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짜로 가벼운 찌맞춤 (주간캐미 끼우고 캐미고무 상단 물위로 나오게...)한 봉돌을 여분으로 하나 더 하셔서 떡밥 하실때 쓰시면 희한한 입질 보실 수 있을겁니다. 제가 화성의 수로에서 장난삼아 해 봤는데 떡밥찌에서 느끼지 못하는 특이한 찌올림 보입니다. 무거운 찌맞춤으로 대물, 떡밥 병행 (동일한 봉돌로)은 절대 비추 입니다.
찌를 가볍게 맞추고 작은 바늘로 미끼 작게 다시면 의외로 잘 올라오는데 대물낚시에서 찌 올라오는것 처럼 생각보다 느리게 잘 올라오는 경우가 많습니다. 화성의 문호리 수로 (바닥에 말풀 많은 곳입니다.)에서 저도 신기해서 여러번 비교 시험 해 봤는데 (바로 옆에 떡밥찌로 세팅한 대와 찌올림 직접비교...) 의외의 결과 였습니다. 저도 의아해서 아주 여러번 비교 해 봤는데 분명 다른 패턴의 입질을 볼 수 있었습니다. 같은찌를 영점맞춤 (아무것도 안달고 수조에서 영점) 해보니 그런 결과가 나오지 않았습니다. 한번 시험해 보십시오...(단, 아주 잔챙이의 톡톡 거리는 입질은 제외입니다.)
대물전용으로 쓰시고
중은 겸용 가능 하다고 보고
소는 수초없는 갓낚시나
동절기에 전천후로 써도 좋다고 봅니다
찌의 설계상으로
저수심 생미끼가 주용도로 보입니다
겸용으로 쓰신다면
물방울형의 6~7호 권해드리고
궁극적으로는
떡밥 대물낚시라면 전천후용도라는게 일부 타당성이 있겠지만
일반적 떡밥 콩알 낚시라면
떡밥 전용찌를 쓰는게 찌 끝을 읽을수 있고 떡밥낚시의
매력을 느낄수 있다고 봅니다
원줄 3호에, 물방울 형태의 6~7호정도의 타입이 전천후에 가깝다고 봅니다
저 같은경우 아예 떡밥 낚시대를 같이 가지고 다니는데
겸용으로 쓰신다면
낚시 케이스에 2가지 채비를 묶어 다니면 용이하게 교체가능하고
원줄에 스냅도래 를 달면 원줄 교체없이 찌 교체가능하고 보관 하기도 쉽고
봉돌은 8자고리묶음하면 봉돌 교체도 쉽다고 봅니다
나무 젓가락에 봉돌을 달아서 사용해도 찌구실은 합니다.
대물용, 새우용, 떡밥용, 떡붕어용... 구비하시면 좋겠지만, 어떤 것이던지 다 겸용 사용이 가능합니다.
무게 중심이 밑으로 있으므로 떡밥 낚시 특성상 올림엔 무리가 따르지 않을까 합니다.
다만 저 수심층에서 생미끼로 갓낚시하기엔 좋은 찌로 옆으로 이동시 붕어의 이물감 최대한 느끼지 않게 하지 않을까요...?
저부력의 대물찌 찾아보심이 나을것 같습니다
군계**의 혈열회원이고요.
역방향과 정방향으로 말입니다.
일학레*에 들어가보시면 대물낚시하는 조행기 보시면 저의 화보가 제일 많이 있습니다.
이번에 42cm낚아 4짜 조사가 되었고요.
본론은 대물찌입니다.
떡밥병행시는 노지역광물방개 제품이 있씁니다.
현제 일학에서 없어서 못파는 제품이고요.
저의 대물낚시애장품이니 많이 사용해보세요
나름 만족합니다.
29대까지는 소자
40대까는 중자
그이상44,47,51은 대를 사용하고 있씁니다.
특이한 찌올림이요?
ㅋㅋ 엄청 궁금하네요.
내일 출조하면서 하나 세팅해 가야겠네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