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배조사님들 안녕하세요 ^^
이제 겨우 2년차 바닥낚시 초짜입니다
다름아니라 낚시대칸수에따라 받침대절수가 바뀌잖아요??
제가 개인적으로 대편성하면서 느낀점이
"과연 칸수대로 꼭 절수가 따라가야할까??" 입니다
쓰는 칸수가 2.5*2 2.7*2 2.9*2 3.2*2 3.4인데요
2.7칸대까지는 2절받침대 2.9칸대 이상부터는 3절받침대를 쓰는게 기본상식인데
전칸대에 걸처서 2절받침대를 쓰면 낚시하는데 큰 영향이있을까요??
낚시가게에서 물어보면 빠르겠지만 제 당골낚시가게 사장님께서 무뚝뚝하셔서 여쭤보기가....^^;;;
때문에... 선배조사님들의 조언좀 얻어볼까해서 글올려봅니다~
- © 1998 ~ 2025 Wolchuck all right reserved. ▲TOP
낚시대를 잡아주는공간에 적어지지요.
바람에도 취약해지며 낚시대 이탈이 종종발생될겁니다.
순간적으로 대를찰경우에도 바톤대가 들어질염려도있을수있구요.
스텐받침대가아닌이상 빳빳하게 완벽하게 직선으로 대를잡아줄수있는 받침대는없습니다.
개인적인 견해입니다.틀릴수도있으니 자세한 사항은 고수님들께 패스합니다.
2절이라하면 한번 접어지는 두마디의 대략 1.6미터정도의 받침대입니다.
3.4칸까지 거치는 문제없어 보입니다.
하지만 입질왔을 경우 순식간에 대가 들려서 총알이 안걸리거나, 브레이크가 걸리지 않을수도 있습니다.
뉴카랭이님이 평소 쓰시는 받침대 절수가 대부분 쓰시는 절수입니다만, 저는 2칸 밑으로 2절, 2.8칸까지 3절, 그이상은 4절 씁니다.
이유는 대가 들리는걸 방지하기 위해서죠.
낚시줄은 길어서 이득될게 없다하지만, 앞받침대는 길어서 손해볼게 엏다는게 제 지론입니다.
참고만 하시고, 항상 안전한 낚시하세요~
챔질하는데 까지 충분한 여유시간이 있습니다. 전 받침대는 낚시대만 받치면 되는 본연의 임무만 하면 된다고 생각합니다.
다대편성 할수록 받침대 절수는 같아야 편하더라구요. 낚시도중에 낚시대 재배열 할때 받침까지 옴겨야하고
받침대 절수가 같으면 불편한거 한방에 해결됨니다
저도 대펼때 절수확인해가면서 펴는게 어떨땐 번거롭기도하고 어느 밭침틀처럼 짧은절수로 통일된게 이뿌기도하고 또 초릿대가 너무 잠겨 챔질이 늦어질수있어서 나름 고민했던것 같습니다
답변보고 정리된기분이네요
다년간 습득하신 노아후 알려주셔서 다시한번 감사합니다^^
구조해석으로 보자면 3개의 축점이 상호작용을 합니다.
1. 먼저 낚시대의 무게중심축과 옆바람이 불때 작용하는 바람을 맞는 낚시대 표면적의 무게중심축
낚시대가 길이가 길어질수록 무게중심축이 멀어집니다.
2. 받침대 주걱의 위치 (지렛대를 쓸때 밑에 개어 놓는 물건이라 생각하시면 됩니다.
3. 받침대 주걱의 위치에서 받침대가 꽂혀있는 곳까지의 거리
전문용어 써봐야 이해하기 힘드실테고, 구조역학에서 기본해석은 시소나 지렛대의 원리로 합니다.
즉 기준점에서 힘이 작용하는 거리가 멀어질수록 (힘*거리)만큼 거리에 비례해서 기하급수로 증가합니다.
작용 : 낚시대 무게중심축에서 받침대 주걱의 길이 * (낚시대 무게+옆바람 세기)
작용 반작용의 중심축 : 받침대 주걱
반작용 : 받침대 주걱에서 받침대가 꽂혀있는 곳까지의 거리
아..설명하기 힘들군요.
아무튼 받침대 주걱위치가 가까우면 가까울수록 받침대가 받는 부담은 거리의 곱으로 가중됩니다.
받침대의 재료는 강성이 강할수록 좋다고 보시면 됩니다.
연질대를 쓴다고 해서, 같은 연질 재료로된 받침대를 쓰시는것보다 카본이 재료라면 무조건 초경질대 라인의 받침대를 쓰시는게 좋습니다.
요즘 무받침대 나오는데 그 라인은 대부분 짧은대신 금속입니다.
여기서 중요한게 강성이죠. 주걱의 위치가 짧아진 만큼 받침대 재료의 강성을 이용해서 커버하는 것입니다.
단지 옆바람 같은거 고려하지 않고, 좋은 받침대 2칸짜리의 성능으로 7~8m가 넘어가는 긴 낚시대를 받쳐줄수는 있을지 몰라도
사용자가 옆바람 초속10m가 넘어가는 상황에서도 낚시하고 싶어하는 사람이라면 그런상황까지 고려해야겠죠.
튼튼한 장비를 선호하는 낚시꾼은 그만큼 일기요건 따져가면서 날씨 좋은 날만 골라서 출조하지 않는 사람이구요.
예로 어느날 낚시터에 초속5m의 바람이 불었습니다.
어떤 낚시꾼은 낚시대 다 날라라고, 받침틀 돌아가고, 텐트 날아가는거 붙잡고 있느라 낚시못했다고 하고.
어떤 낚시꾼은 아무렇지도 않았다고 합니다.
장비의 선택기준 또한 취향이겠죠.
저 같은 경우는 천둥번개 태풍만 아니면 낚시를 해야겠기에 최대한 튼튼하게 장비를 맞춥니다.
초경질대 4절 받침대를 주종으로 쓰고요. 3절쓰는 상황에서도 앞부분 한칸을 접어 넣어서 씁니다.
2절써야 하는 짧은 낚시대는 3절에서 앞부분 한칸을 접어넣어서 씁니다.
연질대쓴다고, 연질받침대 쓰는거 아닙니다.
일단 뻣뻣하고 나서, 주걱길이가 중요합니다.
뻣뻣해지는것은 받침대 관경이 커서 뚱뚱해지던가, 초경질형태로 재료를 듬뿍넣어야겠죠.
아무튼 받침대는 최대한 빳빳한게 왔다입니다.
오히려 짧은것보다 조금넉넉하게긴것이 안정적이고 혹시나하는상황에서도 이상없이쓰실수있을듯하네요..
줌기능이있으므로 2절받침은필요가없다는것이네요..3절짜리 줌으로 1.0칸대부터 쓰신다니...
암튼 제생각도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