 봉돌 표준맞춤
찌톱의 길이와 소재,굵기도 같다라고 가정하에,
주먹만한 봉돌 제아무리 표준맞춤해도 붕어는 들어 올리지 못할껄요.과장되게 말했지만!!
또한 찌의 전체적 표면장력이 상당하여 붕어에게는 이물감으로 작용할겁니다.
그러므로 고부력찌를 저부력 만큼의 예민성을 주려면 표준맞춤 보다 더 가볍게 맞추어야~~
동절기 하우스 예민한 입질을 잡으려고 가벼운 카본톱에 저푼수, 저부력찌도 있지요.
예민성을 결정짓는 요인에는 찌톱무게(소재),찌재질,부력,찌맞춤 기타등등을 들수 있습니다.
결론은 같은 찌맞춤이라는 가정하에 저부력찌,고부력찌는 예민성에서 차이 난다고 생각합니다.실전에도 느꼈구요!
저도 추천 한방 놓고 갑니다...^^
예전에 조우와 이런 논의를 해본게 기억남니다.
봉돌의 크기도 둘다 같다고 칩시다.
그런데 한쪽은 같은크기지만 잠수함무게의 봉돌 무게이고( 찌의 부력이 억만푼수라 하고)
다른.. 한쪽은 ..8푼이라고 합시다.
그런데 물속에서 이 두가지 경우의 찌를 같이 부력을 재어 두면 모를까...
현실에선 같은 재질의 고부력찌와 저부력찌의 부력이 틀리면 찌의 크기도 틀려지고 물속에서 몸통과 봉돌의 크기도 틀려지니...
같은 마디에서 찌맞춤을 하더라도..실제 물속에서 작용하는 건 틀리다고 봅니다.
강산지기님의 말씀 처럼 물속은 진공상태가 아닙니다...
만약 진공이면.. 핵장수함과 물속 패트병은 동일한 힘에 동일하게 반응하는게 맞지만
물속은 틀리다고 봅니다.
붕어낚시의 특성은 먹이를 흡입하는 섭이습성이고
봉돌이 바닥에서 띄워야 찌에 그영향이 나타나는 낚시이므로
1과 10의 중량의 봉돌을 들어올린다고 가정하면 당연히 1이
붕어에게도 부담을 덜주고 예민할것 같은데 제가 잘못 알고 있나요
10을 붕어가 흡입 한다고 하면 어지간한 붕어의 흡입력으로는 먹이 취하고 봉돌 자체를 부상 시키지
못할것 같은데 말입니다.
봉돌이 바닥에 닿지 않고 뜨잇고 입질의 형태가 찌가 물속으로 들어가는
바다낚시에서도 찌의 크기(부력)에 따라 물에 받는 찌의 표면장력과 입수시 저항에 영향을 준다고 봅니다
0점 맞춤을 한 바다찌도 탁구공과 농구공을 비교해 보면 당연히 농구공이 입수시 물의 저항을 많이 받겟지요
우선 둘다 무거운찌맞춤(부력의 관점에서 음성부력) 상태라고 가정하면
이 두찌를 붕어가 들어올리기 위해서는 표준찌맞춤(부력이 중성부력)이 된 다음에
다시 가벼운찌맞춤(부력이 양성부력)으로 되도록 붕어가 힘을 가하여 들어올려야 하며
정확히 중성부력(부력균형)인 상태에서 양성부력이 되기 위해서는 둘다 똑같이 +a의
부력만 있으면 되기 때문에 똑같다고 볼 수 있겠죠~
그러나 고부력찌에서는 아무래도 아주 정확한 부력균형이 되도록 봉돌을 깍기가 저부력보도
힘들기 때문에 음성부력상태로 찌맞춤이 될 가능성이 더 크고... 따라서 가벼운 찌의 민감도가
더 좋아질 확율이 높다고 볼 수 있을 것 같네요~
군계일학 사이트에서 찌맞춤에 대한 테스트 동영상을 보면 찌맞춤을 한후에 (사이트에선 좁살로했더군요...) 수조 아래에서 봉돌을 살짝 들어올리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이때 자세히 보면요 봉돌이 들면서 바로 찌가 올라가는것이 아니라 원줄(자세히 말해서 사이트는 좁살봉돌 채비이기에) 본봉돌과 좁살봉돌 사이의 원줄이 살짝 구부러지는것을 볼수 있습니다... 이말은 최초 붕어가 봉돌을들어올릴때 약간의 관성의 법칙이 작용한다는것을 말해줍니다...
