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물낚시

· 생미끼 붕어 대물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질문/답변] 고기가 도는 방향에 대해서 질문드려봅니다.

IP : d68de2163a889f0 날짜 : 조회 : 2671 본문+댓글추천 : 0

안녕하십니까. 경산희나리입니다. 날씨는 오락가락하고..조황은 시원찮고..낚시하기도 어렵고.. 요즘 회원분들 조황은 괜찮으신지요..? 다름이아니라 궁금한것이 있어서 질문드리려합니다. 한번씩 출조해서 선배님들을 만나뵈면 이런 말씀을 한번씩 하십니다. '고기는 저수지에서 시계반대방향으로 도는 경향이 있다. 꼭 그렇다기 보다는 60~70프로는 그렇더라. 앉아서 낚시하면 좌측부터 입질이 들어오는 경향이 있긴 하더라.' 처음에는 그저 그렇구나...설마 고기가 그럴까..하고 들었었는데 좌측우측 수초형성이나 수심에 별반 차이가 없는 포인트에서는 곰곰히 생각해보니 그런듯도 합니다. 선배님들의 경험상으로는 어떠하신지요...?

1등! IP : 1d2dc2510901778
경산희나리님...ㅋㅋ

참 난애한 질문을 던지셨네요...??

몇해 전 경기도권에 있는 소류지에서 님과 비슷한 경험을 한적이 있기는 합니다....

좌에서 우측으로 순차적(30분 간격)으로 입질이 들어오는데....정말 신기하더라구요...

그렇다고... 붕어가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유 한다기 보다는....

시간대별 먹이 활동을 위해...깊은 곳에서 연안으로 접근하는 과정에서....

일어나는 형상이라고 보는 것이 궁극적인 원인이 아닐가 싶습니다....ㅋㅋ

도움이 못되는 답변이 것 같아....죄송하구요...ㅎㅎ

더위 조심하시고...안출하시기 바랍니다...^^
추천 0

2등! IP : 2ed586ac97917b3
물속상황인지라...ㅎㅎ;;;

고기 맘일듯싶습니다...ㅎㅎ

헌데 터지면....안오더라구요...ㅎㅎ;;
추천 0

3등! IP : cbdb34be10b84d0
평지지는 좋은포인트로 최단거리로 바로 이동하고 계곡지 같은 경우는 두가지 분류가 있습니다. 저수온기나 냉수대가끼었을때는 계곡지중에서 한쪽은 급심대 한쪽은 약간완사면이 있다면 완사면쪽으로 움직이고 급심대쪽은 낚시가 거의 안되는 경향이있습니다. 그러나 수온이 좋을때나 한여름 고수온일때는 급심대쪽이 압도적으로 대물들이 많이 잡힙니다.여름이라 할지라도 저수온이다 싶으면 완사면쪽이 대물이 많이 붙는거같았습니다. 평지지 같은 경우는 바로 밑에 자리에 사람이 앉더라도 윗사람이 피해를 덜보지만 계곡지 같은 경우에는 밑에 자리에 낚시를 하면 윗사람은 재미보기가 힘든경우기 많습니다.
추천 0

IP : 709f0bb1729227e
캬~
그냥 새벽쯤에 먹이활동이나..마실나오는줄만 알고있었는데..
배우고 알아야할것이 넘많네요..^^

제가 보기에는 희나리님 앞에서만 고기놀던데요..^^
추천 0

IP : d68de2163a889f0
아니요..^^;;
어디까지나 카더라~하는 말이라
꼭 그렇단게 아니라서..

경험많으신 분들께 질문드리는겁니다...ㅎㅎ

근거 없는 말일수도..
추천 0

IP : 6ba3210cd65c4c9
맨날 잘다니는길에 우회하시오 란 푯말있으면 우리도 우회하듯 하지않을까요?
항상 좋은날님께 한표입니다
추천 1

IP : 73af74ffbc7805d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고기는 어디든 있어요 ~
밥주묜 옵니다~ㅋ
추천 0

IP : 22a01dea4396488
붕어 낚시꾼 뒤쪽 빼고는 다오는 것 아닌가요?

