낚시 시작 한지 얼마안되는 초보 입니다.
요즘 하도 채비법이 많아서 이채비 저채비 해보다
요즘은 힘이다 빠지네요...
이제 초심으로 대물 낚시만 배우기로 했습니다.
저수지에서 고수님들 봉돌깍고 찌맞춤 하는거 보니까
대단하시던데 전 봉돌을 얼마짤라야 부력이 바뀌는지 정확히 잘몰라서
편납홀더는 자르기가 좀 쉬운거 같아서요.
고수님들 대물 채비법 및 찌 맞춤을
글로써 남아 좀 배우고 싶습니다,
부탁 드립니다.
- © 1998 ~ 2025 Wolchuck all right reserved. ▲TOP
편납 특성상 많이 감으면 풀리기도 쉽고 또 대물 특성상 수초대를 노리기 때문에 수초에 조금만 걸리면 편납 다 풀립니다.
그냥 고리봉돌 쓰시고 찌맞춤 대충하셔도 됩니다. 찌가 둥둥뜨지만 않을정도
두갑님 말씀,답변이 맞는것같습니다..
장단점이 있긴하지만 못할건 없죠 ^^
편납홀더 채비연결하시고 분납형태로 작은호수의 봉돌 채결해서 사용하시면
평상시 편납홀더의 위치변화와 편납찌맞춤 만으로 대물 에서 옥내림까지 자유자재로 채비변환가능합니다
한번 시도해보세요 의외로 재미난 채비응용이 많이 됩니다 ^^
빨리 좋은 사부를 만나세요..
어!!!! 편납홀더네..!!!!!!!
하고 않 먹어야지..하고 가지는 않습니다..
채비도 중요하지만....중요한건 물가에 붕어가 먹이활동을 하느냐가 중요하지 않을까요?
물트림님 말씀처럼 사부님을 찾아야 할듯 ..ㅋ
대구 평일 대물 대려다닐 사부님을 찿습니다...^^
말 잘 듣습니다..^^
찌부력 맞춤을 예를 들어 찌가 7호라고 하면 8호정도의 봉돌을 사서 수조통에 담가 봅니다.
사정없이 가라 앉습니다. 그럼 니퍼로 봉돌 옆부분을 돌려가면서 조금 깍아 수조통에 넣어 봅니다..
또 가라앉습니다. 그럼 조금 더 깍고 다시 수조통... 이런식으로 해서
조금 빨리 내려가는 맞춤, 천천히 내려가는 맞춤, 내려갔다가 다시 올라와 케미고무와 수평이 되게 하는 맞춤등이 있습니다.
이는 님께서 찌의 부력을 어떻게 맞출거냐에 따라 봉돌을 깍으시면 됩니다.
조금 빨리 내려가는 찌가 되었다면 이때부터는 아주 조금씩 봉돌을 깍아야 합니다.
그래야 원하는 맞춤이 됩니다.
낚시채비는 여러가지 방법( 중통?채비 빨채비 롤링채비 좁살봉돌채비 유동홀더3중분할채비 아주가끔 전유동 내림채비 등등등)
채비 방법이 너무 많아서 헤아릴수도 없습니다
어떤채비를 구사할지는 본인 스스로 마음에 평안을 느낄수있는 채비가 정답입니다
그리고 또 한가지 제 30년 경력의 낚시선배님(동출한적인 한번도 없음..ㅡㅡ;;)께서 말씀하시길
"기본적이고 간결한 채비가 좋은 채비다"
이러시면서 그흔한 유동찌고무도 사용을 안하시더군요
감사합니다.
홀로 낚시 하시는데 혹시 심심하시거나 무서우시면 평일에 가시거든 연락 주십시오..
옆에서 쥐죽은듯 있을수 있습니다. 보디가드로^^
가을 뱀도 많은데 항상 안출 하세요^^
노지로 낚시갈때 2Km 정도 산행은 기본이요
1급수가 아니면 대를 담그지 않습니다
그래서 10년동안 꽝이지요...^^(영꽝은 아니구요 5치~7치 는 쫌 잡아봤습니다)
선배님이 저랑 동출하지 않는 이유이기도 하구요
통화 즐거웠습니다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행복하고 건강한 출조 되십시요
그리고 커터칼로 겉표면 연필깍듯이 얇게깍으면서 맞춰보셔용 ^^
편납으로하실때는.저부력찌로 하셔도됄듯해여 요즘 저부력 대물 찌도 나오는거같던데여 ^^
참고로전 걍 풍덩 채비입니다... 찌던지면 풍덩하고 잠수..ㅋㅋㅋ
너무너무 감사합니다.
이 은혜를 다 어떻게..^^
항상 좋은 조행기도 올려 주셔서 고맙습니다.
편납 홀더에 구리선을 감아서 사용 해 보세요
납보다는 조금 뻣뻣하지만 한번 감아 놓으면 튼튼합니다
구리선 구하기 힘드시면 전선 피복을 벗겨 내시고 사용 해 보세요
이제 길가의 전선 남아 나는것 없겠네~!ㅎ
필요한 준비및 설치,수심맞추기,찌맞춤(봉돌깍을때 쓰래기봉지에)등 이런습관이 참된 자연사랑
이되겟음다.
한데 저는 어떠한 채비에도 편납홀더를 하나 달아둡니다
옥내림은 그 자체로하고 떡밥이나 대물 낚시 시 봉돌을
조금 약한 것을 쓰고 편납으로 부력을 조절해보니 편리하더군요
편납으로만 하실려면 위에 분이 말씀하신 것 처럼 너무 많이
감아야할 경우는 곤란합니다.
봉돌을 깍다보면 너무 많이 깍거나 장소에 따라 부력이 약간
틀릴 경우 곤란한 경우가 있는데 봉돌은 깨끗하게 항상
그대로 두고 편납으로 미세 조정을 하면 편리한데
이도 정답은 아닙니다.
해 보세요...경험이 큰 재산입니다...
이것 저것 해보시고..대물낚시할 때 내림으로 하기도 합니다..
정답이 없습니다...누가 뭐라고 해도 잘 잡아내는 내 채비가 정답입니다...
허접했습니다
나름대로 편리합니다.
부력 맞출때 나 찌 교환시 편리 하더군요.
모든 채비에 편납 홀더가 부착되어있지요.
본봉돌을 찌 탑에 맟추고 편납으로 조정하니 간편합니다.
참고만 하세요.
채비회수시 몇번툭툭치면 편납이 풀려 왕짜증나지요,,,
대물낚시 18년이 넘었지만 조개봉돌부터 대물채비에 대해 엄청난 연구를 한답니다
약 10년전만 하더라도 봉돌무게가 무거워도 멎지게 찌올림을 볼수가 있었는데
요즘은 조금 힘이들어요..
작년까지만해도 고리봉돌 7.8호 사용했는데
요즘은 입질이 아주 미약하여 5~6호로 내려 낚시를 한답니다
아직도 계속 대물을 잡기위해 연구를 하지만 바다수중봉돌을 유동을 주어 쓰보기도하고
이젠 예를들면 6호찌라고 가정했을때 봉돌을 분납채비합니다.
원줄위(찌밑에)4호(10센치 유동,그밑에 2호를) 원줄에 채비하여 사용하므로 찌맛은 대채로 많이보며
붕어 조과면에서도 조금 차이가 나더군요,
단 잔챙이 붕어는 찌올림이 아주 빠르고 중치급이상은 멎지게 찌올림을 볼수가 있습니다.
대물낚시 항상 연구하는 사람올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