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물낚시

· 생미끼 붕어 대물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질문/답변] 수초낚시의 목줄길이?

IP : aa43bbcc4d521b5 날짜 : 조회 : 4013 본문+댓글추천 : 0

수초낚시의 목줄길이와 찌선택시 부력이 고리봉돌로 몇호정도되는 찌를 써야하나요?

1등! IP : bb5697d6c6312dd
안녕하세요,dregon90님.수초낚시라해서 그리 별다른 채비를 해야만 하는 것은 아닙니다
다만,채비가 보다 잘 걸리고 채비 안착 시키기도 좀 더 요령이 필요하고
현장 바닥 여건이 보다 더 지저분할 경우가 많은 등
조금만 생각해보시면,정수수초나 침수수초 바닥의 바닥 토질이나
기타 환경적 여건 등 으로 민바닥과는 다른 것을 알게되지요

수초대가 자라고 있는 곳 의 바닥 토질은 양분이 풍분한 뻘층이 많답니다
뻘층은 여러 퇴적물들의 집합이라 보셔도 될만큼,바닥은 지저분하겠지요

이러한 곳 에서 채비를 잘 안착시켜 대물붕어까지 낚아낼 수 있는
테크닉은 분명 필요하고,제가 아는대로 설명해드려보겠습니다


★수초낚시의 목줄길이

단순 찌든 수초대에 채비를 보다 더 잘 안착시킬적에,목줄의 길이만으로
조절을 한다 가정하면,목줄의 길이는 짧을 수록 좀 더 유리할 듯 합니다
좁은 수초대에 좀 더 잘 파고들어갈테니까요

하지만,실제로 수초낚시를 하다보면
생미끼인 새우나 참붕어 류를 콩이나 옥수수를 비롯하여 쓸 적이 많습니다

새우나 참붕어를 미끼로 할 적에는,목줄 길이를 개인적인 취향에따라는
분명 다르겠지만,저의경우 10Cm이상에서 심하면 참붕어 미끼때는 20Cm까지도 줍니다

새우나 참붕어는 그 이물감과 붕어의 섭취 과정이,여린 옥수수나 떡밥과는 다르고
좀 더 꾸역대며 시간을 주고 삼키게됩니다
헛챔질을 방지하려는 목적과,섭취 시간을 조금이라도 편하게 더 주려는 이유로
목줄 길이를 좀 더 주는 것 이며

심하면 20Cm까지 준다는 말은,참붕어 굵은 것을 미끼로 쓸 적에는
어느정도 초반에는 살아서 끔틀대며 목줄을 엉키게합니다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려고,다소 뻣뻣한 카본사를 목줄로 사용하는데
카본사 3호 정도의 목줄은,붕어의 흡입시 이물감을 느낄 수도 있기에
보다 자연스런 흡입을 유도하려고,좀 더 길게 주어
목줄의 휘어짐을 크게하는 것 이지요

이러한 저의 방식 때문인지,아직도 개인적인 연구 과제 중 하난데
참붕어미끼를 붕어가 섭취하여 입질시,좀 더 과격하게 입질하는 경우가 많고
심하면,예신주고 대 차고들어가버립니다
<아마,너무 긴 목줄의 길이로,한 발 늦은 챔질상태여서 이런지도 생각해봅니다>

요점만 정리하자면,지렁이/캔옥수수/삶은보리밥알/작은새우/작은참붕어/새우살/
참붕어살/글루텐/등등 을 수초낚시에 사용시
목줄의 길이를 7Cm내외로 짧게 주셔도 무방하며

굵은새우/굵은참붕어/여러마리 지렁이나 굵은 지렁이/등등 을 사용할 적에는
상황에따라 좀 길게 주거나 많이 길게 줘도 되며
통상 10Cm내외 주시면 좋겠네요

목줄의 길이 역시,낙시하다보면 본인 스스로 자기 것 을 찾아가시게 될 것 입니다


★찌선택시 부력이 고리봉돌로 몇호정도되는 찌를 써야하나요?

