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얼마전 상수씨 나오는 낚시방송을 보는데 같이 출현하신분께서 얕은수심에선 유동채비의 유동폭을 없애는게 좋다고 하는데 그것이 맞는 방법인가요 ?? 맞다면 이유좀 알려주세요 ~~~(물론! 현장수심이 찌의 두배보다 안나올경우엔 고정식으로 합니다) 제가 틀린낚시를 한거같아 조금 맘에 걸리네요ㅎㅎ 시원한 답변 부탁드립니다~~
변형 옥내림을하는데 유동폭을 전혀 못주는 수심에서의 낚수는 진정 힘들고
체비투척시 바늘이 찌에 자주 걸리더라구요
해서 얕은 수심에선 될수 있으면 유동을 안 씁니다
유동에선 그래도 수심이 좀 나와줘야 찌올림이나, 손맛이 제데루아닐까 ? 합니다
다른 고수님께 페스~~~ㅎ
기법의 차이가 아닐런지요?
즐기려고 하는 낚시 그냥 고민없이 편하게 하시는게 어떨런지요?ㅎㅎ
원하시는 답변이 아니더라도 너그럽게 이해를 부탁드립니다.
수심30~50정도에 찌를 세우려면
찌스토퍼를 봉돌까지 내려야합니다
여기서 만약 수심 50 에 찌를 세우려면
유동을 쓰지않는다면 20정도부분에 스토퍼를 고정해야하는데
그러면 찌톱에 목줄이나 바늘이 걸려 짜증나는일이 많죠
이럴때는 차라리 유동폭을 줘서 스토퍼를 봉돌에 가깝게 내려버리면
걸림이 덜합니다
저도 방송봤지만
도통 신빙성이 없다고 생각하네요
이유는 간단합니다. 목줄과 찌톱이 종종 엉키는 것을 보곤 합니다.
특히 투척하면서..
약 60cm 이상인 경우엔 찌 30cm 일경우 봉돌에서 약 10cm 띄워놓고 사용합니다.
그래야 최대한 엉키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더군요!!
종종 찌가 꺼꾸로 서는 경우도 보았습니다.
그래서 아마도 이런 뜻으로 설명하지 않았나 싶네요!!
반 관통찌나 관통찌인 경우 전혀 상관이 없지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