낚시가 불가할정도로 물이빠졌던저수지에 일요일내린비로인해 만수가되어
어제오후늦게 나가보았습니다..
물색은 뻘물을뛰고있었고 평소즐겨앉던자리에 낚시를하였는데요..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잉어40수정도(30~50cm) 붕어3수(7치2수 9치급1수)
농번기시작전 4월달까지도 이곳에서 자주 낚시를했었지만 2~3수의 발갱이가 낚였어도
평균적으로보면 9치에서 월척급붕어가 자주낚이는곳이였는데요.
이렇게 많은잉어를 낚아보긴첨인것같습니다.
이런경우가 흔히있는일인지요?
그리고 붕어를보고 한가지 의문점이 생겼는데요..
갈수록 붕어의 체고가 줄어들고 있다는생각이 들었습니다..
이저수지의 규모는 한700평정도로 (제가큰평수의개념이떨어지는관계로 오차범위가 많이클것같습니다)
작은 동네 손맛터인데요..
평소 이곳붕어들이 계곡지붕어처럼 길이에비해 체고가 낮다는걸 알고 있었슴에도
어제본붕어들은 유난히 말랐다는 느낌을넘어 붕어가 불쌍하게까지 느껴질정도였습니다..
올해 농번기이전에도 이정도로 마르진 않았던것같은데 이러다말라서죽지나 않을지 걱정이되네요 ..
농번기 배수로인해 먹잇감이 부족해져서일까요..
물론 저의 주관적인 생각일수있겠으나 정말로 붕어가 말라가는거라면 원인이 어디에 있을까요??
참고로 이곳저수지에는 가물치.베스.블루길은 아직업으며 몇해전 극심한가뭄으로 인해 저수지가마른뒤로
새우도 자생하지 않는걸로 보입니다..
밤낚시시에 2번이나 채집망를 담궈봤으나 치어급붕어왜에는 들어오지않터군요 ..그래서 새우를 좀 사다 방생해볼까하는데
700평정도의 규모라면 어느정도의 새우를 방생해야 자연적으로 번식하여 자생이가능할까요??
회원님들 많은 고견주시고 장마철 늘안전히출조하길 바랍니다..
- © 1998 ~ 2025 Wolchuck all right reserved. ▲TOP
붕순이를 향한 님의 아름다운마음에 감동먹었습니다
고개가 절로 숙여지고 님의 열정에 박수를 보내드립니다
천적인 배스. 블루길.이같은 외래어종이 없다면
30.000에 한표를 던집니다 ^^
감시잡는붕어님 언제나 안출하시고 즐낚 하십시요 ^^
저 생각에는 저수지에 잔챙이가 살수있는 여건이 우선 갖추어 될것 같아요
수초등과 나무가지를 저수지에 넣으면 상당한 먹이 사슬이 이루어 지리라 생각이 드네요
그리고 님이 말씀하신 새우 방생은 양이 많을 수록 좋겠지만 우선 앞서 말한것과 같이 조건을 갖추면 1키로의 양도 금방 번식되어
톤의 양이 되지 않을까요 자연과 생물 사랑에 감탄했어요
새우의 번식은 서식여건이 맞으면 생각보다 아주 빨리 증가 합니다. 1킬로가 아니라 한주먹 정도만 잡아 넣어도 증식 속도가 아주 빨라서 내년에는 꽤 많은 수량으로 증가 할거로 보는데, 천적의 개체수가 변수가 되겠지요... 헌데 새우가 없는 곳에서는 천적이 익숙해 지는데 까지 시간이 걸리므로 자연증식은 가능할걸로 보여집니다. 제경우 700평은 못되구요... 한 2~3백평 되는 소류지에 별 생각없이 한통 (한 20-30마리 되지 싶습니다.) 집어넣고 한해가 지났는데 채집망에 꽤 들어온걸 보고 아주 놀란 경험이 있습니다.
그냥 가까운 다른못에서 채집하셔서 참붕어와 새우 함께 넣어주는것도 좋겟네요ㅎㅎ
새우가 바글바글할때까지 무한번식들어갑니다 ㅋㅋ
포란하고 알털고나면 일주일안에 다시포란 한달에 한번식 알깝니다
손맛보셨습니다. 축하합니다.
저는 밥줄 생각은 못하고 대박만 생각하고 갑니다.
붕어보다 잉어는 먹이를 많이 먹고 새우등 붕어의 먹잇감을 많이 줄여버리기 때문 입니다
잉어의 수를 줄여야 합니다
700평에 잉어가 머무 많아요^^
한 3일은 몸살 좀 앓으셨겠는데요 ㅎㅎ
감시잡는붕어님 마음이 참 아름답습니다.
뽕님 말처럼 근처 저수지에 참붕어와새우을 채집해서 넣어두시면
금방 퍼질겁니다
항상 건강하시고 안출 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