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곳을 정출로 많이 가본곳입니다. 둠벙이나 수로의 경우 마사토 보다는 뻘밭이 많고요 ,,특히 지령이 오래되고 연안은 앝은데 반해 조금 멀리 던지면 급심지를 이루는 이런곳은 뻘밭인 경우가 많습니다.
그런관계로 마름이 대부분을 이루고 정수수초대는 분포가 적습니다.
바닥에 청태가 끼어 있을 확률도 많겠군요,,
일단 붕어낚시에서 청태는 상당히 조과를 좌우한다고 합니다. 물론 청태낀 바닥에서도 해결책은 있습니다,. 청태낀 바닥은 원래 붕어가 잘 접근을 하지 않지만 저수지 전체가 고기는 있는데 바닥이 그렇다면 일단 미끼로 보리밥을 적극 추천해 드립니다, 시인성이 좋아 미끼로서 역활을 충분히 하더라고요,,하지만 이렇게 뻘층이 두터울 경우 지렁이나 새우를 쓰면 미끼는 파뭍피는것을 방지할 수가 있어 미끼로서의 입질을 충분히 받을수 있습니다. 뻘에서 옥수수나 콩 이런것을 썼는데도 입질이 전혀 없다면 대분분 미끼 함몰에 그 이유를 두어야 할것입니다., 입질이 없는것이 아니라 붕어가 미끼를 발견하지 못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낚시터에 앉아서 긴 낚시대를 투척후 연안으로 슬슬 땡겨보시기 바랍니다. 이때 바늘을 편납이 있는 고리에 걸어두시고
하시면 밑걸림을 파악하기 쉽고여 특히 뻘인지 마사토인지 그리고 청태의 유무를 가장 확실히 알수 있습니다.
뻘층에서는 가능하면 붕어낚시 조과가 떨어집니다. 특히 같은 저수지중 마사토가 있는 지형을 찾아 낚시를 해보시길 바랍니다.
그런곳이 붕어가 즐겨 사냥하는 새우가 서식하기 좋은 환경입니다, 뻘층에서 새우가 회유하면서 서식하는것을 아직 보지 못했습니다,
종합하면 뻘층에선 식물성보다 미끼함몰이 적은 동물성을.,.그리고 가능하면 청태가 있다면 미련없이 떠나고 가능하면 마사토나
바닥상황이 좋은 곳이 대물붕어 입질을 유도할 확률이 높다는 것을 기억하시면 조과에 도움이 될까합니다
봉돌이 물에 뜨고 바늘만 살짝 바닥에 닺죠.....
잔챙이의 깔짝대는 입질때문에 피곤할수 있겠지만
캐미를 물속 2센티 정도 잠구어 두면 편안한 낚시를 할수 있습니다.
작은 평지형 소류지이고 수초가 발달할수록 좋은 효과를 봅니다.
맹탕에 계곡형일경우에 이러한 채비를 하면 대류현상으로 인하여 조금씩 채비가 떠내려가서 처음 포인트를 벗어나죠..
하지만 수초많은 평지형 소류지는 대류현상도 거의 적고 또 수초가 물의 흐름을 방해 하므로..
좋은 조과를 보실수 있습니다.
그런관계로 마름이 대부분을 이루고 정수수초대는 분포가 적습니다.
바닥에 청태가 끼어 있을 확률도 많겠군요,,
일단 붕어낚시에서 청태는 상당히 조과를 좌우한다고 합니다. 물론 청태낀 바닥에서도 해결책은 있습니다,. 청태낀 바닥은 원래 붕어가 잘 접근을 하지 않지만 저수지 전체가 고기는 있는데 바닥이 그렇다면 일단 미끼로 보리밥을 적극 추천해 드립니다, 시인성이 좋아 미끼로서 역활을 충분히 하더라고요,,하지만 이렇게 뻘층이 두터울 경우 지렁이나 새우를 쓰면 미끼는 파뭍피는것을 방지할 수가 있어 미끼로서의 입질을 충분히 받을수 있습니다. 뻘에서 옥수수나 콩 이런것을 썼는데도 입질이 전혀 없다면 대분분 미끼 함몰에 그 이유를 두어야 할것입니다., 입질이 없는것이 아니라 붕어가 미끼를 발견하지 못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낚시터에 앉아서 긴 낚시대를 투척후 연안으로 슬슬 땡겨보시기 바랍니다. 이때 바늘을 편납이 있는 고리에 걸어두시고
하시면 밑걸림을 파악하기 쉽고여 특히 뻘인지 마사토인지 그리고 청태의 유무를 가장 확실히 알수 있습니다.
뻘층에서는 가능하면 붕어낚시 조과가 떨어집니다. 특히 같은 저수지중 마사토가 있는 지형을 찾아 낚시를 해보시길 바랍니다.
그런곳이 붕어가 즐겨 사냥하는 새우가 서식하기 좋은 환경입니다, 뻘층에서 새우가 회유하면서 서식하는것을 아직 보지 못했습니다,
종합하면 뻘층에선 식물성보다 미끼함몰이 적은 동물성을.,.그리고 가능하면 청태가 있다면 미련없이 떠나고 가능하면 마사토나
바닥상황이 좋은 곳이 대물붕어 입질을 유도할 확률이 높다는 것을 기억하시면 조과에 도움이 될까합니다
봉돌이 물에 뜨고 바늘만 살짝 바닥에 닺죠.....
잔챙이의 깔짝대는 입질때문에 피곤할수 있겠지만
캐미를 물속 2센티 정도 잠구어 두면 편안한 낚시를 할수 있습니다.
작은 평지형 소류지이고 수초가 발달할수록 좋은 효과를 봅니다.
맹탕에 계곡형일경우에 이러한 채비를 하면 대류현상으로 인하여 조금씩 채비가 떠내려가서 처음 포인트를 벗어나죠..
하지만 수초많은 평지형 소류지는 대류현상도 거의 적고 또 수초가 물의 흐름을 방해 하므로..
좋은 조과를 보실수 있습니다.
대물낚시라고 무조건 무거운채비??가 정답이 아닐때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