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루어낚시도 합니다. 배스 요리 많이 해먹습니다.
요리법이 다양합니다. 회로는 절대 드시지 않는게 좋습니다. 절대~ 네버~ 날걸로는 드시지 마세요...
배스 요리법은...
잉어찜 하듯이 찜요리, 매운탕은 배스 한종류만으로 하면 기름기가 많아서 맛이 별로...(매운탕 요리를 잘 못해서 그런가??)
내장 손질하고 냉동실에서 냉동 해서 명태 포 뜨는것 처럼 포를 굵게 떠서 생선까스 만들면 애들이 좋아하고,
탕수육 처럼 만들어 먹어도 맛있습니다. 아니면 명태포 처럼 떠서 전 붙여 먹어도 맛납니다. 아니면 염장 해서 구워서 드셔도
맛나고요.
육식성이라서 살이 단단하고 기름기가 많은 편입니다. 다른 요리법이 더 많을 텐데 아직 도전을 안해봐서 다른 회원님들께 패스~
합니다 ㅎㅎ
향어의 주가 횟감인 것 처럼 배스 또한 회로 먹는게 최곱니다. 물론 디스토마 라던지 그런 위험 없으니 안심해도 됩니다. 향어는 회의 맛이 특유의 향이 나면서 맛이 있다고해서 향어라 불리웠으며 배스 또한 이에 못지 않게 뛰어난 맛을 자랑합니다 다만, 횟감으로 주로 사용되는 어류는 탕으로 또는 조리하여 익히면 퍽퍽하여 식감이 떨어진다는 공통점이 있다는 겁니다. 그럴싸하게 포를 뜰 필요없이 막회집 처럼 듬성듬성 썰어서 초장에 야채 곁들이면 그 어떤 활어회에 비교해도 손색이 없는게 배스 회 입니다 ^^
저는 이해가 안되는게 배스같은 포식어류는 디스토마 숙주 어류를 먹이로 취하게 되는데 디스토마 위험이 없다는 것이 납득이 안되네요. 사람도 디스토마 숙주고기 먹으면 디스토마가 걸리는데 고기가 안걸린다는건 납득이 안갑니다.
위험이 없다고 확신하신다면 그에따른 논문이나 연구결과 링크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건강이랑 관련된 사항이라 혹시 모를 피해자가 나올 수도 있어 올립니다.
베스는 농어목 검정우럭과의 민물고기 입니다
고로 사는곳 그리고 맛이 다를뿐 농어나 우럭과 같은과라고 보시면 될꺼 같내요
낚시를 다니다 보면 간혹 한마리씩 올라오곤 하는데 전 그자리에서 손질해 소금구이로 먹습니다
바닷고기 못지안게 맛도 있고 식감도 좋아요
하지만 민물고기이다보니 아주 잘 익히셔야합니다
일부러 잡으러 다니지는 않지만 간간히 나오는 베스에 입이 호강하곤 합니다^^
봉돌을 작게달아 지렁이달아서 마이너스채비로 중층낚시를 하면 밑걸림 걱정없이 잘나오더군요
채비던지고 5분안에 입질없음 포인트 2M정도 옮겨 재투척을 하곤합니다. 이 방법으로 배스 꽤 잡아내긴했는데
연안이라 그런지 자잘한애들이 주로 나오더군요....
루어하시는분들 기분 상하실지 모르겠으나
전 산란기때 알자리 지키는 배스들 뽑아내면 왠지 애국했다는 기분이 들어 뿌듯하기도합니다. (좀 거창하지요? ^^)
제방권같이 수심이 깊은곳은 긴대보다는 짧은대에서 많이 나오는 경험도 했습니다.
참고하시고~~~올해도 함께 애국합시다요~~ㅎㅎ
새해 복 많이받으십시요^^
애국ㅎㅎ
저도 열심히 동참하겠습니다.
나름 맛있다고들 하셔서
한번 먹어볼까합니다
요리법도 부탁드립니다.
저는 반씩 잘라썼는데도 배스는 빼놓지 않고 항상 나오더군요
포를떠서 튀김옷발라
덴뿌라해서 먹거나
통째로 내장만 제거후에
칼집 낸 후에
소금구이 해먹는 방법또는
내장제거한뒤에
통째로 호일에 돌돌 말아서
소금밑간한뒤 익혀 먹는방법
포떠서 튀김옷발라 튀긴후
탕수육 소스 끼앉어 먹는방법
배스 양념 찜
기타 등등
너무 많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소금 직화구이 추천드립니다
감성돔 5호바늘도 크기가 작아서 새끼배스조차 헛챔질이 많이 나옵니다.
그래서 생각한게 배스 전용훅 1호 정도에 새우를 꿰서 중층...
