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유동낚시의 필요성
요즈음에는 거의 전유동을 많이 한다. 몇 번하다 보니까 반유동이 오히려 갑갑하게 느껴지기 때문이다. 볼락낚시에서 찌낚시를 좀체로 안하는 이유와 비슷하다. 의도적인 미끼놀림이나 매 캐스팅시의 공략폭을 더 넓게 할 수 있다. 점점 한가지씩 상황에 따라 대처하는 요령이 생기는 것도 같다.
반유동이 유리한 점은 특정 공략 위치와 수심층에 채비를 입수시키고 머물게 하기는 쉽다. 하지만 바닥층을 주로 노리는 감성돔 낚시에서는 적정 수심에 대한 의구심과 수심조절에 대한 스트레스가 만만치 않다. 이에 반해서 전유동은 어느 지점이든 약간의 봉돌무게 조정만으로 순간 순간 공략이 가능하며 한번 입수로 경사진 바닥층을 다 훑을 수가 있고 편하다.
나의 채비는 주로 KzGTR를 많이 쓰고, 원줄은 1.8호와 목줄 1.2호, 또는 원줄 2호와 목줄 1.5호를 셋팅한다. 목줄에 비해서 원줄이 가늘기 때문에 채비놀림이 편하고 입수가 잘 된다. 찌분실은 크게 염려할 필요가 없다. 직결매듭위에 찌스토퍼가 있기 때문에 밑걸림시 그냥 잡아당기면 된다. 단 그냥 잡아 당겨야지 낚시대를 툭툭 쳐서 바늘을 틀어 낼려는 방식은 가는 원줄이 가이드에 마찰을 받아서 터지는 수가 있으므로 좋지 않다. 그리고 몇 번 잡아당겨서 원줄의 강도가 약해졌다 싶으면 그 길이 만큼은 잘라 내는 것이 경제적으로 훨씬 이득이다.
찌의 크기는 예민성보다는 원투성을 우선 고려하여 선택해야한다.
찌의 구조는 원추형 구멍찌보다는 대구경기울찌가 거의 대부분의 상황에서 유리하다고 본다. 상대적으로 밑채비를 더 가볍게 해도 입수가 잘 되기 때문에 고기의 입질저항도 적고, 속조류를 잘 타기 때문에 공략폭을 좀더 넓게 할 수가 있기 때문이다. 단 어신전달은 원추찌에 비하여 떨어지므로 원줄이나 초리로 파악해야하는 경우가 많다.
J쿠션수중은 바람이 많이 불어서 채비가 밀린다 싶거나 이중조류가 심하다 싶으면 다는 것이 좋고, 원거리를 공략시에도 원줄관리에 의한 밑채비의 필요없는 당겨짐을 줄일 수 있어서 유리하다.
또한 자기앞에서 뻗어나가는 조류에서는 수면하의 원줄이 조류전방으로 활처럼 휘어지는 것을 막기 위하여 취부한다.
봉돌의 무게
기본적인 상황, 즉 조류가 적당하고 수심 8m 정도인 상황에서는 KzGTR찌에 원줄 1.8호, 목줄 1.2호 4.5m의 채비라면 봉돌무게를 g2 ~ g3 정도에서 시작한다. 수심이 12m이상의 깊은 곳도 여기에 g3 ~ g4 정도만 추가하면 된다. 하지만 조류가 세어서 너무 뜬다 싶으면 1호 이상으로도 과감히 올려야 한다. 또한 수심이 깊지 않아도 원투시에는 봉돌무게를 2B ~ 3B로 과감하게 물려야만 늘어진 원줄의 저항을 상쇄시켜서 채비를 입수시킬 수가 있다. 자기 앞으로 다가오는 조류에서는 가볍게 물려도 하강이 잘되나, 뻗어나가는 조류에서는 훨씬 무겁게 물려야 밑채비의 하강을 시킬 수가 있다.
봉돌의 분납및 물리는 위치
벵에돔낚시와 달리 바닥층을 위주로 하는 감성돔낚시에서 분납은 장점보다는 단점이 더 크다고 생각한다. 분납의 목적이 입질시의 무게감(저항감)을 적게 하고자 함이지만, 분납채비로는 바닥걸림을 극복하기가 매우 까다롭다. 그래서 나의 경우 1호정도의 무게가 요하더라도 분납보다는 한개만 물리는 것을 선호한다. 밑채비의 부드러움을 위해서는 차라리 봉돌위치를 목줄상부로 올리는 것으로 대신한다.
