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물낚시

· 생미끼 붕어 대물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질문/답변] 점박이 붕어라는 종류가 따로있나요?

IP : c7910ece949da74 날짜 : 조회 : 5663 본문+댓글추천 : 0

짝밥에 8치되는 붕어를 잡았는데 힘을 엄청쓰고 나옵니다. 바늘을 뺄려는데 검정색으로 꼬리까지 온몸이 검정색 점이 있더군요. 어떤분은 이런 붕어를 돌붕어라고 부르기도 한다는데 궁금해서 점박이붕어라고 검색해보니 점박이붕어라는 종류가 따로있다는군요.우리 토종이라고하네요. 그런데 이 검은점이 기생충의 새균에 감염되서 그렇다는데 다른곳에서 잡아온 붕어를 그곳에 방생하면 새균에 감염되지않은 붕어도 당연 새균에 감염될것이고 그럼 그 점이없는 붕어도 점박이가 된다는건데...... 점박이붕어종 이 따로 있는것인지 궁금합니다!

1등! IP : 52102d2e9164e59
종은 따로 없다고합니다~ 주로 강하류에서 많이잡이는 걸루 알고 있습니다~꾸벅~
추천 0

3등! IP : 342cd6a8b981a8f
흔히들 돌붕어는 점박이붕어라고들합니다..

즉 강에사는 돌붕어=점박이붕어=강붕어라고들 하지만 사실은 종류가 다른것들이지요,,

강에사는 돌붕어는 철갑붕어라하여 비늘이 오톨도톨하고 강해서 마치 철갑을두른듯하다하여 이름이 붙여진것이구요,,

점박이붕어는 강이나 민물등에 서식하는 메타고니무스라는 장흡충인 기생충에 감염되어 흑점병을 앓고있는 환자붕어입니다.

흑점병은 어류 피부병에 기생하는 유충의 배설물이 까맣게 나타난것입니다. 주로 다슬기가 많은곳에 이러한 현상이 많구요,,
추천 0

IP : df8540bffa5c4af
돌붕어 요것인 진품이고요 ~~ ㅎㅎ




돌붕어 요것은 명품입니다




돌붕어는 붕어와 같은 종(種),


거친 바닥이 힘센 돌붕어를 만든다

'힘의 대명사'라고도 불리는 돌붕어. 꾼들은 흔히 냇가나 강에서 낚이는 이 돌붕어를 '붕 어 중의 붕어'로 친다. 그도 그럴 것이 강

한 힘과 벗겨도 떼어지지 않는 거친 비늘은 다른 어느 붕어에서는 발견할 수 없기 때문.


날렵한 외모와 '천하장사'에 비유될만한 당길힘, 아울러 험한 돌밭을 헤쳐 나가는 강인한 생명력 때문에, 일단 돌붕어를 낚아본 낚

시꾼은 '과연 그렇구나' 하며 고개를 끄덕이게 되고 돌붕어를 최고 낚시 대상어종으로 여기게 된다.


손아귀에 가득찬 돌붕어를 자세히 살펴보라. 날렵한 용모에 촉감마다 전해오는 까칠한 피 부의 건강미, 꿈틀꿈틀 아직도 다 쓰지

못한 힘 덕분에 잡고 있기가 버거울 정도다. 과연 이 런 붕어가 과연 어디서 나온 것일까?


우리가 돌붕어라고 부르는 것은 두 가지이다. 하나는 비늘이 오돌오돌 거친, 말 그대로 ' 철갑 붕어'로 불리는 것과 또하나는 등지

느러미와 꼬리지느러미에 작은 점들이 박힌 점박이 붕어다. 그러나 꾼들 중엔 강에서 낚이는 강붕어를 무조건 돌붕어라고 부르는

이도 있다.


그렇다면 돌붕어의 정체는 무엇일까? 붕어와는 다른 종일까? 아쉽게도 돌붕어에 대한 자 료는 국내엔 없다. 아니 돌붕어는 우리

고유의 어종인 만큼 세계 어느 곳에도 없을 것이다. 또한 국내 학계에 연구된 바도 없고 제법 두께가 나가는 어류도감에도 '돌붕

어'란 문구는 찾을 수 없다. 학계의 의견과 꾼들의 경험을 바탕으로 돌붕어의 출생 비밀을 하나 하나 풀 어나가도록 하자.



