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물낚시

· 생미끼 붕어 대물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질문/답변] 찌맞춤 0.4g 입질 차이가 클까요?

IP : 6eec579c1e0db10 날짜 : 조회 : 879 본문+댓글추천 : 8

5g 찌로 교체하려고

4.3g 봉돌을 다량으로 구입하여

수조찌맞춤 해보니 풍덩채비가 되네요

 

저울로 재보니 봉돌 무게는 4.7g

원줄 없이 찌고무만 끼워 담갔습니다.

 

봉돌 4.25g에 찌탑 두마디 노출되네요

원하는 찌맞춤인데

일일이 봉돌 깎는것이 귀찮은데

초봄,늦가을 예민한 입질 파악 어렵겠죠?


1등! IP : cd0b5e3aa481178
혹시,
노지낚시(땟장, 연밭, 갈대, 부들 같은 수초낚시, 저수심대 포인트) 유저세요?

가벼운 찌맞춤을 추구하고 계시는 듯 한데.
위에 제가 언급한 유형의 포인트에서는 봉돌이 수중에 떠올라 버려서,
고기가 입질을 해도, 찌는 움찔거리기만 할 뿐 요지부동으로 입질 표현을 안해 줄 수 있습니다.
(목줄이 길면 길수록 찌가 수면 위로 솟아오를 확률이 줄어 들죠.
왜냐하면, 수중에 떠있는 봉돌이 떠오르게 되면 목줄이 수직으로 서서,
목줄 길이 만큼 봉돌이 떠오르기 쉽고,
고기가 그 봉돌보다는 더 위로 올라와 줘야 찌가 솟을 수 있는 상황이 되는 것이죠.)


섬세한 입질 표현은
채비가 일단은 정확히 구사된 이후에 가능한 것입니다만.
그냥 가벼운 찌맞춤만을 지향해서,
머릿속으로는 당연히 `봉돌이 바닥을 짚고 있겠지?` 생각하고 낚시를 하는데.
실제로는 (채비구사의 착오로)봉돌이 떠오른 상태에서 낚시중이었다면, 잔고기들이 와서 미끼를 싹 다 털어먹고 가도.
붕어가 와서 미끼를 마음껏 씹어먹고 있어도 찌는 움질거리고만 있을 수 있습니다.
0.01g까지 계산하면서, 극한의 0점채비를 구현하려 애쓰는 유저분들도 많습니다만.
자칫 계산되지 않은, 생각지도 않았던 이유로 채비가 0.0000001g만 가벼워도 봉돌은 떠 오를 수 있습니다.
수조통 찌맞춤이 특히 그러한 단점을 많이 가지고 있죠.
(원줄 무게가 감안이 안될 뿐더러, 원줄이 수조통 상단에 걸쳐져서 채비의 오르 내림을 방해하기 때문에
0.1g이상은 무겁게도, 가볍게도 찌맞춤이 되는 게 일반적입니다.)

어릴 때 땅바닥에 선을 그어 놓고, 선에 가장 가깝게 동전을 던지면 승자가 되고, 선을 넘어가면 낙이 되서 탈락이 되는 놀이를 한번 쯤을 해보셨을까요?
낚시에서 채비가 딱 그런 식입니다.
섬세하고, 가벼움을 지나치게 지향하다가 선을 넘어서 자기도 모르게 이상한 낚시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섬세한 입질을 받고 싶어서 가벼움을 추구 했으나, 오히려 봉돌이 떠올라 버려서
풍덩채비보다도 입질표현을 제대로 못해주는 채비로 만들 수도 있다는 이야기입니다.
이게 위에서 말한 '낙'을 만드는 '자승자박'을 하는 셈이죠.

(땟장, 연밭, 갈대, 부들 같은 수초낚시, 저수심대 포인트) 유저이시면,
현장맞춤으로 야간캐미 끼우고 수면 0점 맞춤 정도는 하셔야,
제 아무리 찌든 수초밭이나 극저수심대에서 낚시를 하셔도, 현장 상황 때문에 원줄무게 때문에 생기는 오차값을 야간캐미의 무게값(부력값)이 웬만하면 커버 해주기 때문에 봉돌이 수중에서 떠오르지 않습니다.
(단, 5칸 이상의 긴 장대나 카본 4호 원줄 이상으로 세팅하는 경우는 더 무겁게 가야 합니다.)

투박하게 대충 무겁게 낚시 하려는 생각이라면,
대충 수조통(수조통의 단점등을 전부 감안하는 상태)에서 맞춰서
그대로 현장에서 낚시하는 것이 됩니다만.