봉돌을 다는 위치는 바늘에서 한발정도를 기본으로 하며, 바닥에 큰 수중여가 듬성 듬성 있거나 턱이 있으면 1발 반이상으로 올려서 미끼가 반탄류를 타고서 떠 오를 수도 있게 한다. 바늘에서 봉돌까지를 조금 길게 하는 이유는 미끼의 하강을 좀더 완만히 하여서 입질 받을 수 있는 타이밍을 좀더 길게 하기 위함이다. 하지만 밑걸림이 심하거나, 게를 미끼로 사용할 경우에는 극단적으로 바늘귀 바로위에 봉돌을 물려서 바닥층 공략에 유리하게 한다.
바늘은 반유동에 비하여 조금 더 큰것을 써도 무방하다. 조류가 세지 않으면 수심 6 ~ 7m 정도는 바늘 무게만으로 채비를 내릴 수가 있으며 봉돌을 달더라도 그만큼 가볍게 쓸수 있으므로 밑걸림을 줄일 수가 있다.
처음 내리는 곳에서 낚시를 시작 할 경우, 대충의 예상되는 수심보다 10m이상되는 곳에 면사매듭을 해 둔다. 수심파악을 빨리 하고 싶으면 처음에는 봉돌을 조금 무겁게 하여 바닥도달에 요하는 원줄의 길이를 파악한다. 도저히 감이 안 오거나 바닥층을 집중적으로 노리고 싶은 경우에는 어신찌의 부력보다 확연히 무겁게 봉돌을 물리는 방법도 있다. 이 경우 봉돌이 바닥에 닿기전까지는 어신찌가 물 속에 잠기게 되며 일단 바닥에 도달한 뒤부터는 다시 떠오르게 된다. 바닥도달여부가 확연히 구별되므로 뒷줄잡기의 타이밍을 정확히 할 수가 있어서 생각보다 밑걸림이 적다. 또한 이 방식은 거센 조류에서의 바닥층 공략에도 유용한 방법이다. 일단 수심이 대충 파악되고 나면, 봉돌무게를 약간 가볍게 한 뒤 바닥층에서 2 ~ 3m 까지는 빨리 입수 시킨 뒤 뒷줄을 잡아 주어서 채비정렬과 미끼가 서서히 하강하도록 한다.(밑밥을 찌보다 먼저 투척한 경우임, 반대로 찌 투척후 밑밥을 칠 때는 처음부터 뒷줄을 견제해야 내려가는 속도를 맞출 수가 있다.)
바닥도달 유무를 파악하는 요령
먼저 채비가 중층에 떠 있을 때의 찌의 잠김정도를 기준으로 한다. 밑채비가 완전히 바닥에 도달하면 긴장이 없어지고 찌가 놀게 된다. 이 상태에서 계속 방치하여 바늘이 바닥에 걸린 상태로 찌가 조류에 밀리면 찌는 서서히 잠기게 된다. 조류가 약한 경우 찌가 입수후 발 앞으로 밀려오는 경우는 아직 채비가 바닥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이다. 바닥에 도달하면 더 이상 밀려오지 않고 뒤뚱거리게 된다. 뒷줄을 짧게 견제시 찌가 크게 잠기면 밑걸림이다.
밑걸림을 줄이는 방법
밑채비가 완전히 바닥층에 도달하였다고 판단되면 뒷줄을 더 이상 주지 않고서 초릿대를 물 속에 처박는다. 이 상태에서는 봉돌이 바닥에 닿아서도 찌가 들어 올리는 힘을 제공하므로 봉돌이 바닥을 스쳐 다닐 수 있으며, 바늘도 깊이 박히는 경우는 드물다. 밑채비가 바닥에 걸렸다고 판단되는 경우, 절대 무리하게 당기지 않는다. 어차피 바닥층이 입질층이고, 밑걸림이 심한 곳이 포인트가 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그 상태로 입질을 기다린다. 대부분 잠시후 가벼운 밑채비는 속조류를 타거나 또는 잡어에 의해서 밑걸림은 저절로 풀리게 되며, 그래도 안 풀리면, 원줄을 느슨하게 해서 기다려리다 보면 저절로 풀리는 경우가 많다. 또 한가지 방법은 초릿대를 젖가락 흔들듯이 짧게 좌우로 몇번 흔들어 주면 잘 풀린다.
