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물낚시

· 생미끼 붕어 대물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질문/답변] 찌맞춤에대해...

IP : dc996b3ab186faa 날짜 : 조회 : 3308 본문+댓글추천 : 0

생미끼 대물낚시를 하는데요.. 수조에서의 떡밥찌로 찌맞춤을 찌에 캐미만달고(바늘은달지않고) 수평(영점)맞춤을 했을시 현장에서 카본4호줄에 찌멈춤고무 위아래 2개씩, 그리고 바늘을 달고 던졌을때 어느정도의 무거운 찌맞춤이 될까요?? 예를들자면, 수조에서의 서서히 내려간다든가? 빨리 내려간다든가?? 사실, 대물찌를 쓰다가 요즘은 떡밥찌(고리봉돌4~6호정도)를 캐미에 바늘달고 수조통 영점맞춤에 현장에서 약간 더 무거우라고 좁쌀봉돌 하나를 달아썻거든요.. 모르겠습니다.. 매번 허탕만치니 자꾸 채비에 의문만 생겨서 자꾸 이것저것 해보게되네요..

1등! IP : 2a7943a15098f0e
그정도의 찌맞춤이면 충분하다고 봅니다.

본인의 채비에 믿음을 가져보세요

제 조우중에 대물을 잘잡아서 소문난 벗이 잇습니다만
이친구 아직 바늘도 못매고 찌도 못맞춥니다.

낚시점에서 파는걸로 대충하지만
대물은 항상 이친구 몫이랍니다.

느긋하게 기다리는걸 주특기로 하는데
그런게 주효한게 아닐까 싶습니다.

봄철에 안출하시길^^
추천 0

2등! IP : 9590e2a020c402f
전 대물찌에 엄청무겁게 쓰는편입니다.

수조통에 넣으면 바로 쭈~~욱 내려갑니다.

그래서인지 중후한 찌올림을 볼수있었던것같습니다.

작년에는 대물찌를 영점맞춤한후로 중후한 입질을 못봐서인지 올해는 무겁게.....

찌에 따라 틀리다고 붕어학교 303에서 나오더군요. 제찌는 좀 빨리무겁게 하라고해서 .....

월척을 지금껏 한수했는데 낚시점에서 달려나오는 추 그냥 달아서 써서 한수했습니다.

활성도에 따라 틀려진다고 생각하는 일인입니다.

무겁든 영점맞춤이든 마이너스 맞춤이든 붕어맘이고 개체수가 많다면 무슨 찌든지 올려주지않을까요?

어리석은 생각인가??

경험이 중요한것 같습니다.

올해 무겁게 찌맞춤 세팅을 해놨는데 올해 경험삼아 내년에 다시 찌를 무겁게 할건지 영점할건지 중간정도로 할건지

정해야될거같네요.
추천 0

3등! IP : 5fbfad44e330f05
어수선님 말씀처럼 본인 채비의 믿음이 제일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저도 예전엔 캐미끼고 봉돌달고 수평 찌맞춤을 하였다가 지금은 서서히 가라앉는 찌맞춤을 합니다(거기에 가지바늘 채비까지 병용하도록 셋팅을 합니다)
조과요? 똑같은것 같습니다
찌맛이요? 고기의 움직임과 싸이즈에 따라 다 다르더군요
저수온기요? 고기가 원하면 시원하게 올려줍니다

제 생각엔 찌맞춤으로 고민하시는것 보다 오히려 목줄의 길이와 종류와 홋수의 변화를 주셔보시는게 정신건강에 좋을것 같네요
전 언제나 원줄 5호에 생미끼건 글루텐이건 목줄의 변화만으로도 붕어를 상면하니까 ~ 언제나 그대로 갑니다!!
회원님들 물낚시 계절입니다! 안출하시고 즐건운 낚시하세요!!!
추천 0

IP : bd377f4fe2235d3
찌맞춤은 크게 잘못 맟추지않는이상 경험상 문제없네요 오히려 약간가버운찌맟춤보단 약간무거운(찌가천천히 가라않는...)찌맟춤 권해드립니다.. 경험상 붕어가 미끼를 먹을맘이있으면 봉돌 10에 1호찌쓰더라도 찌올리고 끌고가고 합니다..아무리 정교하게 하더라도 고기맘이안맡으면 안되겠죠..약간무거운찌 추천합니다.. 떡밥이든 대물낚시든 생미끼(지렁이는 찌맟춤 의미없네요)약간 가라않으면 굿입니다
추천 1

IP : dc996b3ab186faa
모든분들 답변감사합니다..
어수선님 말씀처럼 올해도 지금까지 해왔던것처럼 한번더 해봐야겠네요..
언젠가는 찌가 올라오는날이 있겠죠 뭐~~
모두 안출하시고 즐낚하시길 바라겠습니다~~
추천 0

IP : 0f99b0fe8afb319
저도, ㅎㅎ 한말씀 드릴께요.... 대물 낚시대에, 원줄과 목줄을 그대로 사용할시.... 떡밥 낚시를 한다면...