아침나절에 배스 많은곳에서 투척하면 투척하자마자 입질 들어 옵니다.
입질이 잠깐 없다 싶으면 재투척이나 다른곳에 투척~
그러다보면 입질이 빈번해서 그 낚시대만 갖고 놀게(?) 되더군요..
그래서 생각한게 배스 전용 지그헤드+웜 을 찌 없이 대낚에 달아서 투척~
바닥을 긁는다는 느낌으로 천천히 대를 새우면 투툭~ 하고 입질이 오거나
초릿대가 주욱~ 빨려 들어갑니다.
생각보다 재미 있어서 한동안 밤낚시 마무리 그걸로 하다가 이젠
배스장비가 붕어장비값만큼 늘어났습니다.;;
배스는 어떤 요리를 해도 맛있지만, 피를 먼저 빼내야 합니다.
아가미를 잘라서 피를 빼두면 특유의 플라스틱같은 비린내가 사라지고
매운탕을 해도 맛있게 먹을 수 있습니다.
배스퇴치의 입장이시라면 큰 배스 한마리보다 작은 배스 여러마리가
천적이 없는 배스의 특성상 효과적입니다.
요리도 한국식 요리를 하기엔 어느정도 이하 크기의 배스가 좋더군요..
올해는 한번 먹어볼까합니다.
답변주신분들 감사드립니다^^
위~ 댓글 보며
올해 저도 베스 낚시 해 보고 싶어 집니다.^^
주방장왈 "농어"래요. 근데 농어는 좀 먹어봤길래 아닌것 같아서.....
다시 물었죠. 민물고기냐? 바닷고기냐? ......
그랬더니.... 민물이래요.......
그래서 전자사전 뒤졌죠......
그랬더니....
농어가 아니고........ 베스......헐..........
작은 물고기를 잡아 바늘로 꼬리부분을 관통시킨다음,
찌없이 투척후 살살 끌고 다닙니다.
어느순간 베스입질이 오면 챔질하면 됩니다.
저도 형상강에서 낚시하면 하루에 배스3수식은 매일 합니다
가시가 벌로 없어서 살점을 왼쪽 오른쪽 포를 떠서 기름에 튀겨 먹으면 먹을만 합니다.
지렁이보단 미꾸라지나
채집한 참붕어 피라미종류가 좋을듯하내여
힘좋습니다
먹어보지안했지만 회는 기름이너무 많아서 먹지말라는소리를 들었습니다
요리법이 다양합니다. 회로는 절대 드시지 않는게 좋습니다. 절대~ 네버~ 날걸로는 드시지 마세요...
배스 요리법은...
잉어찜 하듯이 찜요리, 매운탕은 배스 한종류만으로 하면 기름기가 많아서 맛이 별로...(매운탕 요리를 잘 못해서 그런가??)
내장 손질하고 냉동실에서 냉동 해서 명태 포 뜨는것 처럼 포를 굵게 떠서 생선까스 만들면 애들이 좋아하고,
탕수육 처럼 만들어 먹어도 맛있습니다. 아니면 명태포 처럼 떠서 전 붙여 먹어도 맛납니다. 아니면 염장 해서 구워서 드셔도
맛나고요.
육식성이라서 살이 단단하고 기름기가 많은 편입니다. 다른 요리법이 더 많을 텐데 아직 도전을 안해봐서 다른 회원님들께 패스~
합니다 ㅎㅎ
정보 감사.......
올해는 배식이 다주거쓰........
위험이 없다고 확신하신다면 그에따른 논문이나 연구결과 링크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건강이랑 관련된 사항이라 혹시 모를 피해자가 나올 수도 있어 올립니다.
쪼림도 맛있어요~ 아시는 형님이 중화요리를 하시는데 배스로 탕수육같이 만들어주셨는데 맛이 끝내줍니다. 소스없이 튀겨 놓은것만 먹어도 맛나고요ㅋ
배스 잡아서 땅에 머리박아 시켜서 여름에 악취 만드는것 보다는 요리로 해먹는게 더 좋다고 생각하는 일인입니다. ㅎㅎ
고로 사는곳 그리고 맛이 다를뿐 농어나 우럭과 같은과라고 보시면 될꺼 같내요
낚시를 다니다 보면 간혹 한마리씩 올라오곤 하는데 전 그자리에서 손질해 소금구이로 먹습니다
바닷고기 못지안게 맛도 있고 식감도 좋아요
하지만 민물고기이다보니 아주 잘 익히셔야합니다
일부러 잡으러 다니지는 않지만 간간히 나오는 베스에 입이 호강하곤 합니다^^
드시려면 익혀드셔야 합니다..
디스토마 위험이 없다는 말보고 아찔했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