즉 무슨말이냐 하면요 붕어의 상승속도가 분명찌보다 느린것은 맞지만 최초에 들어올려주는 아주 짧은순간에는 관성의 법칙때문에 찌보다 붕어의 상승속도가 빠르단 말이죠... 즉 아주 짧은 시간이긴하지만 붕어는 봉돌의 무개를 100% 는 아니라해도 상당부분 그대로 느낀다는예기가 되는겁니다 결국 최초 입질시엔 작은 봉돌이 달린 저부력찌가 유리할수 밖에 없게 되는겁니다...
많은 조사님들이 실제 낚시시에 저부력찌의 찌놀림이 예민하게 느껴지는것도 여기에 기인하구요...
아직 배울점이 많은 초보지만 제생각 몇줄 적었습니다...
계속 연구해 주세요~ ^^
처음 낚시를 시작해서부터 쭈욱 찌맞춤부터 찌톱길이, 굵기 , 원줄의굵기, 무게 등...갖은 모든것을 동원해서라도 가장완벽한
입질과 찌맛을 보고자 노력했지요.
시간이 많이 흘렀네요...그런데 물속사정은 붕어마음이더군요.
그래서 마음 비웠습니다.
좀무거운 찌도 올리는 놈은 올리고 아주예민한 찌도 않올리는 놈은 않올리더랍니다.
그냥 잘 올려주면 그데로 하고 입질이약하면 그런가 보다 하고 쉽게생각하니까 스트래스 덜받더군요
그래도 욕심생기면 머 쫌 깍고 갈기도 합니다만...그냥 이젠 익숙해져서 그냥 하네요.
남해어부님과 또 댓글로 토론하시고 의견을 나누시는 모든분들 정말이지 존경스럽습니다.
밝힐것은 밝히고 알것은 알야야 겠지요 ㅎㅎ
이제 담담히 즐기실 경지에 오르셨으니 너무 예민한 낚시하지마세요....
추천한방.....
각자 상황에 맞게 낚시가게요^^.
고부력 43쎈티 오동나무찌 고리봉돌 9호
저부력 33쎈티 고리봉돌 1호이하 ..
두가지를 씁니다만 바람부는날 장대투척엔 고부력이 유리하지만
조황까지 유리하진 않습니다
제가 주로쓰는 찌는 보트낚시든 연안낚시든 떡밥용저부력찌입니다
심지어 수초대에서도 저부력찌를 쎗팅합니다
관성이든 부력이든 과학적인건 모르겠지만 조황은 역시 떡밥찌입니다
참 어렵네요.
나름 생각해봤을때 위에 지름이님 말씀이 상당히 공감이 가네요.
한밀짜리 물통에 부력맟춤한것과 박카스병에 맟춤한것은 0점 맟춤은 같지만,
그것을 움직이게 하는 힘은 전혀다름을 알수 있네요.
성재현님의 좁살봉돌채비편을 읽고 나서 논하는게?????????????
그리고 찌의 부력에 대비한 봉돌을 올리는 속도를 아예 못박아놓고 계시는데 이또한 단순한 비중차이로 설명될수 없는 부분입니다
먹이취이습성, 어종의 차이, 물의 비중, 탁도, 수온등이 복합적인 상관관계가 작용하고 있습니다
그로인하여 적시하신 붕어의 상승을 찌의 상승속도보다 아래로 설명하신데 동의 할순 없습니다
저는 약간의 무거운 맞춤으로 쭈--욱쓰고있는디
잘 읽고 배우고갑니다.
월척의 열정은 어디까지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