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 물트림 채비에 도전합니다. 목줄을 묶어서 채비했는데요. 어라 좁살봉돌이 3b가까지 밖에 없네요? 채비의 창시자께서는 4호 연주찌일때 4b봉돌을 사용해야 한다고 강좌에서 보았는데요. 3b봉돌을 쓰면 어떨지요? 아님 3b+ ? 해야하나요? 찌맟춤은 수평찌맞춤이고요.
아직 해본건 아니구요 수조에서만.....^^
연주찌 4호 생각보다 크고 부력이 좋더라고요
채비가 가라앉지를 않아서 원봉돌을 늘렸습니다
원래 물트림 하기전 채비는 5호봉돌먹는데 물트림 하니까 7호에서 깍았습니다
물트림님이 무거운 봉돌로 하라고 써놓으셨던데요
참고만 하세요 저도 확실히는 모르니^^
예를들어 통상적으로 6호부력이 먹는찌라면 7호 봉돌로 달아주시고 그냥 연주찌4호만 달면 어떻게 될까요??
그러면 통상적으로 아주 천천히 찌가 내려가서 중간또는 아래에 멈추거나 아니면 다시 천천히 올라오는 경우가 많습니다.
봉돌도 회사마다 조금씩 다르고 찌도 조금씩 다르기 때문입니다. 그러면 이때 좁쌀봉돌을 물려주는겁니다.
아시다시피 좁쌀은 원줄에 달아주는것이 유리합니다. 그래야 봉돌은 힘에 눌려져있고 연주찌는 상승할려고 하는 힘이 서로
상쇄할겁니다. 그러니 꼭 4B가 아니더라도 봉돌과 찌와 좁쌀의 발란스를 맞추면 될겁니다.
이상 허접한 저의 생각이구요 나머지는 고수분들의 명쾌한 답들이 많이 올라오시리라 생각합니다.
굳이 좁살봉돌을 사용해야하는 이유라도있는가요?
그냥 본봉돌만으로 부력을 맞추면 안되는건가요???
저도 잘모르는 초짜라서 문의드립니다..
미끼섭취시 부드러운 상승에 도움을 주는걸로압니다. 일종의 분할 즉 힘의 분산이라고 보시면....
적절한 표현인지는 모르나 솜1톤과 쇠1톤의 무게는 같지만 부피는 다르지요....
통상 좁쌀봉돌 채비는 아주 예민하게 운용하실때 사용하시잖습니까??
그렇다고 좁쌀을 일반채비처럼 목줄에 달면 대어 수초낚시에서는 여러가지 문제가 발생하게 됩니다.(떡밥시 유리합니다.)
저는 이쯤에서 물러갑니다. 잘 알지도 모르면서 너무 나선것 같아서요!!
전 3호 연주찌에 2b 봉돌을 사용하라고 배웠는데...
계속 꽝을 치면서 ..혼자 생각에...안그래도 무거운 대물채비...거기에 연주찌가 있지만 또 좁살봉돌을 다니 더 무거워서 그런가 ..
라는 의구심이 들기 시작했습니다..그래서 ....지금은 2b 반틈 b 봉돌 반틈..요로케 사용합니다..
머 ....정석대로 ..배운대로 는 아니지만........연주찌를 사용 하면서도 고기 못잡으니 요로케도 해보고 저렇게도 해보고...ㅎㅎ..
수조통에서 좁살이 달고 안착만 되면 된다고 생각합니다...저는...
연주찌를 사용 하니 ...(좁살봉돌을 원봉돌 위에 장착)..자동빵 더 잘되구요.ㅋㅋ...제대로 된 입질만 받으면 찌올림 또한 좋던데..
에궁 아직 반년동안.(출조 매주..)...아직 7치 이상을 잡아 보지를 모해서요..ㅎㅎ......
연주찌 한번 배워도 계속 반복적으로 이것도 저것도 다 해보셔야 할듯 합니다.
실전이 중요합니다 ㅎㅎㅎ
요즘 일이 바빠서 월척에도 무려 이틀동안이나 들어 오지 못햇읍니다.^^
요즘같은 늦가을 시기엔...
b~3b정도를 가지고 다니면서..
수초분포와 바닥상태..
잔챙이 활성도를 가만해서 통상 2B를 물리고 낙시 합니다.
조금 더 추워지면 B
그리고 아주 추워지고 물가에 얼음이 얼정도면...
그냥 연주찌만 채우고 합니다.
한가지 제가 예상한 활성도가 맞으면... 입질이 아주 시원합니다.