전유동하면 전층을 노릴 수가 있고, 한번 입수후 한꺼번에 지나치게 넓은 범위를 흘리려고 하는 오류를 범하기 쉽다. 이 방식보다는 매 캐스팅마다 특정 공략지점을 정하고 수심및 조류를 감안하여 투척지점과 밑밥투여 지점을 결정한 뒤 그 공략범위내에서만 세밀한 탐색을 행하는 것이 더 낫다. 혹자는, 발 앞으로 밀려오는 조류나, 조류가 약할 때, 바람부는 날에는 반유동이 더 유리하다고 하지만 내 생각은 다르다.
오히려 전유동을 하기가 가장 까다로운 상황은 뻗어 나가는 조류이다. '발 앞으로 밀려 들어 오는 조류'에서는 어차피 미끼선행은 불가능하다. 오히려 반유동채비는 어신찌 및 흑단에 의해서 밑채비가 겉조류의 영향을 더 크게 받는다. 즉 미끼가 지나치게 세게 끌려오게 된다. 하지만 전유동에서는 찌는 앞으로 다가 오지만 밑채비를 끌고 오지는 않으므로 밑채비를 속조류에 맡길 수도 있고, 의도적인 조작도 가능하다. 바닥에 닿았다 싶으면 조류속도보다 약간 더 빠르게 한번씩 당겨서 여유줄을 감아서 물 속에 잠긴 원줄이 직선을 이루도록 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물 속의 원줄이 조류에 밀려서 조류진행방향으로 반원을 그리게 되므로 어신을 파악할 수가 없다. 이 때의 어신파악은 민장대맥낚과 동일하다.
채비의 저항감때문에 찌가 들어가는 시원한 입질은 드물고 주로 톡톡거리는 느낌뿐이다. '조류가 약할수록' 어차피 공략층은 더욱 더 바닥을 노려야 하고 미끼를 부드럽게 움직여 주는 것이 유리하고, 저항이 적은 예민한 채비가 요하게 된다. 이런 점에서는 전유동이 더 유리하다. 문제는 밑걸림인데 밑채비가 가볍고 바닥도달유무의 파악이 유리하므로 생각보다는 밑걸림이 심하지가 않다. 채비놀림은 바닥에 닿으면 한 번씩 뒷줄을 당겨서 밑채비를 들었다가 견제상태로 두면 미끼는 서서히 가라 앉게 된다. 이 방법을 반복하면서 멀리서부터 가까운 곳으로 훑어 오는 것이다. 입질파악은 찌보다는 견제상태에서 초리로 전달되는 느낌에 의존해야한다. '바람'은 가벼운 밑채비를 쓰는 전유동낚시에서는 채비조작에 분명 방해가 되지만, 가는 원줄(1.8호이하)과, J 큐션수중, 봉돌을 약간 더무겁게 함으로써 어느 정도는 극복을 할 수가 있다. 그리고 바람에 의한 원줄밀림및 이중조류현상에 의한 저항력이 밑채비로 전달되는 정도는 반유동에 비하여 훨씬 덜하다. 잠길찌보다는 못하지만 반유동보다는 더 유리하다고 본다.