0.1g대나 그 이하의 정교함, 예민함? 등을 추구한다면
무조건 원줄무게가 전부 포함되는 현장찌맞춤으로 맞춤 하시는 게 좋습니다.
추천 0

2등! IP : 708d38b28d747a2
적절한 비유일지는 몰라도.
바늘이 붕어의 입으로 빨려들어가는 그 순간에 챔질을
가져가기는 거의 불가능하다고 보아야 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더욱 더 세밀한 찌맞춤을 하려고 하는
풍조가 유행하고 있네요.
찌는 침력과 부력의 밸런스가 깨지면 위로 오릅니다.
이 지점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이 더 이상 내려가지 못하는
상태 즉 봉돌이 바닥에 닿은 상태를 확보해야 한다는 점입니다.(바닥낚시의 경우)
물론 봉돌이 드러눕거나 빨에 파묻힐 정도를 말하는 것은
아닙니다.
가능한 최대한 부드럽게 바닥에 닿도록 하는 것이 좋겠지만 포인트 여건 특히 바닥상황에 따라 조금씩 다릅니다.
그러나 그렇다 하더라도 봉돌이 바닥에 닿아야만 우리가
원하는 찌오름 동작을 얻을 수있습니다.
따라서 부력에 비해 침력이 마세하게라도 커야만 합니다.
그 차이가 알마의 수치인가는 정확하게 계량해서 수치로
제시 할 수는 없습니다.
찌의 재질.형태.포인트 수온(밀도).바람.대류.지형적물흐름 등 너무나 다양한 변수들이 상존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수조에서 근사치로 찌맞춤을 해서 현장에 따라
다시 조정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저의 경우는 기본적으로 현장에서 수심을 확인하고 해당 포인트에 채비를 던져서 찌가 내려가는 속도로 판단해서 찌맞춤을 합니다.(50센티 이하 극 저수심 제외)
너무 빠르지 않게.즉 우리가 멋지다고 생각하는 찌오름 속도로 찌가 내려가면 적당하다고 판단해서 낚시합니다.
찌맞춤은 중요하지만 최우선으로 중요한 요소는 아닙니다.찌맞춤에 과몰입하면 낚시가 피곤해집니다.^^
추천 1

IP : 6eec579c1e0db10
무거운 찌맞춤 또는 표준 찌맞춤
으로 사용했는데
7-8년 전부터 조과가 좋지 않아
가벼운 찌맞춤으로 변화를 주려합니다.

대물낚시도
저부력 찌에 가벼운 찌맞춤이
요즘 트렌드 같아서요

고기를 못잡으니
찌맞춤에 불신이 생겨 복잡하네요
추천 0

IP : 6eec579c1e0db10
수조통에서 두마디 노출 찌맞춤하면
현장에서 원줄 무게가 더해져
표준찌맞춤 정도 되지 않을까 해서요
현장찌맞춤 없이 바로 낚시합니다

1-2미터권을 선호하며
3미터권 이상은 잘안합니다
수초가 있다면 옆에 붙이고요

일반찌 사용할때는 안하던 고민을
전자찌로 바꾸고 많이 하게 되네요
추천 0

IP : cd0b5e3aa481178
@게으른낚시님께
말씀하신
"수조통에서 두마디 노출 찌맞춤하면
현장에서 원줄 무게가 더해져
표준찌맞춤 정도 되지 않을까" 라는 게

다 똑같은 칸수의 낚시대로만 낚시하거나 32칸 쌍포만 사용하면 얼마나 편하고 머리 아프지 않을까요..
하지만, 낚시대 칸수별로 원줄의 길이가 각기 다르고, 당연히 무게도 각각 다르기 때문에

32칸 쌍포나 그 근처 칸수만 쓰는 유저들의 말...
(수조통에서 찌 어디에 맞추고, (맹탕)현장에 나가서 던지면 대충 찌고무 상단이나 캐미꽂이 하단에 맞더라 등등의 말)에
그대로 따라서 한다면,

그러나, 그말은 32칸 쌍포 이야기 일 뿐이고.
20칸이 다르고, 48칸은 다르며, 60칸은 완전히 다릅니다.
특히, 카본원줄을 쓰는 경우에는 더욱 더 그 격차가 커진답니다.
더 추가하자면,
가벼운 분할봉돌이라도 쓰는 경우에는 장대의 경우에는 장대가 가진 원줄무게가 분할봉돌의 무게를 완전히 초과해버려서
본봉돌이 바닥에 내려 앉아 버리는 경우도 흔합니다.
(분할을 했는 데. 분할봉돌은 물론이요 본봉돌 까지도 바닥에 내려앉아 버린 상태에서 낚시를 한다면, 섬세한 입질을 받아낼 수 있을까요?)

