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물낚시

· 생미끼 붕어 대물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질문/답변] 글루텐 대물낚시 찌맞춤 문의 드립니다.

IP : e74e2ac4003e498 날짜 : 조회 : 4185 본문+댓글추천 : 0

안녕하세요. 질문하나 드리려고요 생미끼 낚시를 선호하던 저로서는 모든 대물찌에 찌맞춤이 무겁습니다. 그런데 이번에 출조하려던 곳은 글루텐을 사용해야 한다고 하더군요. 그럼 찌 맞춤은 어떻게 해야하는지요? 그냥 무거운대로 써야하는건지, 아님 영점 맞춤을 해야하는건지요? 수심은 1m~1.5m 정도 나옵니다. 챔질은 그냥 떡밥 낚시 타이밍을 생각하면 되겠지요? 그럼 답변 기다리겠습니다.

1등! IP : ca95e8d7199b304
글루텐도 떡밥이라 투척 후~ 천천히 내려앉는 모습이 좋기에.... 가벼운찌맞춤을 선호하는데.....

그렇다고 예민하게 하지는 않습니다. 보통 찌맞춤보다 약간 가볍게한다는 느낌정도 ????.

수심도 1m이상이라면 긴찌사용이 가능하고 남들보다 조금더 짧은대로 좀더 수초에 붙있일수있으니.... 것도 나쁘지 않습니다.

챔질타이밍은 예민하지만않다면..... 평소대로하시면될듯~....
추천 0

2등! IP : b5ac9319769344a
글루텐 떡밥낚시 찌 맞춤.....삼나무 재질의 찌가 아닌 일반 찌는

바늘없이 영점 맞춤(케미끝이 수면과 일치) 또는 조금 더 가볍게 한다면 바늘달고 영점 맞춤이면 무난합니다.

글루텐 낚시는 예신이 없습니다. 그냥 불쑥 올라 옵니다. 항상 챔질 대기 상태가 필요합니다.

챔질은 찌가 다 올라와 멈칫 서 있을때 보다는 찌가 올라 오는 중에 챔질에 메롱이 없습니다.

가급적이면 단찌보다 찌올림을 길게 갖고 가기 위해서는 40-50정도 찌길이에 4-5호 정도 부력이 좋을 듯합니다.

이상 허접한 답변이었습니다.

늘 안출하시기 바랍니다.
추천 0

3등! IP : 83f6442859aa8ff
바늘까지 달고 케미없이 0점 찌맞춤에서
케미 꽂으면 서서히 가라앉게 찌맞춤합니다.
입질없으면 2~3시간 그냥두는 글루텐 대물낚시? 라서
밤낚시에서 예신을 쉽게 발견할 수 있도록 케미를 수면에 닿게 하려면 -찌맞춤으로 합니다.

글루텐도 예신이 분명히 있고 찌길이가 40cm 이상은 되고 천천히 올라오면 챔질의 여유도 있습니다.
수심2m 정도에서 60cm 이상 길이의 장찌를 사용하면
찌 오름 시작할 때 담배 한개피 꺼내 물고 불 붙이고 챔질하면 될 정도로 여유가 있습니다.
큰 붕어 일 수록 한두마디씩 끊어가며 천천히 올라옵니다
추천 0

IP : 6e11abd0b3c71df
일단은 먼저 대물을 기다림에 목적을두고하며 다대편성을 하는 대물낚시에 미끼를 글루텐으로 간다고 하여 애써 찌맞춤을 전체적으로 하기가 여간 버거운일이 아닐겁니다. 혹여 저수지특성상 입질이 미약하다면 본봉돌을 깍아내서 마이너스로 한다음 좁쌀을 목줄에
물리는 방법으로 하면 조금 수월치싶습니다. 바늘이 무식할만치 크다면 작은바늘로 교체해서 하면 더좋겠지요

전 기차니즘이 있기에 그냥 글루텐을 쉽게 떨어지지않을만치 반죽하여 그대로 쓰고 채비또한 변형을 주지않습니다.

그래도 올릴놈은 올려주더라구요~ 중치급도요~ㅎㅎ
추천 0

IP : 256f196f745be08
채비가 어떤지는 모르지만.. 글루텐으로 다대편성 함은 최소 월척급을 노린다고 봐야 할것입니다.

저의 경우 수조에서 오동나무 35~40센티 길이 부력 5호~6호 정도 찌에.. 봉돌만 달고 넣어서 천천히 올라와

캐미꽃이 끝이 수면에 일치하면 찌맟춤 끝입니다.

다대편성시에는 채비에 안정감이 우선입니다. 아니면 잦은 미끼교체로..피곤한 낚시가 됩니다.

타이밍은 시원스럽게 올리는 입질도 있지만.. 큰놈은 한,두마디로 끝나는 경우가 있으므로 그날 그날

입질패턴을 잘 살펴야 합니다.
추천 0

IP : 84dc1665f79202d
글루텐의 경우 미끼의 흡입이 부드럽게 시작됩니다

토종붕어든, 떡붕어든,

글루텐을 미끼로 다대편성을 할 경우, 약간 무거운 찌맞춤도 무리는 없겠지만

미끼의 흡입이 편한점을 생각한다면 최소한, 영점찌맞춤이나, 바늘달고 수면위에서

찌가 천천히 내려오면서 수면에 일치시키는 것이 좋을듯 합니다

미끼의 흡입이 편한마큼, 다소 다소 무거운 찌맞춤은 붕어의 이물감에 대한 인지의 가능성이 높고

글루텐 미끼의 특징인 부드러운 찌올림에 걸림돌이 될수도 있습니다

일반 곡물류의 떡밥과 글루텐은 약간 다르다고 할수가 있습니다

섬유질 성분의 미끼를 사용할경우 무거운 찌맞춤보다는 약간은 가벼운 찌맞춤의 경우가

찌올림을 극대화 시키는데 효과가 있습니다
추천 0

IP : aae2be75804e4aa
저두 예전에 떡밥낚시을 했는데 무거운 채비보단 영맞춤이 좋구요 찌도 대물찌보단 가벼운 찌가 좋을듯함니다
추천 0

IP : a11e7f6ad5cedab
가시는 곳이 배스터라면 그채비 그대로 하셔도됩니다.
원줄5호, 6호정도의 대물찌,붕어바늘12호가 제가 배스터에서 사용하는 기본채비입니다.
찌맞춤은 생미끼낚시 그대로 하구요.제가 가본 전국의 어느배스터에서도 찌맞춤이 무거워 찌를 못올린 경우는 없었구요.
짧은 대물찌의 특성상 찌맞춤이 가벼우면 헛챔질빈도가 많아질 수밖에 없습니다.
미끼만 글루텐을 쓸뿐 다대편성에 대상어또한 대어를 노리는 낚시이기때문에
저수온기만 아니라면 찌맞춤에 연연하지않아도 됩니다.채비를 믿고 그냥한번 해보세요.
안출하세요..
추천 0

IP : 963b0792c79db94
제경우엔 생미끼든 글루텐낚시든 같이 하고있습니다.

동절기라든지 수온이 낮은 시기엔 생미끼를 주로...수온이 높은 하절기엔 글루텐

찌맞춤은 6호찌이다보니 약간 무겁게 맞춥니다. 고기가 없어서 그렇지 입질을 하면 중후한 입질을 받을수 있습니다.

거의다 월척급이구요...

챔질 타잉밍은 찌가 2/3쯤 올라오는 타임때 챔질하니 헛챔질은 없구요...^^
추천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