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물낚시

· 생미끼 붕어 대물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질문/답변] 짧은대와 장대

IP : 33a372c4ab862c2 날짜 : 조회 : 3316 본문+댓글추천 : 0

짧은대(1.6~3.0)와 장대(3.0~4.4) 사용 문의드려요 주로 수초(부들, 마름 등)가 많은 소류지 낚시를 가는 편인데 수초때문에 주로 짧은대를 사용합니다. 낚시 초보라 장대의 경우 던질때마다 자리를 잘 찾지 못하고 특히 밤낚시할때 더 힘이 듭니다. 여기서 질문 짧은대는 장대에 비해 월척급 붕어의 입질을 받기 힘들다던데 어느정도 칸수까지 편성을 해야 월척급 이상 입질을 잘 받을 수 있을까요? 대편성은 8대 정도하고 있으며 1.6 ~ 2.8까지 8대 4.0 4.2 4.4대 가지고 있습니다. 중간대 3.0~4.0대가 없네요.

1등! IP : e740e06b21d7716
짧은대가 긴대보다 불리하단건 이상한 견해 같습니다.
대물이 결국 연안으로 오지 않는다는 이야기와 동일한 견해이지 않습니까?
대물들이 주,야 연안에 붙어 활동도 잘 합니다.
그래서 얕은수심대에서도 대물들을 잘들 잡으시지요.
저 또한 일년내내 언제나 기본으로 2칸대를 두대정도는 항시 투척 합니다.
그리고 나머지25-28 긴대가 겨우 3.6대 이하로 사용중이고요.
이리하여도 년 평균 월척이상급 40수 이상은 보게됩니다.
추천 0

2등! IP : c8946eff2e859fc
20대~40대까지 계곡지에서 각각 1미터에서 3미터되는 수심에 대편성했는데
밤새지 입질한번 없다가 새벽5시에 오른쪽 36대로 연안에 붙여놓은 수심 60cm에서 옥수수 3알먹고 35센티급 월척 나왔습니다^^
요즘 낚시대나 채비에 신경들 많이 쓰시는데 붕어가 다니는 포인트를 보는 안목을 키워야 큰붕어 만납니다...
추천 0

3등! IP : 0a27f9b79cfa3dd
저수지마다 다니는 길이 있겠지만요~ 보편적으로 연안쪽에서 큰놈이 나옵니다..긴대쪽에 수초형성이 좋다면 그쪽에서도 큰놈이 나오지만요

긴대를 선호하는 편입니다..

물색만 받쳐주면 짧은대로 연안붙이기도하고 긴대로 붙이기도합니당

포인트선정과 대편성을 어떻게 하는지가 중요할듯하네요~ 마구잡이로 피는것보다 생각해보시고피세요 전체적으로 수초형성이 좋은곳이라면 30-40사이칸수도 좋지만요 짧은칸수가 많으시니 물색을 아주 중요하게 생각하시고 발앞에 수초가있는곳 발앞수심이60-1.5미터사이 긴대쪽도2미터 내외에 편성하세요.

연인쪽으로만 수초가 있는곳에 물색 안좋을때 들어가보세요 ㅎ
저는 육식어종등 모든어종이 사냥을 할것 같은 곳에 대를 새웁니다.
네칸, 24,26칸,18칸에서 먼저 입질을받고 끊긴후에 네칸대에 입질이 오고요

좌측으로 짧은거3대 우측 3대
추천 0

IP : 23a532f7b5c03c6
중간대가 좀 아쉽긴 하네요~긴대는 그래도 갓낚시 형식으로든 활용 할수 있는데 짧은대는 투척의 제한이 확실히 있잖아요.
저라면 아주 짧은쪽 1.6에서 2.4이하칸~4.2칸 정도 처분하시고 30~~34대 정도로 맞춰 보심은 어떨까~생각드네요...월척하십쇼!!!
추천 0

IP : 5c791811d23668f
붕어는 짧은대 긴대 구분못합니다^^
단지 낚시대칸수가 다양하다면 포인트 선정시
유리하겠지요..짧은대일수록 마니 정숙을 요해야 입질확률 높더군요..전빵깔고
48자리에 기가막힌 포인트가 보이는데 40대밖에 없으면 담에 다시금 왔을땐 아마도 가방안에는 48대가 자리잡고 있을겁니다..그게 낚시꾼이지요^^
추천 0

IP : 2ae4a656f99938d
한 때는 짧은대만 사용하다가 요즘 장대에 미쳐 사는 1인입니다.

