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입니다
예륻들어 5,5호 부력 찌부력 (스기 나루예찌 3개를 구입했는데요)
찌를살때 케이스 (플라스틱)? 으로 되어있습니다
낚시가게에서 나루예찌 스기목 뉴강산대부 ) 부력이 5.2호로 되어있음 ( 케이스에 )
6호 봉돌로 낚시가게에 배치된 수조통에 찌고무에 달아 부력확인
4개중에 3개는 6호 봉돌로 가라앚았으나 그중에 2개는 6호돌 달았을시 캐미달았을시 캐미가 수면에 일치 또는 찌톱이 더 올가가있음
괜찮습니다 저는 케이스에 5.2호로 되어있으나 소재가 나무일지라 4개 구입할려고했으나 자금이 사정이 안좋아 3개밖에 구입못했는데 6천원에
제가 질문드리고자 한 내요은
수조찌맞춤할때 캐미달고 하시는분들 찌톱무게가 찌톱 3마디 4마디 차이 나신다고하는데요 정직한 찌올림 ( 봉돌이 4cm뜨면 찌톱도 4cm뜨고)
다만 이물감이 무거운찌맞춤을 할때 발생하는거 아닌가요 ?)
토종붕어 살대로 노지) 가령 6.2호 부력 찌를 8호 9호 수조통 실험했을때 봉돌이 눕게 하게되면 이물감이 더 발생될거같아요
그건 수조통 실험으로 원줄에 찌고무달고 6.2호 부력찌를 어느정도 무거운 7호 8호 9호 봉돌로 원줄에 연결하여 실험해서 그것보단
발레리노가 서있는거 처럼 봉돌이 살며시 .................
캐미무게 , 주간캐미 무게 관하여 궁금하신분들 저도 궁금합니다 그래서 질문올립니다 감사합니다
- © 1998 ~ 2025 Wolchuck all right reserved. ▲TOP
내용을 복잡하고 이해하기 힘드시겠지만 정정하여 올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저는 캐미 빼고 찌맞춤을 선호합니다 전자캐미종류가 너무 많아서 하나하나 무게 따져가며 찌맞춤하기 번거로워 그럽니다
찌톱이 올라간 높이는 봉돌이 뜬 높이랑 똑같나요 ?
또다른질문인데 오늘 낚시가게에서 목줄을 바늘 매는법을 배웠습니다 낚시용품 쇼핑몰 or 낚시가게에서 파는 외본바늘보면 (쌍바늘도 마찬가지 합사줄만 보이는거같은데요 모노줄은 봤음 카본줄이 없었습니다
새우대물낚시하려고하는데요 카본줄이 좋다고 배웠습니다 (옥수수는 합사 떡밥)
살아있는 새우,참붕어는 카본 뻣뻣한 줄 )
저는 처음에 모노줄로 된 묶여진바늘을 구입해서 고리봉돌에 8짜매틀없이 바깥돌리기 ) or 한번 맨밑에 기본매틉을 준뒤 바깥돌리기로 한후 바깥돌리기 한번 (합사) 했었습니다
쭈욱 빨아들였다가 못 먹을것 같은 느낌이 들면 그 순간 바로 뱉어 냈구요.
미늘이 튀어나와있는 경우에는 뱉어내다가 뱉어내는 힘으로 입안쪽이 걸리기도 하더군요.
단순히 입안에 들어온 식감(?)으로 먹을수 있는건지 없는건지 본능적으로 아는거 같더군요.
마치 사람이 통닭을 입에 넣었는데 뼈가 있는지 없는지 아는것 처럼요.
저는 그 영상을 본 이후로는 미끼외에 바늘부위가 노출되는 양을 최대한 줄이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후킹하는데 필요한 최소한의 바늘끝 미늘만 노출하고, 귀 높이가 짧은 바늘로 바꿨구요.
먹었다가 목줄이 걸리적 거리는 느낌이 들면 머리를 좌우로 흔들면서 떨어뜨리려는 움직임도 여러차례 봤습니다.
이것도 보건데 이물감에선 목줄이 빳빳한것 보다 부드러운 목줄이 유리하다고 느꼈습니다.
위의 두가지 행동이 없으면 가만히 있는채로 목구멍으로 넘기는데 목구멍으로 넘긴 다음에 움직이더군요.
이순간이 아마도 찌가 중후하게 움직이는 본신이겠죠.
뭣 모르고 넘겼다가 목에 뭐가 걸리니까 그때야 난리를 치더군요.
제가 보기엔 찌부력하고, 봉돌무게 차이는 바닥에서 먹이먹는데에는 큰 차이가 없는것처럼 보였습니다.
무거운 찌맞춤이나 가벼운 찌맞춤이나 둘다 반톱 찌맞춤이라면 어차피 이물감은 차이가 없을껍니다.
다만 장대에선 투척에 용이하도록 무거운 찌맞춤을 하는게 표준이죠.
이물감을 최대한 줄이고 시원한 찌올림을 원하신다면 원줄 목줄.최대한 가는거 쓰시고 좁살 봉돌 외바늘로 가시는게 어떠신지요?
원봉돌은 띄우고 좁살만 살짝 가라앉혀 이물감을 최대한 줄여주고 좁살이 먼저 가라앉고 바늘이 뒤에 살짝 안착되기 때문에
이 맘때 많은 부산물에도 미끼의 함몰을 어느정도 막아줍니다.
다만, 수심과 미끼에 따라 많은 차이를 보입니다.
떡밥,옥수수,지렁이등등 다 써봤지만 옥수수의 입질이 조금 지저분?하고 떡밥엔 이상적 찌올림을 선사하더군요.
참조하시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