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가 자주 찾는 관리터에 새우 거의 없습니다. 징거미 당연히 한번도 본적 없고, 물방개가 살수 있는 그런 수질이 못됩니다.
참계가 있어서... 가끔 참계 붙으면 참 난감하지만... 참계는 몇번 격고나면 말씀하신 증상과는 확연히 틀리니 구분이 되죠
저도 참 궁굼합니다. 이유가 먼지...
바닥이 거의 평평하다는 조건으로...
사선 입수가 된다면... 떡밥이 떨어지거나 고기가 건드릴경우 사선 각도가 줄어들면서 찌가 좀 올라올수는 있습니다. 그런데 다시 잠기는 부분 이게 좀 이상합니다.. 다시 고기가 반대로 건드려서 사선을 만들었다는 말뿌니 안되는데...
그게 한마디 이상씩 차이가 나기도 하니 이상합니다 ㅋㅋㅋㅋㅋ
수직 입수에 신경쓰고 채비 바닥 안착 시켜도 가끔 이런경우가 있네요...
이유가 먼지 언젠가는 알게 되겠죠 ㅋㅋㅋ
징거미에 한표!
먹는것갇읍니다..
물속에는 미끼도둑놈? 이 많습니다.
물방개 참붕어 새우 올챙이 징거미 등등 못 먹는 감 찔러나 보자는 식으로 미끼를 손상시키는 생명체가 많은데요
그중 가장 큰 찌놀림을 보여주는 것이 징거미입니다. 북두사신님의 말씀처럼 징거미 소행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생미끼를 사용하는 낚시에서 찌맞춤을 예민하게 하면 미끼도둑질을 할때 까닥거리고 말것이 찌가 올라오고 내려오는 현상을 보여주기도 합니다.
그렇다고 해서 무거운 찌맞춤이 무조건 좋은 것도 아니고 가벼운 찌맞춤이 무조건 나쁜 것도 아닙니다.
모두가 일단 일장이 있으니 자신의 주관과 현장상황에 맞게 대처하시면 된다고 여겨집니다.
징거미-참게 ㅎㅎ
한표 ㅎㅎ
건들었으면 내려갔다 제자리로 오던가 올라 갔다 내려와야 하는거 아닌가요?
특히 활동도 좋은 날엔 찌가 주체를 못하는 경우가 종종 보곤 합니다.
잔 붕어가 탐색용으로 하다보면 찌가 두세마디 올라오는 것은 기본이고
본신처럼 찌를 쭉 올리지만,새우 껍데기나 아니면 꼬리만 물고 여기 저기 끌고
다니다가보면 찌가 올라오는 경우 종종 보곤 합니다.
전 찌 맞춤을 가라앉게 맞춘 경우에도 잔챙이 붕어가 종종 저런 짓을 하는 경우
보곤 합니다. 그래서 오히려 좁쌀을 달아 사용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징거미 이 녀석 또한 무시 못하는 녀석이더군요!!
한번은 아주 죽여주는 꿈에 3단 입질을 받고 거의 찌가 쓰러질 정도까지
기다렸다 챔질.. 빈바늘만..
이렇게 몇 번하고 나니 ㅎㅁ.. 머랄까???
그래서 조금 더 작은 바늘 사용해 보니 의외로 3 ~ 4치 정도는 붕어가
3단 입질하는 경우를 보았습니다.
그래서 오히려 더 무겁게 맞춰 놓으니... 그 남아 좀 덜하더라구요...
징거미 또한 찌 올림 종종 멋지게 올리는 경우도 보았습니다.
구구리의 3단 찌 올림.. 이 또한 밤에 진장감 엄청 주더군요..
활동도 좋을 때는 머들 못하겠습니까??
이럴 때 또론 미끼를 바꿔 사용하고 합니다.
너무나 잔입질이 많을 경우나 진 입질 후 미끼가 없어질 경우엔
다른 미끼 달어서 사용하곤 합니다.
피곤한 낚시 아주 싫어해서여...
농담입니다. 실제 싸울쑤도 있을듯.
제가 자주 찾는 관리터에 새우 거의 없습니다. 징거미 당연히 한번도 본적 없고, 물방개가 살수 있는 그런 수질이 못됩니다.
참계가 있어서... 가끔 참계 붙으면 참 난감하지만... 참계는 몇번 격고나면 말씀하신 증상과는 확연히 틀리니 구분이 되죠
저도 참 궁굼합니다. 이유가 먼지...
바닥이 거의 평평하다는 조건으로...
사선 입수가 된다면... 떡밥이 떨어지거나 고기가 건드릴경우 사선 각도가 줄어들면서 찌가 좀 올라올수는 있습니다. 그런데 다시 잠기는 부분 이게 좀 이상합니다.. 다시 고기가 반대로 건드려서 사선을 만들었다는 말뿌니 안되는데...
그게 한마디 이상씩 차이가 나기도 하니 이상합니다 ㅋㅋㅋㅋㅋ
수직 입수에 신경쓰고 채비 바닥 안착 시켜도 가끔 이런경우가 있네요...
이유가 먼지 언젠가는 알게 되겠죠 ㅋ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