1.돌붕어는 붕어와는 다른 종(種)인가?

돌붕어가 붕어와는 다른 종이 아닐까 하는 의문은 바로 돌붕어의 특이한 생김새 때문에 비롯된 것이다. 오돌오돌 마치 돌기가 돋

아난 것처럼 거친 비늘의 표면은 '어떻게 이렇게 생겼을까?' 하는 신비감마저 불러 일으키게 한다.


또한 체형도 저수지 붕어와는 사뭇 다르다. 외형은 날렵하면서도 길쭉하다. 또한 큰 투구 를 쓴 듯 머리 부위가 크고 돌물성 미끼

를 선호하는 특성상 세파 수도 일반 붕어보다 약간 적고 가늘다. 이런 뚜렷한 외형상 차이를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



돌붕어는 붕어의 변이종

결론적으로 말하자면 돌붕어와 붕어는 같은 종이다. 이에 대해 어류학자들은 '돌붕어는 붕어와는 다른 종이 아니고 환경 적응에의

해 변이된 것'으로 파악한다. 즉 물흐름이 있는 험한 바위 지대·부족한 먹이 환경 속에서 살아남기 위해 튼튼한 피부를 갖추는 등

서식 환 경에 알맞게 적응한 것이다.


강물 속을 헤엄쳐 다닐 돌붕어를 생각해보자. 일반 저수지 붕어처럼 몸이 비대하다면 물 흐름 사이를 비집고 헤엄쳐 다니기엔 여

간 불편하지 않을 것이다. 또한 물흐름을 피해 은신 처를 찾는다 해도 거친 돌바닥 뿐이다. 이에 돌붕어는 서식 환경에 알맞게 몸

이 갸름해지고 거칠고 딱딱한 비늘이 생기는 등 변화 과정을 거친 것이다. 돌붕어 특유의 두터운 주둥이도 결국 흘러가는 벌레 등

을 먹기 편하게 변한 것이다.


그렇다면 또다른 의문점이 생긴다. 과연 이런 돌붕어의 형태가 새끼 때부터 나타는 것일 까? 즉 유전이 되느냐는 의문이다. 이에

대한 흥미로운 관찰 사례가 있다. 청평내수면연구소 이완옥 박사는 가평과 한강에서 낚은 15cm 내외의 돌붕어를 수족관에 넣고

사육 관찰을 한 것이다. 그런데 놀라운 사실은 돌붕어의 거친 비늘이 1년이 지나자 일반 붕어와 똑같아졌다 는 것이다.


그러나 꾼들이 현장에서 경험하는 상황은 이와는 다소 차이가 있다. 같은 강에서도 돌붕 어와 일반 붕어가 너무 뚜렷히 구별되어

공존하기 때문이다. 한 예가 바로 보성강에서는 겨 울에 낚이는 잔씨알도 돌붕어 형태를 그대로 띠고 있으며, 똑같은 포인트라 하

더라도 돌붕 어와 일반 붕어가 섞여서 낚인다는 것이다.


이러한 사례를 경험한 강낚시꾼들은 씨알에 관계없이 돌붕어는 치어 때부터 돌붕어일 것 이라고 단정짓는다. '돌붕어가 붕어의 아

종(亞種)은 아닌가' 하는 형태나 분류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2.점박이 붕어의 정체는 무엇인가?

꾼들 중엔 '돌붕어는 점박이붕어'란 인식도 있다. 그러나 살펴보면 일반 붕어에도 점이 박 혀 있을 때도 많다. 또한 '철갑 붕어'라

고 불리는 돌붕어 중엔 점이 박히지 않은 것도 많다. 점박이 붕어를 돌붕어라고 얘기할 수 있는 것일까? 점박이 붕어의 점은 어떻

게 생겨난 것일 까 ?



메타고니무스(Metagonimus takashii) 병에 걸린 돌붕어




점은 흑점병이 원인

일반 어류들에게 발생한 점을 관찰한 어병학자들은 이러한 점들은 바로 장흡충의 원인균 인 메타고니무스(Metagonimus takashii)

에 의해 나타는 병으로 '흑점병'이라고 한다. 어류의 피부에 기생하는 유충들의 배설물이 곧 점으로 나타난 것이다

또 이러한 배설물들이 한자리에 집중되면 진하게 나타나고 퍼지면 흐릿하게 나타난다고 밝힌 다.