전 제가 않은 오른쪽에서 입질을 많이 받은거 같습니다.



오잉~~~ 합천붕어님 합천이시네요.

저도 고향이 합천입니다. 지금은 부산에 거주하고 있습니다.

합천에 문의드릴곳이 있는데 실례가 안된다면 쪽지로 문의 드려도 될는지요?
추천 0

IP : aa24a270bd8013a
누가 그러던가요?...

저는 왜 ㄱ런 소리를 들어 보지도..

그리고 그런 경험이 없는걸까요?...

그래도 총각땐 경산희나리님 보다 두배는 낙시를 더 많이 갔었는데요ㅎㅎ

양 좌우측 에서 붕어가 제일 많이 들어 옵니다.

보트 낙시를 해도 마찬가지구요..

경희님과 낙시 같이 갓을대...거의 대부분.. 우에서 좌로 입질 받던데요...^^

포인트가 우선이오니..일단 여름엔.. 계곡지가 대세입니다..

동그란..유료터에 맹탕에... 수심이 같다면 그럴수도 잇겟읍니다.
추천 0

IP : bfa715ae0644756
(물트림 선배님..가까운곳에 계시는 분입니다..ㅎㅎ^^;;)

여러 선배님들 말씀처럼 그런 경우는 없는가봅니다.

이런말을 작년에 한번, 올해 한번 듣고나니 궁금하더군요.

결론은....그런것 없다..! 로 나는 군요.

많은 답변 감사드립니다..^^
추천 0

IP : 9e67cc9d1137b52
회유를 한다면 시계 반대방향으로 많이 돈다는 말이 맞습니다.
수초가 없는 지역이면 회유하는 고기들이 더 많을 수 있겠죠.
시계 반대방향으로 도는 건 원인은 저도 잘 모르지만 지구의 자전과 관계가 있지 않을까 생각하고 있습니다.

확인해 보실려면
경산에서는 두메유료낚시터, 각 지역의 작은 유료터에 가 보시면 여름철에 고기가 어느 방향으로 회유하는지 알 수 있습니다.
거의 일정하게 시계반대방향으로 돌더군요.

이를 염두에 두고 낚시대 편성을 한다면
1. 안으로 갈수록 수심이 깊어지는 지역(계곡지 정도 되겠죠)은 일정한 수심대에 좌에서 우로 거의 같은 깊이에
투척해도 무방하지만(깊은곳에서 얕은곳으로 먹이사냥)
-저의 경우 왼쪽부터 4.7 3.4 2.5 2.0 2.3 2.7 3.6칸을 펴서 거의 같은 수심대에 찌를 세웁니다.

2. 평지형이고 수심대가 일정하다면 왼쪽은 짧은대부터 시작해서 오른쪽으로 갈수록 긴대를 펴서 회유로를 차단하는 방법으로
편성하는 것이 부채살타법 보단 더 효과적이겠죠.(제 같은 경우 왼쪽 1.7부터 오른쪽 5.0칸 까지)
물론 구멍치기는 예외겠지만.

참고: 이론은 이론일 뿐이며 고기가 안물어 주면 말짱 황인거 아시죠?....

10-07-15 17:49
추천 0

IP : 9a230fd7779290d
올해 늦봄부터 2군대 저수지를 계속다녔거든요..한군덴 3~4시간 짬낚시에 10~20정도 나오던 자린데 이삼일 지나면

입질이 3~5수 정도로 줄어요...그리고 한 삼일 쉬다가 다시 가면 또 10수이상 나오다가 또 안나오고

그래서 조금 떨어진 생자리에 앉은면 또 10수이상 되고요...

생각해 보니 붕어의 회유폭이 단시간에 일어나는건 아니구나 하는 생각을 많이 하게 됬네요...

글솜씨가 없어서 설명이 좀 ...ㅡㅜ

그냥 이런저런 생각하면서 낚시해 보니 이런때도 있구나 해서요...

더운 날씨에 건강 챙기세요....^^
추천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