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물낚시를 시작한지 얼마 되지않은 대물 초보 입니다.
떡밥 낚시를 하면서 유동채비는 종종 써봤지만
대물낚시에서 유동채비가 왜 필요한지 궁굼해서
이렇게 여러 조사님들께 질문드립니다.
유동채비를 쓴다면 반드시 필요한 이유가 있을 텐데
유동채비의 장단점 을 고정채비와 비교해서 설명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좋으면 저도 써보게요^^
그럼 모두 어복 충만하시길...
- © 1998 ~ 2025 Wolchuck all right reserved. ▲TOP
유동 채비를 이미 사용하고 있으시다니 장점은 몸소 느끼셨으리라 생각합니다.
유동 채비는 투척시 봉돌과 찌의 무게들이 줄의 끝에 모여서 한번에 투척되는
성질을 가집니다.
먼 곳 까지 어느정도 바람이 불어도 채비를 투척하는 것이 고정 채비 보다 유리합니다.
작은(좁은) 포인트(구멍)에 던져 넣기가 유리합니다. 고정 채비는 투척할 포인트의 직선 거리에 장애물이 많을 경우 찌를 세우기가 쉽지 않습니다. 물론 유동 채비 역시 쉽지는 않지만 조금의 노력으로 찌를 세울 수 있습니다.
얼음 구멍을 만들어 두고 2-3미터 떨어진 거리에서 투척을 하여 찌를 세워보시면
쉽게 이해할 수 있으리라 생각됩니다.
유동 채비는 채비의 수직 입수에 도움이 됩니다.
야간에 찌에 있는 캐미컬 라이트를 보고 채비 회수 때 잡는다면 쉽게 채비를 잡을 수 있습니다.
단점은 찌 멈춤 고무 등으로 인하여 고정식 채비보다 원줄의 손상을 조금 더 유발하기도 합니다. 큰 구멍의 찌고무, 튼튼한 찌고무를 사용하지 않으면 채비 손실로 인하여 번거롭기도 합니다.
원줄의 끊어지는 부위에 따라서 찌를 유실할 우려가 있습니다.
다른 차이점들도 있겠지만 당장에 생각 나는 부분은 이런 것들이네요.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오제 다녀온 계곡형 소류지에서 새우망을 던졌더니 참붕어와 참붕어 비슷하게 생긴 녀석이 들어 왔습니다..그런데 그놈은 등에 검은 반점이 있었습니다..
크기도 참붕어랑 비슷하고 색깔도 비슷해서 얼핏보면 구분이 안되지만 자세히 보니 등에 반점이 많이 있던군요 그게 버들치 인가요??
글구 납자루라는 놈은 붕어처럼 생겨서 크기가 작게 생긴놈이 맞는지요??
글구 콩낚시 할때 꼭 메주콩으로해야 합니까..
이번에 제가 메주콩과 크기가 비슷한 강남콩으로 해볼라고 하는데
선배님의 노하우를 듣고 참고 하겠습니다..
붕어 입이 높아져서 콩 안먹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