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으로... 시기를 맞추는 건 힘들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아무래도 경남 이기때문에 평지지는 현재 알자리를 보러 움직이거나
산란을 할수도있다는 가정을 해야 하지 않을까...
이부분에 대해서는 제가 정보가 없어서 확실하게 답변 드리질 못하겠구요
준계곡형저수지라 하셨으니
상류권의 수심...
하류권의 수심이 얼마나 되는지 먼저 파악을 하시구요
그다음엔 주위에 산세를 파악한 후 해가 떠서 지는 동안
햇빛이 장애물에 의해 가려지는지 가려지지 않는지 파악을 하시면은
준계곡형 저수지라도 일조량이 많고 수심이 얕다면
평지지와 시기가 조금 밖에 차이 안나는 곳도 많다는 알고 있습니다
아무래도 준계곡형이라 하셨으니 산에 있는 것이고
해발이 높다보면 온도가 낮기 때문에
평지지보단 어느정돈 늦다고 판단을 하셔야 됩니다
그리고 산란기가 다가올수록 물색은 살아납니다
물색을 파악하시는것도.. 매우 중요하다가 생각됩니다
제 고향이 그근방인데요...대부분 계곡지가 많아서 그런지
산란기는 5월이후가 가장 활발 했습니다
제경우엔 6월이후 통영.사천쪽 계곡지를 자주 찾습니다.
그리고 수심이 대부분 깊기 때문에 갈수기때가 오히려
조황이 좋습니다!
물도 맑고 맹타지가 많아서 시즌이 늦게 시작됩니다!
수심은 얼마나되는지
등을 판단해보면 어느정도 알수있을것같습니다
자주 들려 물색을 자주 보는것도 많은도움이 되겠죠
^^ 산란특수 잘 맞추셔서 대박조황만나시길 바랍니다^^
더 자세히알려주세요 ㅎ 제가 알고 싶은 것은 경남 최남단쪽과 시기입니다.
아무래도 경남 이기때문에 평지지는 현재 알자리를 보러 움직이거나
산란을 할수도있다는 가정을 해야 하지 않을까...
이부분에 대해서는 제가 정보가 없어서 확실하게 답변 드리질 못하겠구요
준계곡형저수지라 하셨으니
상류권의 수심...
하류권의 수심이 얼마나 되는지 먼저 파악을 하시구요
그다음엔 주위에 산세를 파악한 후 해가 떠서 지는 동안
햇빛이 장애물에 의해 가려지는지 가려지지 않는지 파악을 하시면은
준계곡형 저수지라도 일조량이 많고 수심이 얕다면
평지지와 시기가 조금 밖에 차이 안나는 곳도 많다는 알고 있습니다
아무래도 준계곡형이라 하셨으니 산에 있는 것이고
해발이 높다보면 온도가 낮기 때문에
평지지보단 어느정돈 늦다고 판단을 하셔야 됩니다
그리고 산란기가 다가올수록 물색은 살아납니다
물색을 파악하시는것도.. 매우 중요하다가 생각됩니다
여기까지가 저의 한계군요
나머진 내공이 많으신 선배 회원님께 패스합니다..^^
산란기는 5월이후가 가장 활발 했습니다
제경우엔 6월이후 통영.사천쪽 계곡지를 자주 찾습니다.
그리고 수심이 대부분 깊기 때문에 갈수기때가 오히려
조황이 좋습니다!
물도 맑고 맹타지가 많아서 시즌이 늦게 시작됩니다!
바람잦은 근래 몇일간은...아무래도...호조황은 없다고 봐야죠..
그리고 물색 맑은곳은 무조건 피하셔야 합니다.
고성권 계곡지는 터가 센편이에요. ^^
잘 살펴조보겟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