노지 바닥낚시의 교과서 같은
("목줄 빼고, 야간캐미 상단에 수면0점 맞춰서 낚시해라!")라는 무난한 찌맞춤을 벗어나
섬세함과 예민함을 추구할수록 공부하고, (정확히) 감안해야 될 것이 많아지기 때문에,
더 부지런해져서 심오한 공부를 우선으로 하고, 낚시대 한대한대 일일이 현장 찌맞춤으로 최대한 정교하게 찌맞춤을 해야 하죠.

계산에 매우 능통하고, 노련한 낚시인 조차도, 캐미꽂이 상단이나 캐미꽂이 하단 혹은 찌톱의 1~2마디에 0점을 맞춘 낚시를 하더라도
맹탕이나 완전히 수면을 뒤덮은 땟장포인트에서야 계산이 딱 나오니 그냥 (그에 맞는 봉돌무게 가감값을 정확히?(계산이 나오니까) 봉돌의 추가해서) 낚시를 하지만,

그림 같은 포인트(연밭, 땟장, 부들 등이 수면 곳곳에 듬성 듬성 있고, 고사목이나 바위도 있는 수심이 들쑥날쑥 50~60~1m권 이내의 그림 같은....)
에서는 정확한 계산이 사실상 불가능 하기 때문에, 아예 충분한 무게값인 0.2~0.3g내외의 와셔를 봉돌에 추가해서 '장애물 때문에 생기는 가벼움'을 충분히 커버해주고 낚시하는 것이 보편적입니다. 그렇지 않으면, 봉돌은 수중에 떠 있고 목줄은 수직으로 서있고, 바늘만 (미끼무게에 의지해서) 바닥을 짚은 채로 낚시하게 될 공산이 매우 크기 때문이죠.

이런 상황이면,
붕어가 상당히 소심하게 입질을 하게 되면, (붕어는 10분~20분 동안 계속 미끼를 먹고 있었는 데.) 10~20분동안 찌는 솟아오를 줄을 모르고 꿈틀거리고만 있을 수도 있습니다. 기다리다 못해 낚시대를 들어보면 생각지도 않은 큰 붕어가 걸려 있기도 하고, 잔뜩 씹어 투명한 껍질만 바늘에 끼워져 있는 옥수수알만 볼 수도 있습니다. 만약, 나왔다하면 4짜중반 ~ 5짜가 나오는 포인트에서 이런 낚시를 했다면 얼마나 아깝고도 아까운 입질일까요.

그러한 상황을 인지하지 못하면, 낚시 후 낚시를 복기 할 때
"붕어가 어찌나 예민하던지 본신은 아예 주지 않고, 꿈틀거리는 정도만 허더라"
"이보다 더 섬세한, 예민한?채비는 없을까?"
하며, 더욱 더 미궁으로 빠지는 낚시로 진행되기 쉽다는 것이죠.

심오한 경지에 다다른 낚시인들은 찌맞춤 관련해서 타인들에게 묻는 사람들 거의 없죠.

보통 낚시인들이 찌맞춤에 대해 물어오면, 가장 무난한 찌맞춤법인
("목줄 빼고, 야간캐미 상단에 수면0점 맞춰서 낚시해라!")라는 것을 권장해 주는 이유가 있는 겁니다.

물론,
이 찌맞춤도, 카본 4-5호줄에 50칸 60칸 70칸을 넘어가게 되면 저 것 보다도 더 무겁게 해줘야
그림같은 포인트?에서 봉돌무게 가감없이 그냥 낚시를 해도 봉돌이; 수중으로 떠오르지 않게 되죠.
하지만, 대부분의 바닥 낚시 스타일에서는 무난히 적용될 수 있기 때문에
이것저것 추가로 설명 할 필요없이 그냥
("목줄 빼고, 야간캐미 상단에 수면0점 맞춰서 낚시해라!")라는 것을 권장해 주는 하는 것이죠.
추천 2

IP : cd0b5e3aa481178


가지고 있는 자료 중에 하나만 올려 드렸는데요.

윗 그림은 찌세울 자리까지 수면위로 올라온 연줄기와 연잎을 수초제거기로 잘라내고, 연줄기가 서있는 구멍에 찌를 세운 것인데요.
수중에 서 있는 연줄기들이 원줄의 안착을 방해하기 때문에 찌맞춤값이 가벼워져서 본봉돌이 떠오른 채로 낚시하게 되는 그림의 예시 입니다.