근데 다시 짧은대로 가려고 합니다.

이유는 없습니다.

짧은대는 정확한 투척률과 긴대는 남름 머랄까??

하여튼 배스터인 경우엔 주로 긴대 사용 중이지만,

때론 짧은대도 사용하는 편입니다.

그리고,생미끼 낚시를 할 때는 주로 짧은대를 사용하지만,

계곡지에선 주로 긴대만 사용하는 편입니다.

상황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머라 말씀 드릴 수가 없네요!!
추천 0

IP : 468463fb3788efc
짧은대 긴대 차이점은 출조하시는 지역 현장 여건에 따라 달라지니 짧은대가 좋다...긴대가 좋다 말할수는 없는점이네요.
많은 낚시인들이 낚시대 20~30대이상씩 가지고 다니는 이유가 여기에 있습니다. 현장상황을 보고 현장에 맞는 칸수의 낚시대가 필요하기에 많은 낚시대를 가지고 다니는것입니다.
또한 밤낚시시 어려움이 있으시다고 하셨는데 연습조금만 하시면 수월하게 하실것입니다. 연습이 필요합니다. ㅎㅎ
그리고 최초 대편성시 투척포인트에 맞는 낚시대 칸수를 설정하신후 받침대와 뒷꽃이 방향을 투척방향과 일직선으로 미리 맞추어두신후
투척시 받침대방향을 본후 그방향으로 투척연습을 몇번 해보시면 밤낚시중에도 수월하게 투척을 하실수있을실겁니다.
최초 대편성시 오래걸리시더라도 천천히 투척포인트에 알맞는 칸수에 낚시대 편성을 하시면 밤낚시가 편해집니다. ㅎㅎ
또한 시중에 수초제거기나 기타 수초제거하는제품들이 많이 있습니다. 본인에 맞는 제품하나정도 구입하여, 대편성전에 수초작업을 미리 하시고 낚시를 하신다면 더욱더 편한 낚시가 될듯합니다.
한가지 예를들면 현장투척포인트는 3칸낚시대 포인트인데 3.5칸이나 4칸대로 투척을 하시면 낮낚시에는 가능하겠지요. 투척시 봉돌날아가는걸보고 힘조절을 해서 원하는 포인트에 투척을 하면되니깐요. 하지만 밤낚시라면 이야기가 틀려집니다. 원하는 포인트에 투척하기가 무지힘들어 집니다. 잦은 투척으로 인하여 물고기를 쫒아버려 일이 생겨버립니다. ㅎㅎ
추천 1

IP : 468463fb3788efc
아참 그리고 4.4칸도 연습조금만 하시면 앞치기방법으로 수월하게 낚시가 가능합니다.
또한 긴대 앞치기 투척이 힘드시면 원줄을 줄여보세요. 원줄이 길면 손해지만 짧아서 손해볼것은 없습니다.
또한가지 낚시대 이게 가장중요합니다. 너무싼 낚시대를 사용하시면 앞치기도 힘들고 무게도 너무 나가서 힘이 듭니다.
잘알아보시고 본인에게 맞는 알맞는 낚시대를 구입하시는게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1. 본인에게 맞는 낚시대.
2. 본인에게 맞는 원줄길이 설정.
3. 기본적인 앞치기및 투척연습. 등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나머진 자연스레 출조를 다니시다보면 실력은 느실것이라고 생각합니다. ㅎ
추천 0

IP : e570377a9042581
긴 대를 가급적 피하는 1인입니다.
그 이유는
1. 무겁다.
2. 컨트롤이 어렵다.
3. 펴고 접는데 시간이 더 걸린다.
4. 가장 결정적인 것 - 비싸다
(길이가 길수록 저가 낚시대의 단점이 많다보니 이중 부담)
추천 0

IP : 728fe2ec1ab0977
조용히 낚시 하신다면
대물이 연안으로 붙을 확율이 높아집니다
짧은대에서도 나온다는 이야기이죠
추천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