뻗어 나가는 조류의 공략법
우리가 흔히 착각하고 있는 점이, 일정 유속으로 뻗어 나가는 조류대속에서 우리가 이상적이라고 생각하는 밑채비의 경사각을 45도 정도를 유지하면서 미끼의 전진과 하강을 연출할 수 있다고 믿는 것이다. 밑채비의 전진은 조류의 힘으로 가능하고 밑채비의 하강은 봉돌의 무게로 가능하지만, 여기서 한 가지 더 고려해야할 점이 어신찌도 조류에 의하여 밀린다(전진한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곧부리에서 바다를 바라볼 때 조류가 좌에서 우로 흐른다고 가정하자. 자기 정면에서 좌측으로 찌를 투척하면 조류방향과 원줄방향이 일치하므로 찌는 원줄을 타고 쉽게 들어오게 되며 밑채비는 자유롭게 하강을 한다. 찌가 자기 정면을 지날 쯤이면 찌와 원줄이 조류방향과 직각을 이루게 된다. 이 때부터는 원줄의 통과는 밑채비의 무게에 의해서만 가능하다. 찌가 우측으로 진행할 수록 원줄과 조류방향은 점점 더 예각을 이루게 되므로 조류가 찌를 미는 힘도 점점 더 강하게 작용을 한다. 이 때부터는 아무리 원줄을 느슨히 하여도 더 이상의 원줄의 입수(찌통과)는 일어날 수가 없다. 오히려 점점 더 찌가 원줄을 타고 진행하면서 밑채비는 끌려 오르게 된다.
다음의 경우는, 찌를 자기 정면에서 우측 방향(조류진행방향)으로 투척해야만 하는 상황이다. 이 경우는 찌가 착수되자 마자 찌가 목줄방향으로 타고 들게 된다. 이 상황에서의 채비를 하강시키기 위해서는 조류가 찌를 미는 힘보다 더 강하게 봉돌을 물려야한다. 찌가 조류방향으로 진행하는 상태라면 채비의 하강은 없다. 그렇다고 지나치게 무거운 봉돌을 물리면 채비의 하강은 쉽겠지만 일단 바닥까지 내린 후부터는 조류의 힘을 받아 밑채비를 진행시킬 수가 없다. 그러므로 조류진행방향으로의 탐색은 불가능하고 조류를 거슬러서 당기면서 탐색할 수 밖에 없다.
좀 더 가벼운 봉돌로 채비를 입수시키고 싶으면, 찌를 센 조류의 외곽으로 벗어나게 하여서 그 곳에서 채비의 하강을 시도하는 방법이 있다.
조류방향과 원줄방향의 각도에 따른 원리는 채비가 공략지점에 도달한 이후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즉, 원줄을 조류방향과 직각으로 하게되면 찌가 밑채비를 타고 드는 힘이 약해지므로 밑채비는 좀더 자유롭게 하강하면서 갯바위 벽면쪽으로 붙게 된다. 반면, 원줄을 조류방향과 일치시키면 채비는 서서히 상승하면서 전진을 하게 된다. 고로 채비를 하강시키고 싶으면 원줄을 조류방향에 직각으로 해 주고, 반대로 채비를 띄우고 싶으면 조류방향과 일치되게 해 주면 된다.
원거리( 50m ~ 150m )공략요령
강한 본류대가 찌투척거리내에서 스쳐 지나가는 지형에서는 조류의 힘을 이용하여 원줄길이한도내에서 원하는 특정지점을 공략할 수가 있다. 하지만, 실제 시도해보면 찌가 눈에 보이는 조류방향으로 진행하지 못하고 점차 안 쪽으로 끌려 들어오게 된다. 이 경우 가장 중요한 것은 찌와 원줄의 선택이다. 찌까지 늘어진 원줄의 밀림을 이겨낼 수 있는 큰 사이즈의 고부력찌를 써야하고 원줄이 가늘어야 한다. 그리고 이런 경우에는 J쿠션수중같은 수중찌를 취부하는 것이 물 속 원줄을 곧게 펴주는데 도움이 되며 채비의 떠오름을 막아줄 수가 있다.
이런 지형에서의 공략지점선정은 강하게 흐르던 조류가 죽는 지점이나, 본류대의 가장자리, 두개의 본류가 만나면서 조경을 이루는 지역, 물이 도는 지역이다. 채비의 입수는 흘려 보내는 도중에 너무 미리 조급하게 시도할 필요는 없다. 일단 목표지점까지 찌를 흘려 보내는 것이 우선이고, 그 이후 뒷줄을 견제하면 찌가 본류에서 벗어나게 된다. 일단 조류가 약한 지점에 도달하게 되면 찌의 움직임은 현저히 느려지고 이제야 비로서 봉돌의 무게가 찌의 저항을 극복하고 서서히 가라앉게 된다.