이런 상황은 줄풀밭, 부들밭 등의 수면 위에 노출된 윗대가리만 날린 수초포인트도 마찬가지이며,
맹탕일지라도 수중에 말즘, 말풀 같은 수중 수초들 군락이 물밖에서 육안으로 보일 정도로 듬성듬성 자라있는 포인트도 마찬가지이죠.

위와 마찬가지로, 수심이 사용하는 찌길이와 가깝거나 그보다도 얕게 되면, 무게에 관여해야 할 원줄이 수중 바닥에 내려앉아 버리는 상황이 되기 때문에 채비가 가벼워져서 봉돌이 떠오르기 쉽고,
"저수심대에서 낚시하면 이상하게도 찌올림이 별로 없이 끌고만 가더라!!"라는 말이 자주 나오게 되죠.

저수심대에서 40cm찌, 카본 4호 원줄, 40칸대로 수심체크를 했는데 찌다리를 봉돌까지 최대로 내렸는 데도
불구하고 찌톱이 수면위로 10cm는 올라오는 것을 보고,
"와 이거 수심이 30cm밖에 안되는 걸!!?"하고
생각하기 쉬우나, 목줄이 20cm였다면 실제 수심은 50cm(30cm+목줄길이)일수도 있다는 거죠.

이것도
(찌길이-수면위로 올라온 찌길이+채비된 목줄의 길이)를 계산해야 정확한 수심 계산이 될 수도 있는 상황이죠.
저수심 포인트에서 채비를 던져서 수심체크를 해보니 깊어봐야 배꼽정도 나올 것 같아서 (수초제거기+가슴장화) 입고 물에 들어갔는데
실제 깊이는 그 생각보다 더 깊어서 깜짝 놀랄 수도 있는 이야기이죠.
진심으로 낚시를 열심히 하시는 분들은 이런 경험들도 한번씩은 해보셨을 듯....
추천 2

IP : 6eec579c1e0db10
S모그님 상세한 설명 감사합니다

수조통에서 4.37g 봉돌 달면
케미 상단과 수면 일치 되는데
(4.7g은 넣자마자 바닥에 가라앉음)

맹탕,수초권 / 수심 관계없이
4.7g 사용해도
저수온기,예민한 입질 외에는
낚시에 무리 없겠죠?

외봉돌이라
현장에서 가감하기 불편해서요
추천 0

IP : 26d6404f01e6b0e
대물낚시 코너니깐.. 대물낚시로 얘기 하면 상관 없습니다.

초저부력찌도 아니고 5그람정도 먹는 찌면 0.4그럼 더 나간다고 찌 안올라오고 그런거 없습니다.

오히려 약간 무거운채비가 더 좋을 수도 있습니다.

예전에는 찌가 잠기는 찌맞춤도 많이 했었죠...수초 잘 뚥고 내려가게 6~8그람 찌에 무겁게 맞춰서

요즘은 대세가 가볍게 맞추는 찌 맞춤이 되서 0.4그람이 엄청 크게 느껴지는데...

실제로 해보면 별 차이 없습니다.

오히려 약간 무거운 채비가 정직하게 찌도 올려주는 경우도 많고 ...

정 눈으로 확인하자고 하면... 유튜브에 그런거 실험한 영상 있습니다. 물론 양어장에 향붕어이긴 한데..

가볍게 맞추면 봉돌 근처에서 붕어 꼬리짓에도 찌가 오르더군요...

누구 유튜브라고 하면 좀 그러니 잘 찾아보세요 ^^...
추천 2

IP : 6eec579c1e0db10
6년전만해도
무거운 채비가 대세였는데
언젠가 부터 ftv 출연자들도
3.5g-5g이내의 봉돌에
가벼운 찌맞춤으로
채비도 3호-3.5호줄에
바늘도 작은것으로 변하더군요

고기를 못잡으니
기존 채비에 자신이 없어졌네요
10년전에 10g 봉돌도 사용하고도
고기 잘잡았는데
추천 0

IP : 6eec579c1e0db10
기존 찌맞춤으로만 사용하면
가벼운 찌맞춤 미련을 못버릴것 같아
봉돌을 가볍게,무겁게 맞춰
상황에 따라 교체해봐야겠네요