60센치 전후의 발사찌로, 바늘만 건드려도, 올라올 정도로 예민한 맞춤을 하셔야, 현장에서.. 대물채비로, 찌와 바늘만

바꿔서, 떡밥낚시 가능 하더라구요... 저도 엄청나게 연구 했습니다.. 현장가서 하고, 새벽에도 생각나면... 달려가서..

찌 던져 보고 와야 적성이 풀리는 성격이라서요.... 위처럼, 예민한 맞춤을 했을시, 카본5호줄의 가라앉는 특성과..

대물찌고무의 5g정도의 무게로 감안한다면, 떡밥낚시로는 중후한 입질을 볼수 있는, 약간 무거운 맞춤이 되더군요...

어느 장비의 어느 채비를 선택하느냐에 따라 틀리지만... 현장 경험으로써, 님이 직접 노하우를 쌓는 것이 중요하다 생각

합니다.. 그리고, 어떤 분들은 ... 찌 올릴 놈들은 다 올리느니, 자기 채비의 확신을 가지라고 말씀들 하시는데요...

ㅎ 그 저수지의 붕어활성도가 좋아서... 한번의 운이지 계속 그 운이 따라 올까라는 생각이 듭니다... 위에 분들 처럼..

붕어 올릴 놈들은 다 올린다는 생각 가지고 낚시 하는 분들은, 1년에 붕어 몇수 못하는 거로 생각이 듭니다..

내가 내 노하우로써, 기술의 발전을 얻음으로써 내 채비의 자신을 가지는 것이지...

경험도 없이.. 가벼운 저부력 찌에, 무거운 찌맞춤을 해서... 밤새 입질도 없이 붕어가 잡히랴 기다리면서, 내 채비에

확신을 가지신 다는 분들...ㅡㅡ 안타깝습니다... 솔직히, ㅂ ㅏ 보 같아요...ㅡㅡ;

아무튼, 현장 경험으로써 자기가 느끼는, 자세가 가장 중요하다 생각합니다..
추천 1

IP : 5f03db8b1cedc95
내 꿈은 월척님 제가 좀 주제넘은 답을 쓸까 합니다.

'체비'가 중요한게 아니라 '안착'이 중요한겁니다.

보통 대물낚시에서는 바닥이 민밑한 바닥은 잘 않 앉을려고 합니다.

그만큼 바닥에 밑걸림이 있는곳을 선호하지요..이럴때 바닥낚시에서 미끼가 안착이 않되고 떠 있다면 어떨까요?

봉돌의 무게는 그다지 큰 영향이 아닙니다.

중요한건 위에 말한것처럼 안착이 중요하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예를 들어 장대 던지는 낚시꾼은 봉돌을 13호에서 18호까지 씁니다.

하지만 무거운 봉돌을 쓴다해도 찌를 아주 예민하게 쓰기 때문에 (마이너스 맞춤)------

그 무거운 봉돌이 올라옵니다.

우리가 생각못하고 있는게 있습니다.

아무리 무거운 돌도 위에 같은 부력이 풍선이 매달고 있다고 보면 조금만 건드려도 그 돌은 쉽게 움질일겁니다.

그렇듯이 저는 찌맞춤이 노지에서 큰 영향이 되지는 않을꺼라 생각합니다.

대물낚시에서 잔챙이 잡을려고 하느 낚시가 아니라 오직 대물을 선별해서 낚으려고 하는 낚시이기 때문에..

저는 케미빼고 바늘 빼고 수조통에서 바닥까지 찌가 가라않게 맞춤니다. 약간 천천히..