그런데.. 깜박이는 입질에 대를 차고 나가는데...씨알이 9치 이상 준수하다면...
좁살을 한단계 내리세요.
아무리 가벼워도 연주지를 채우고 수평 찌맞춤 이상으로 가벼우면...
잔챙이 입질에...헤벌레한 날리는 입질이 들어 올수도 있읍니다.
그러니 한마리 보시는 낙시라면..
절대 바늘의 호수를 낮추지는 마시고 아주 천천히 내려가는 좁살로 채비를 운영하시면...
저수온기때..
좋은 입질 보실겁니다.
제가 장담 합니다..
공부하지 않고..
다른 사이트에 연주찌 채비라고... 합사로 뜬다 떠... 연주지 3호...4호 이런 씩으로 설명한거 다라 하시다간 완전 꽝 합니다.
연주찌를 목줄에 채우는 이유..
왜 카본사 4호에...
감성돔 6호 바늘이하로는 사용하지 말라는지는... 다시 한번 생각해 보시고..
물런.. 감성돔 2호에 연주지 3호.. 떡밥채비 하지 말라는 이야긴 아닙니다.
옥수수 한알 달아서 던지면 잔챙이 수도 없이 잡읍니다..
현장에 맞추어서 사용하시다 보면 약 일년 정도면 확실히 감이 옵니다.
왜냐면... 일년에 낙시 몇번가서 대물이 몇번 입질하겟읍니까?...
한두번 출조로 되진 않을겁니다.
저는 붕어 잡는덴 채비가... 모두 붕어잡이용 채비라고 생각합니다.
누구 채비는 대물용이고 누구 채비는 마리수용이고...그런 생각은 전혀 없읍니다.
새우나...콩.. 그리고 바늘이 너무 무거워서 연주지 채운걸로 생각하시고..
좁살을 채우는 이유는...
원래 대물낙시라고 다니시던 그... 부력에다가 마음대로 B~4B까지 채우고 바늘만 붕어 입에 잘들어가게 한다고 개념을 잡으시면 됩니다.
별것 아닌 채비...너무 어렵게 생각치 마시고.
붕어 있는데다가만...던지세요...
잇으면 반드시 입질이 더 들어 올겁니다.^^
물속은지금님,이곳 월척지는 이론과 실전을 겸비한 명장님들이 많답니다.
열공하시길.........
손해볼게 없는 좋은 채비라 생각이 드네요
저수온기때 찌 맛춤에 관한 질문입니다.
[질문]
1. 목줄 안달고 봉돌로만 천천히 내려가 "살짝 쿵"하는 맞춤인가요? -> 이경우는 연주찌부력을 다 먹는 좁쌀을 달아야 겠죠.
2. 아님 연주찌+봉돌+좁쌀봉돌 전부 단 상태에서 "살짝 쿵"하는 찌 맞춤 인가요?
어느것이 맞나요?
제가보기엔 둘다 같은말.....ㅎ 아닌가요
저도 처음엔 큰봉돌달고 연주찌에 바늘 다 채운상태에서 살짝 내려가도록
맞춰서 사용했었습니다 우연히 물트림님을 만나게 되어서 내 채비가 잘못됐다는걸 알고
새로이 부력맞춤을 했었습니다...
봉돌만달고 살짜기 쿵...
연주찌.. 바늘달고 봉돌채우고 살짜기 쿵...
요즘같은 시기엔 연주찌달고 수평맞춤이나 아니면 살짜기 잠기게...
저는 이렇게 사용중입니다... 귀차니즘... 이게 문젭니다...
좀 귀찬더라도 부력자주 확인합니다....
하지만 물트림님 말씀대로 붕어 있는곳에 가야하는데
제가가는곳은 붕어가 없는가봅니다.... 입질보기가 너무 어렵습니다...
입질이 없다 없다해도 일반채비하는분들보단 그래도 자동빵이라도 걸리더군요
그럼 결국
봉돌만 달고 무거운 수평맞춤을[캐미끝이 보이게] 한 다음에
연주찌 부력에 맞는 좁쌀봉돌 단 다음에 낚시 하면 된다는 말씀이시군요.
잘 알겠습니다..답변 감사드립니다.
원줄과 봉돌을 3센치되는 8자 매듭으로하고
그중간에 좁살을 채결 하였는데
밑걸림시 대를 툭툭쳐주는데 좁살봉돌이 밑으로 쳐지면서 원줄이 납작하게 되더군요
고수님들은 이 문제는 어떻게 극복하시는지 궁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