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수지에서, 밤낚시를 하면,
물의 수온이 변화여 대류현상이 생기는걸로 이해되는데요,,
소류지 일수록, 저수지의 크기가 작을수록 더 영향을 받을것으로 생각되는데요,,
저는,, 밤낚시에 대류현상이란,, 수온이 내려가기 때문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붕어에 먹이활동이 떨어진다고 믿고 있습니다,,
궁금한점은,,
밤낚시 대류현상으로, 즉 수온이 떨어지고 있어, 붕어 활성도도 떨어진다고 가정한다면요,,
수초나 물골 등,, 다른 외부 환경은 모두 똑같다고 가정할때요,,
1미터 내외의 낮은 수심에서 입질 받기가 좋을까요?
아님 2~3미터 내외의 깊은 수심에서 입질 받기가 좋을까요??
다시 설명 드리자면,,
대류현상으로 붕어 활성도에 영향을 받는다고 가정했을때
이런 대류현상으로 인한 붕어 활성도에 그나마 영향을 덜 받는 수심은 어떻게 되는지가 정말 궁금합니다,,
,,,,,,,,,,,,,,,,,,,,,,,,,,
제가 가끔 다니는 소류지는,, 자정이 넘어가면,, 낚시가 잘 안되는것 같아서 궁금합니다,,
- © 1998 ~ 2025 Wolchuck all right reserved. ▲TOP
대형지나 소류지나 대류현상 발생하면 붕어활성도 거의 없습니다.
먹이활동 자체를 하지 않는다고 생각하셔도 무방할 겁니다.
혹시 대류현상이일어나는 봄가을에 마릿수낚시를 말씀하시는겁니까 그때시기는 당연히 마릿수는꽝입니다 15년 낚시에미쳐산놈입니다 그게대류인지뭔지 과학적인근거는못댔니다 하지만 안개가 잦아들때 월척이상급 수없이 잡았습니다
더욱 반가워 질 수 있습니다.
반대로 수온이 너무 차거나 했을 경우에도 대류현상이 방가울 때가 있습니다.
저도 대류 현상으로 인해 한번 지대로 입질 받은 적이 있습니다.
한 여름 수온이 넘 올라가서 새벽녘쯤인가?? 한번 대류 현상이 발생했습니다.
찌가 전부 떠 다닐 정도로...
그 대류 현상 지나간 후 얼마지나지 않아서 쌍권총 몇 번 한 적이 있습니다.
대류 현상이라고 해서 무조건 좋질 않다란 것보다는 그 날의 수온이나 기타 환경적인
요건만 맞다라고 하면 오히려 득이 될 수도 있더군요!!
저도 대류가 조과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 합니다
몇번이고 정독해보는데,,
"낮에 뜨거운윗물을피해서 3m권밑에서놀던붕어가 밤에 대류현상으로 표층에 차가운물이 밑으로오면 어쩌겠습니까 그걸 피해서 따뜻한물을따라 위로올라갑니다"
라는 말씀중에,,
"따뜻한 물을 따라 위로 올라갑니다" 라는 말이 무슨말인지,,
한번만 더,, 부연설명 부탁드립니다,,
수심 낮은 상류로 간다는 말씀인가요??
수온이 낮은 시기엔 당연 수온 따라 다닙니다.
따스한 공기는 위로 올라가고 차가운 공기는 아래로 내려간다란 것은
전 중학교 때 배웠지만,요즘은 초등학교때 배우나요??
수온이 올라가는 여름철엔 이와 반대로 움직이는 줄 압니다.
표면 온다가 예를 들어서 30도 정도 되고 바닥 온도가 25도 정도 된다라고 하면
붕어들은 대부분 바닥에 배깔고 있는 줄 압니다.
이와 반대로 물의 평균 온도가 10도 정도.. 이 때 대류현상이 발생..
대류현상이 발생한 온도가 11도만 되더라도 붕어는 그 따스한 물을 찾아 갑니다.
사람도 더울 때는 그늘 밑이 좋고 추울 때는 따스한 햇볕이 좋듯..
붕어도 사람과 같다라 보시면 조금 이해가 ...
부연설명을드리자면 찬공기가 밑으로 내려오면 바닥권에 있던 붕어들이 그걸 피해 움직인다는 겁니다 상류로 붙어주면은 낚시꾼한테는 좋은 일이겠지면 그러기야 하겠습니까 움직인다는 자체로 그만큼 확률이 높다는거지요 제생각으론 대류현상으로 물이 뒤집혀준다면 저수지전체가 비슷한 적정수온을 유지할것이며 그러면 붕어가 활발히 움직일것같은데요 반대에 상황이라면 붕어들이 움직이지 않고 있기 좋은곳만 있겠지요 사람도 깨끗한 산소와 물이 순환되면 좋듯이 기온차에 의해 뒤집어진다면 산소 물의순환 먹이감등이 저수지 골고루 분포가 되어 잘 안움직이는 대물들이 왕성한 활동을 할것같습니다 참고로 대류현상이 일어나면 힘든 낚시가 됩니다 498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