그렇다면 한가지 궁금증이 생긴다. 이러한 흑점병이 하필이면 왜 강붕어에 많을 것일까? 이에 대해 어병학자 박수일 박사는 강에

많은 다슬기를 그 원인으로 든다. 다슬기는 흑점병 을 옮기는 중간 숙주이고 맑은 물이 아니면 살지 않기 때문에 유독 강붕어에 이

런 점들이 많이 나타난다는 것이다.


살펴본 것과 같이 점박이 붕어의 점은 흑점병에 의해 만들어진 것이다. 맑은 물의 계곡지 에서 점박이 붕어가 낚이는 것도 흑점병

의 중간 숙주인 다슬기가 살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꾼의 경험으로는 이해할 수 없는 부분도 있다. 섬진강을 예로 들어보자. 현지꾼 정 병술씨가 관찰한 바에 따르면 '씨알이 2

0cm 이하로 잘 때엔 점들이 나타나다가도 씨알이 굵어지면 없어진다'는 것이다.


분명 흑점병과는 상관 없는 점일 수 있지 않을까? 학계에서는 이점에 대해 어병이 아닌 환경 적응의 생리적인 현상일 수 있음을

부인하지 않는다. 그러나 분명한 사실은 사철 점이 나 있는 것은 어병일 확률이 높다는 것이다. 따라서 점박이 붕어는 날로 먹는

것보다는 끓 여 먹는 것이 좋다. 배앓이를 할 염려가 있기 때문이다.


3.어떻게 하면 돌붕어가 되는가?

꾼들이 가장 해답을 듣고 싶어 하는 궁금증일 것이다. 과연 어떻게 하면 돌붕어가 되는 것일까? 일단 이 과정이 학계의 실험에 의

해 보고된 사례는 없다. 그러나 실험이 아니더라 도 꾼들에게 그에 못지 않은 경험과 관찰 사례가 있다. 이를 토대로 사실을 하나

하나 추측 해 나가는 과정을 거쳐보자.


험한 바닥지형이 돌붕어 만들어 여름에서 겨울로 접어드는 시기의 관찰 사례다. 큰비가 내려 강물에 저수지의 물이 많이 유입되었

다. 평소 돌붕어만 낚였던 곳이었지만 노란색을 띤 붕어가 자주 섞여 낚였다. 저수 지의 붕어가 유입된 것이다. 그러나 3∼4개월

이 지나자 돌붕어가 낚이는 비율이 눈에 띄게 늘어났다. 이는 무엇을 뜻하는 것일까? 결국 저수지 붕어가 돌붕어가 된 것은 아닐

까?


또 한가지의 사례를 살펴보자

강에서 잘 낚이는 돌붕어지만 전곡호나 충주호 상류처럼 저수지에서 낚이는 경우도 많다. 흥미로운 사실은 저수지·강 모두 돌붕

어가 낚이는 곳이 험한 바위지대라는 것이다. 그 반대의 경우도 있다. 섬진강엔 유난히 돌붕어가 많다. 그러나 수초대가 발달한 곳

에서 낚시를 하면 저수지 붕어와 똑같은 체형이나 색깔의 붕어가 낚이는 것이다.



결국 위와 같은 사례를 살펴보면 강·저수지 등 돌붕어가 낚인 장소는 서로 비슷하다는 것을 알 수 있고 대개 험한 돌바닥임이 드났

다. 일반 붕어도 험한 지형에서 서식한다면 돌붕어로 변하는 것이 아닐까?






<돌붕어는 난쟁이 붕어?>

돌붕어의 씨알은 유난히 잘다. 저수지의 6∼7치 씨알은 강에서의 4∼5치급 씨알과 나이가 엇비슷하다. 또한 돌붕어 월척은 저수

지의 4짜와 비유될 정도로 귀하다. 왜 이렇게 씨알이 잔 것일까?