수초낚시라해서,약간씩 틀려지는 기법마다 그 부력에 의한 찌의 선택 기준도
약간씩 차이는 날 것 이지만

바닥에 채비를 안착시키는 보편적인 대물붕어수초낚시에서는
찌에 봉돌만 달고,수조속에서 서서히 가라앉게 할적에
고리봉돌6호 내외가 가장 알맞은 듯 하며
2배가 넘는,더 이상의 부력을 사용하셔도 무방하며
더 이하의 부력은,케미의 무게감이나 둔중한 찌올림을 보기에는 좋지않고
예민한 내림낚시나 떡밥낚시<콩알낚시>용으로 많이 쓰고있습니다
<이런 저부력 찌는,용도에맞게 그 형태는 최대한 달리줍니다>

하지만,자신의 낚싯대의 길이나 휨세에따른 가장 알맞는 찌와의 셋팅도
차이를 주는 것이 좋습니다
앞치기시 용이하거든요

제가 써본 낚싯대 중 에서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케브라옥수/다이아플렉스신수향/케브라수향/보론옥수>
15-32까지는,고리봉돌 6호 정도가 수초대낚시시 앞기기도 용이하고
대 벨런스와 수초낚시에서 잘 맞는 편입니다
33-40<그 이상>까지는,고리봉돌 6호 이하가 대 끝의 낭창임을 보완해줄 수 있기 때
문에,앞치기도 최대한 용이하고 원줄 길이는 대 길이보다 한 마디
짧게 해주면 좋습니다<60-100Cm정도>

<자수정드림/자수정Q/청강호/498/청강용/MAX향어/다이아플렉스향어>
이 대 들의 공통점은,뒤로 갈 수록 뻣뻣하다못해 강하다라는 느낌을 받는
억센 낚싯대들입니다
대의 휨세가 뻣뻣하다는 느낌을 받는 낚싯대들이어서
고리봉돌 최소 6호,그 이상의 봉돌을 선택해주시 않으시면
채비 투척이 어렵고
다이아플렉스 향어의경우,고리봉돌 최하 7호를 선택하니
앞치기시 도로 튕겨오는 현상을 줄일 수 있었습니다
<다이아플렉스향어는 적응하기 힘든 낚싯대입니다 ^ ^ >

이렇듯,수초낚시와 앞치기 관계를 놓고 본다면
중조대는,6호 고리봉돌과 잘 맞는 편이며<장대로 갈 수록 끝 휘청임이 많아 <br/>좀 더 부력을 약하게 하는 것이 좋고,유동채비가 투척시 중심이 하단에 오기에
도움이 됩니다>

경조대나,휨세가 억센 낚싯대 들은
고리봉돌 7호나 그 이상을 사용하는게 도움이 될 듯 합니다
대 끝은 뻣뻣한데,봉돌은 가벼워 채비를 날려보면
앞치기가 잘 안됩니다

도움이 되셨나 모르겠습니다.즐거운 출조길 되시고
너무 큰 부담 갖진 마시고 이런방법 저런방법 사용해보시며
재미있는 낚시를 즐겨보세요
추천 0

3등! IP : ddc54f64a73e38b
안녕하세요,kimssem55님

별말씀을요.. 봄낚시 즐겁게 즐기시고
기분좋은 저녁시간 되세요
추천 0

IP : 4463370cbb33b37
결론적으로 목줄이 짧으면 감도가 좋습니다. 다시말하자면 입질반응이 빠르죠. 반대로 길면 무디죠. 그리고 수초 구멍에서 밑걸림이 아무래도 조금 심하죠. 낚시엔 왕도가 없습니다. 그나름 데로 장단점이 있기마련이죠. 저도 이런데 저런데 한번씩 들어와 보지만 저는 찌는 군계일학 대물찌 32센찌 올 동일한것 (부력 7푼) 2.1부터3.2 까지8대 씁니다 .낚시란게 제각기 취향이 다르고 어종도 다르고 채비도 다르고 하기 때문에 누가 맞다고 할수 없죠. 저는 한평생 한길로 나갑니다. 못잡아도 좋습니다. 콩 새우 낚시만 합니다. 떡밥이니 중층이니 드레뽕이니 하지않습니다. 오직 잡기나 못잡기나 조용하고 물 깨끗한데서 하루밤 즐기면 되는것 아니겠습니까 이것이 진정한 낚시가 아닐까요.
추천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