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른바다님 스위벨이 바닥에서 뜬다면 당연히 그건 내림이 되고요, 입질이 약은 양어장에서 내림으로 도전하시면 입질을 정확히 볼 수 있을 것 같지만 그렇지가 못합니다. 바닥에 봉돌이 닿은상태로 목줄을 짧게 가져가는 것이 더 유리합니다. 왜냐면 밥을 크게 달기 때문에 예민한 바닥채비가 입질 감지에 있어서는 최고입니다. 스위벨 채비를 하더라도 스위벨 아래쪽의 목줄은 3센티정도로 짧게 쓰심이 당연히 유리합니다. 그림으로 설명드리면 편할 것 걑은데 여의치 않아서 곤란하군요. 쌍바늘 채비시 내림을 구사하여 밥을 크게 달면 한쪽 바늘의 밥이 닻 역할을 하여 목줄길이의 두배만큼의 입질이 있어야 찌로 읽혀지니까요, 나머지는 주변 고수님들에게 패스하겠습니다.
바닥 채비로서 극한의 예민함.... 어떨땐.. 내림보다 월등할 수도 있읍니다.
결코 뒤지지 않는다고 확신합니다.
그래서 저도 체비를 할려고 하는데 최대한 간결하고 가볍게 할려고 합니다
아마 제 생각에 그분 채비는 스위벨 채비가 맞는거 같구요. 단지 스위벨에서 튜브나 찌스톱퍼를 삽입하여서
양쪽으로 벌려주는 채비가 아닌지 생각 됩니다. 하우스에서 좁쌀채비보다는 편대나 얼레벌레가 잘먹더군요.
그분이 스위벨 체비를 이용하여 얼레벌레(긴 목줄)와 편대(양쪽으로 펴지도록 => 엉키지 않도록)를 같이 응용한 것 같습니다.
저도 하우스에서 좁쌀채비와 얼레벌레를 하였는데요 중국붕어라서 그런지 올림은 거의 못보고 내림처럼 빠는 입질만
거의 나오더군요. 올림은 좀 묵은 고기?(넣은지 오랜시간이 지난) 는 잘 올리더군요. 하지만 들어간지 얼마
안된 중국붕어들은 거의 올리는 현상이 없이 빠는 입질만 나오더군요.
윗분들 말씀처럼 바닥도 아주 예민하게 맞추고 줄만 팽팽하게 해주시면 거의 내림처럼 잘 잡으실 수 있을거라 생각합니다.
저 같은 경우는 결국 바닥 포기하고 내림으로 전향을 했지만...
같은 하우스에서 바닥 예민하게 해도 조과는 15마리 정도였고 내림으로는 40마리가 넘게 나오더군요.
짐챙기고 나오는길에 잠깐서서 멍하니~~~ㅋㅋㅋ
그분께 정중히 물어 보는게 확실한 답일거 같네요
제가 보기엔 예민한 스웨벨채비 같은데 거기에
약간 응용한거 같습니다
반대쪽은 내림낚시 그리고 제가 있는곳은 바닥낚시...조황은 물론 내림낚시가 월등히 좋았지만
올리는 찌의 모습을 원없이 보고 왔습니다. 찌가 내려가는 것은 바다낚시에서 너무 많이 봐와서~ㅎㅎ
미끼는 지렁이로~ㅎㅎ
찌.원줄.목줄.기타등등
부러워하시지 마시고 현재의 채비에서 응용하시면 충분할것 같아요.
자신의것을 만드는 것이 중요하리라 합니다.
어복 많이 있으시길 바랍니다.
아니면 바늘만 살짝 닿아 목줄이 떠있는건가요??? 어떤 형태가 맞는건지 궁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