밑밥도 대개는 이런 지점으로 흘러가서 모이며, 여기서 비로소 서서히 침강하므로 의외로 밑밥과의 동조가 잘 된다. 이상의 언급들은 어떻게 하면 미끼를 감성돔의 눈 앞까지 도달시키느냐하는 부분에 관한 것들이었다. 그 다음 문제는 어떻게 하면 감성돔이 미끼를 삼키도록 하느냐 하는 것이다. 감성돔에게 먹이감으로 인식하도록 연출하는 것이 오히려 모든 낚시의 핵심이라고 본다. 즉,'미끼의 움직임 연출( 손동작 )'을 말함이다. 그 날에 잘 먹히는 움직임의 속도, 폭, 리듬, 방향을 찾아내면 그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연속적인 입질을 받을 수가 있다. 이 말뜻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루어낚시의 동작을 참고할 필요가 있다.
루어낚시의 매력은 인조미끼이지만 동작연출을 통해서 입질을 유도해내는 데에 있는 것 같다. 바닥층을 주로 노리는 점만 다를 뿐 감성돔낚시도 이와 비슷하다고 본다.
움직임의 효과들로는
1.고기의 시선 집중과 미끼가 살아있는 것처럼 보인다.
2.바닥에 가라앉은 미끼를 들어 올려줌으로써 고기의 유영층을 통과하게 하여 고기의 시야에 미끼를 통과시킨다.
3.채비정렬로 미약한 어신파악과 밑채비의 상태파악이 용이하다.
움직임의 '속도'에 관한 힌트로서 일본의 수중촬영가가 농어루어낚시를 물밑에서 목격한 경험담인데, "입질을 받지 못하는 가장 큰 이유는 루어의 움직임이 농어의 유영력보다 너무 빠르기 때문에 따라 오다가 포기를 하기 때문"이란다. 감성돔의 먹이활동시의 유영속도는 농어보다 더 느리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바닥에 가라앉은 미끼를 당겨 올리는 속도도 적당해야하고, 어느 정도 미끼가 부상했다 싶으면 견제상태로 동작을 멈추어 주므로써 서서히 미끼가 하강하면서 고기가 입질할 시간을 주어야 한다.
움직임의 '폭'은 바늘과 봉돌의 간격에 비례해서 크게 해야한다. 간격이 1m 라면 봉돌이 닿은 후 1m 이상을 들어주어야 미끼로 들린다고 보면 된다. 수심이 깊고 조류가 빠르면, 한번을 당겨 주더라도 크게 해야한다. 수심이 깊으면 세밀하게 미끼와 고기와의 유영층을 맞추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조류가 빨라도 밑채비의 도달수심층 파악이 어렵고 고기의 움직임의 폭도 커지므로 큰 동작이 유리하다. 참돔낚시에서 손동작이 커야 입질을 많이 받는 이유도 이러한 이치라고 본다. 많은 고수들이 '낚시는 예술가(음악가)들이 잘 한다.' 라고 말하는 것을 들었다. '리듬감(박자감)'이 있어야 한다는 뜻이다. 아직은 그 뜻을 명확히는 이해못하고 있지만, 일정한 박자보다는 (강-약, 강-약)이나 (약-약-약-강), (강-약-약-약)등의 리듬감이 있으면 훨씬 더 입질을 잘 받는다고 한다. 아마도 이러한 리듬이 감성돔에게 공격본능을 더 자극하고 공격타이밍을 잡기 용이하기 때문일 것이다.
움직임의 '방향'은 두가지 관점에서 생각해 볼 수가 있다.
첫 번째는 고기가 쳐다보고 있는 방향과의 관계이다.-- 고기의 활동성이 둔할 때에는 눈 앞으로 다가오는 미끼에는 입질을 보이지만, 눈에서 멀어지는 미끼는 쫒지 않고 그냥 포기할 가능성이 높다.
두 번째는 끌어주는 방향에 따라서 채비의 저항감이 차이가 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당겨다 놓아주는 순간, 윗채비의 방향에 따라서 겉조류가 채비에 미치는 저항의 크기가 차이가 날 수도 있다.(벵에돔낚시에서 특히 그러함.)
- © 1998 ~ 2024 Wolchuck all right reserved.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