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 선배 조사님들께 문의 드립니다
이세형 바늘이 감생이(지누) 바늘보다 강해서 사용 하시는걸로 알고 있는데 감생이 5호면 이세형 몇호와 비슷 한지요??
실제 사용 하시는 이세형 바늘은 감생이 5호보다 어느정도 큰지요??(이세형 몇호?)
또 바닥및 수초에 걸림 시 당기면은 바늘보다는 목줄에서 먼저 끊어 지는지요??
또 바늘이 너무 강하면은 목줄이 끊어질때까지 당겨야 하므로 원줄에 너무 큰 데미지를 주는게 아닌지요??
상기 사항 외 이세형 바늘을 사용 하신 조사님들의 사용담을 부탁 드립니다......^^
감사 합니다
- © 1998 ~ 2025 Wolchuck all right reserved. ▲TOP
이세형바늘에 대한 질문이군요. 대물낚시의 입문에 기초적인 질문입니다.
먼저 바늘끝이 안쪽으로 휘어져 한번 걸림이 되면 잘 빠지지 않습니다.
옛날 이세 바늘과 생긴 형이 같습니다. 바늘의 폭이 넓어 제걸림의 확률이
높으며 바늘의 목이 짧아 챔질시 챔질의 동작이 빠르게 전달되어 걸림의
확률을 높입니다. 또한 강한 챔질에도 , 장애물에 걸려 있는 상황에서
강하게 채드라도 바늘이 뻗지 않습니다. 대물낚시의 용도로는 그저 그만
입니다. 대물낚시의 채비는 무식하리 만치 크고,강하며,센 채비로 한번의
챔질로 대물을 끌어올리는 파워에 맞는 것을 항상 선택 하십시요.
후지쿠의 바늘로 감성돔 5호의 크기는 이세형 11호와 비슷합니다.
보통 11호의 바늘을 많이 사용합니다.
바닥이나 수초 장애물에 채비가 걸리면 목줄울 원줄보다 가늘게 사용
하면 목줄이 먼저 떨어집니다. 그러나 원줄과 목줄의 강도가 같으면
바늘이 부러지거나 뻐들어져서 장애물에서 빠져나옵니다. 이세형의
바늘은 뿌러지는 강성의 바늘입니다. 아무래도 원줄에 약간의 데미지는
각오 하셔야지요. 원줄 5호의 사용은 큰 데미지가 없는 것으로 사료됩니다.
항상 즐겁고 보람찬 낚시와 자연보호를 병행하시길 바랍니다. 늘 건강하세요.
수초가 빽빽한 저수지를 선호하는 저같은 경우에는 이세형바늘이 더 좋더군요!
장점이야 늘사랑님께서 다 답변하셨고...,
이세형 바늘 상당히 강하더군요. 굵기가 보통 다이아몬드 바늘의 두배는 되어 보이고 뱅어돔바늘의 세배는 되어보이더군요.
그만큼 강한 바늘이고 잘 뻗지 않는 바늘이니까 사용해 보시는 것도 괜찮을듯 합니다만요. 다만 콩미끼를 쓸때 콩상태가 무르면 콩이 쉽게 이탈하는 단점이 있더군요.
미끼 계절 날씨에 따라 바늘을 선택하시는 것이 더 좋을듯 합니다.
즐낚하세요.
그제(4일) 글 올려놓고 낚시 다녀오느라(조과는 어뗐냐고요?? 아~~ 기본 했습니다............ 기본이 뭐냐고요?? 아~~예 기본이라 함은 "꽝"을 말하지요^.^ㅎㅎㅎㅎㅎㅎㅎㅎ) 답변을 이제 읽습니다 매번 친절하게 답변해 주셔서 늘 감사하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이번 기회에 이세형 바늘을 합번 사용해 보겠습니다
여러모로 감사 드립니다^^
아주 오래전에 이세바늘이란 바늘이 있었는데 요즘은
보기가 어렵더군요.
형태가 이세바늘과 같아서 이세형바늘이라 이름 지었습니다.
대물낚시에서 이세형바늘을 추천 드리는 이유 즉
이세형 바늘의 장점을 말씀 드릴게요.
첫째는 몸통이 굵어서 뻗는 현상이 거의 없습니다.
강하다는 감성돔 5-6호 바늘은 챔질시에 가끔씩 뻗는 경우가
나오거든요.
둘째는 품이 넓습니다.
이세형11호바늘은 전체적인 크기는 감성돔5호바늘 보다 조금
작게 보이지만 바늘의 품은 감성돔6호바늘만큼 됩니다.
품이 넓어서 챔질시에 제걸림의 확률이 높습니다.
셋째는 허리가 짧습니다.
허리가 짧아서 챔질시에 바늘끝이 파고드는 방향으로
힘이 전달 됩니다.
역시 헛손질이 많은 대물낚시에서 제걸림 확률을 높이는 장점이 있지요.
항상 안전조행 하시고 좋은밤 낚으십시오.
그리고 이세형 바늘로 바꿔서 기본을 좀 면해봐야 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