이는 돌붕어의 열악한 서식 환경 때문이다. 강은 항상 물흐름이 있어 수온이 낮고 저수지 에 비해 먹이가 많지 않다. 따라서 영양

상태가 좋지 않아 성장 속도는 저수지 붕어보다 둔 한 것이다. 따라서 돌붕어와 저수지 붕어의 비늘을 두고 나이테를 비교해 보면

같은 씨알이 라 하더라도 돌붕어가 훨씬 연배(?)임을 알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비록 씨알이 잘더라도 그 힘에 있어서는 여느 붕어보다 낫다. 꾼들로부터 사랑 받 는 이유도 바로 이때문이다
추천 10

IP : e2f93e13a032f3d
모해님의 설명 많이 배웁니다.
마지막 사진이 제가 알고 있는 돌붕어 입니다.
강붕어라고 돌붕어가 아니고 4대강처럼 큰 강에서는 점박이 돌붕어를 잡은 경우가 없었고,
주로 큰강의 지류인 샛강으로 바위나 돌 자갈이 많고 유속이 비교적 빠른 곳의 강에서
서식하는 걸로 압니다.
몸채 비늘에 흑비늘이 군데 군데 있고, 배지느러미 끝이 검은색 이었습니다.
성장 속도도 가장 느린걸로 압니다.
추천 0

IP : 092d09f2310c450
돌붕어는 물이 맑은 강계에서 주로 서식하고요
수초지대가 적은곳에서 많이 볼 수 있습니다
눈에 띄지 않도록 하기 위함인것도 같습니다(보호색 처럼)
추천 0

IP : 5f48f430f852775
글이 참... 오해의 소지가 많아 보입니다


모해님이 올려주신 글에 의하면 결론은 토종붕어=돌붕어란 말인데..

글만으로는 돌붕어는 환경에 의해 생기는 차이이지 따로 종이 있는 것은 아니라고 결론은 명시해놓았네요.


그런데 글 자체를 돌붕어와 붕어는 다른종이라고 베이스로 깔아놓고도 그 증거들은 하나같이 불충분하게 올려놓았습니다.

환경적 변화라고 시인도 하고

잡아서 길렀는데 무늬가 없어지고... 다른 붕어와 같이 잡히고.. 이러함에도 돌붕어는 있다는 식을 글이라 안타깝습니다.

누가 쓴 글인지 참... 저도 돌붕어가 따로 있었으면 좋겠습니다만...

돌붕어를 찾을게 아니라 토종붕어와 돌붕어를 비교하고 환경에 의한 변이를 강조해야하는데.. 멋진 돌붕어 사진만 올려놓고

충 감염된 못생긴 붕어와 비교되게 해놓은 것은 관심이나 끌려는 가십거리로 쓴 글로 밖에 보이지 않네요.

윗글이 사실이라면 엄연히 돌붕어란 말은 없어져야 하지 않겠습니까?


혹시 모해님이 직접 쓰셧다면 죄송합니다.
추천 0

IP : 925f88bea3dded0
진풍 명품 출범이군요

깜순이 잘보고갑니다

모해님 좋은글 잘보았읍니다

희귀종 이군요
추천 0

IP : 382acb623740094
저도 궁금하던차에 모해님이 아주 상세하게 답을주셨네요
조은 정보 잘보고 갑니다
글쿠 추천도 한방 ^^
추천 1

IP : 7516402579f3347
모해님은 전문가 십니다. 그리고,
모해님의 견해에 이견을 단 외대님도 날카로운 지적이시고요.
월척지엔 '꾼'이 참 많다고 생각 햇습니다. 좋은 글 잘 읽었습니다.
추천 0

IP : 7d12d13ab926add
모해님 좋은 정보 감사드립니다. 저 또한 돌붕어와 ,점박이붕어는 다르다고 생각 하였으나, 그에 맞는 지식이 없어 많은 질문을 보고도 고개만 갸우뚱 했는데.......개체수가 감소하는 1급수에서 서식하는 돌붕어의 생태연구와 정의가 빨리 정리되길 기대합니다.
추천 0

IP : dcad9b0c80a6e9e
오~ 저번에 걸렸던 녀석이 돌붕어 였군요. 어쩐지 10cm 조금 넘는 녀석이 3.2칸 낚시대를 끌고 들어가더니...
추천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