답변 주신 분들 감사합니다.
추천 0

IP : 708d38b28d747a2
최근 유행하는 가벼운 찌맞춤으로 낚시하는 유툽영상을
보면 찌 움직임이 그닥 멋지게 나타나지 않는 것을 보게
됩니다.
물론 그러한 채비에 적응해서 고기를 잡아내면 그만이지만 여러 모양으로 지저분(?)하다싶게 나타나는 찌 움직임을 보면 좀 거시기 하더라구요.
본문 고민을 하시는 내용은 아무래도 명확하고 일관된 찌오름을 염두에 두고 낚시하는 분이시라서 이런 고민도 하시는 것으로 보여집니다.
다만 번거롭더라도 현장에서 봉돌만 달고 케미상단 0점맞 춤이면 고민하시는 부분이 상당하게 커버가 될것입니다.
외셔를 다양한 무게로 구비해서 즐거운 낚시 하세요.^^
추천 1

IP : 8ad4080f37552ec
봉돌이 4.25g이고 찌탑이 두 마디 노출된다면 봉돌을 4.5g으로 올리고 찌맞춤을 캐미 끝만 나오게 맞추시면 됩니다.

봉돌이 4.25g이고 찌탑이 두 마디 노출된다면 찌의 부력은 5.25g입니다.
이 경우에는 봉돌을 4.5g으로 올리고 찌맞춤을 캐미 끝만 나오게 맞추면 됩니다.
이렇게 하면 봉돌과 찌의 부력이 일치하게 되어 안정적인 낚시를 할 수 있습니다.

초봄이나 늦가을에는 붕어의 입질이 예민하기 때문에 봉돌과 찌의 부력을 조절하여 예민한 입질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추천 0

IP : 6eec579c1e0db10
소품을 구비하여
현장찌맞춤등 다양한 시도를 하여
채비에 확신을 가져야겠네요

20년 넘게 낚시하면서
수조찌맞춤만으로 부족함이 없었는데
몇년째 조과가 부진하니 흔들리네요

낚시방송,월척보면
채비가 경량화 되어 잘잡나 싶기도 하고

모든 분들 안출하시고 대어 하세요
추천 0

IP : 0a54acf04549ce1
정확한 채비하고,
예민한? 채비하고는
서로 전혀 다른 말이고,

찌를 통해서 예민하고, 섬세한 입질 동작을 캐치하고 싶다면,
일단은 정확한 채비를 구사해야 한다는 것이 필히 전제가 되어야 하죠.

요즘은 매스컴이 발달한 관계로
"잘 잡힌다."는 딸랑 한장짜리 채비도들이 웹이나 낚시방송 상에
경쟁적으로 홍보되고 소문으로 퍼지기 쉬운데요.

정확한 낚시를 하기 위해서는
게다가 극한의 섬세한 낚시를 하기 위해서는
심오한 공부를 안해도 되고,
계산 하느라 머리 안 아파도 되고,
일일이 현장에서 봉돌을 깍지 않아도 되고,
......
그러한 낚시법은 절대절대절대로 없다고 보시는 게 좋습니다.

극한의 섬세한 낚시를 구사하게 되면, 바람이 불어 수면이 일렁이는 것 조차도
채비의 0점 좌표 위치가 수면의 일렁임에 따라 지속적으로 바뀌는 상태에서 낚시를 하게 되죠.
근데 채비도들을 보면 수면은 자로 반듯하게 그은 수평선입니다.
낚시할 때 수면이 항상 그런 유리판 같은 식이던가요?

스스로 엉뚱한 낚시에 빠져,
혼자만 그런 낚시를 하면 스스로의 낚시의 길이니 문제가 없으나.

"아무튼 엄~청 좋은 채비이며 없는 고기도 만들어서 잡아내는 채비"라며
수많은 사람들에게 설파하게 되면
그 엉뚱한 낚시를 그대로 복사해서 따라하는 낚시인들은 무슨 죄일까요.

1/100g단위까지도 감안을 한다 할 정도로
섬세한 채비를 추구할수록, 그 채비는 수조통으로 완성하거나 설명을 해서는 안되며.
그 메커니즘을 근거가 동반된 산출된 수치로 유저들에게 증명해 줄 필요가 있습니다.
(수조통의 큰 맹점과 함정은 위에서도 이야기 한 바 있구요)

수조통에서 가장 쉽게 관찰되는 것이면서,
수조통에서만 관찰되는 것이 분할봉돌과 본봉돌 사이의 중간목줄? 이 휘어지는 현상(목줄버팀???)인데요.
실제로는 그런 현상이 나타나기 힘든 구조이죠.
원줄이 수조통 상단에 걸쳐져서 채비의 자유로운 상하 움직임을 방해하고 있기 때문에 생기는 그림이죠.

찌맞춤 할 때도 원줄이 자유로운 상하 움직임을 방해하죠.
그래서 수조통은 정확한 0.1g이하 단위의 찌맞춤은 사실상 불가능 합니다.
추천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