조금의 답변이 되었으면 합니다.
추천 3

IP : 722b4b761ef1a29
보통 표준맞춤합니다.. 캐미만 달고 천천히 내려가서 살짝 안착될정도나 내려가다가 서서히 올러오는 그런 맞춤을 주로 씁니다...
이런경우 대물바늘이나 7호정도의 쌍바늘을 달고 수조에 다시 넣으면 찌가 안올러오는 경우가 과반수입니다...
바늘에 무게 때문이겠지요.. 이경우 활성도가 좋다면 혹은 큰붕어가 입질을 했을때는 중후한 입질을 볼수 있습니다...
떡밥낚시의 경우도 잔챙이지만 찌올림이 확실하니 헛챔질 횟수가 줄겠지요
활성도가 좋지 않을때가 늘 문제입니다... 사람의 기분도 늘 365일 언제나 똑같을수 없듯이 자연환경에 민감한 붕어(타 어류나 조류 기타등등)도 언제나 변화한다고 생각됩니다.. 결론은.. 저 같은경우는 찌올림을 보기위해 낚시를 하니깐
지렁이보다는 떡밥을 많이쓰고.. 가벼운찌맞춤보다는 남들이 떡밥낚시하는데 좀 무겁다라고 말할정도로 씁니다...
잡으면 좋고 안잡아도 물가에서 캐미보고 있는게 좋으니깐요 자신의 채비에 확신을 가지세요
추천 0

IP : dc996b3ab186faa
말씀들 고맙습니다..
언제나 그렇듯이 조과가 없다보니 이것저것 의심이 가지않을까싶네요..
가벼운맞춤이던 무거운맞춤이던 조과가 확실하게되면 그냥 그방법으로 쭉 가게되는데..
조과가 없다보니 의심병이 도져서 자꾸 다르게 다르게 하는것같네요..
어느 한 방법을 택해서 한번 계속 밀어봐야될것같네요..
잡히든지 말든지 말입니다..
모든분들 다들 즐낚하세요..
추천 0

IP : 2ed586ac97917b3
저는 그냥 찌만 추 달아서 수조에 마춥니다...대신 아주 천천히 내려 가게합니다.

그럼 케미와 바늘 줄4호줄 까지하면 좀더 많이 빨리 내려가겟죠??ㅎㅎㅎ





그래서인지...고기는못잡습니다..ㅎㅎ;;;

제 방법도 괜찮은 방법인가요??ㅠㅠ잘모르겟네.ㅠㅠ
추천 0

IP : ed0c3afe71ec6a4
자신의 채비에 믿음을 가지세요...그게 정답입니다..
추천 0

IP : 9047d1e7ccc449d
윗분의 말씀처럼 자신의 채비에 믿음을 가지는게 심적으로 덜 피곤한 낚시가 되겠네요..........
수조에서 무겁게 '쿵'하는 찌맞춤이나....캐미꽃고 물수평잡는 찌맞춤이나..........멋진 찌올림은 붕어 마음이라 생각하는
일인입니다.........
똑같은 채비로 똑같은 장소에서도 매번 출조시마다 찌올림은 항상 틀립디다..................
붕어의 활성도와 먹이를 취이하는 방법에 따라 중후한 찌올림이 나올수도 있고........잔챙이처럼 까부는 입질도 있다고 봅니다...
수초대에선 수초를 뚫고 내려가 채비안착을 위해 다소 무거운 찌맞춤을..........
맹탕지에선 그리 무거운 찌맞춤을 하지 않아도 된다 보여집니다............................
아무리 무거운 찌맞춤이라도 잡고기나 잔챙이 성화가 심한곳이라면 찌가 엄청 까불던데요~~~^^;.......

자기채비에 믿음을 가지고 지긋이 기다리는것이야말로 진정한 대물낚시의 묘미가 아닐까 생각합니다...
믿으세요.........^^;..........
추천 0

IP : 5c021e4ce648325
봉돌이 바닥에 안착이 안되는 문제로 인해서 4호짜리 떡밥찌에다 고리봉돌 7호짜리를 그냥 사용 했던적이 있었는데
월척급 봉어가 찌를 스믈스믈 쭈욱 밀어 올려주는걸 걸었던 적이 있었습니다^^.
추천 0

IP : c35071af5d74ad0
아무생각없이 걍~~무겁게 하시면 됩니다

정~~그러하시면 옥내림으로 해보시면~~어떻할지!!!
추천 0

IP : e0faef9d2d5ecb2
잡으려는 맴보다 즐기려는 맴을 위로하심...
잡히겟지요...
추천 0

IP : 5c7c2e6a130b3cf
이겨울 시기가 입질 받기 힘든 시기엿네요~!

대물 낚시시에 떡밥찌던 대물찌던 찌맞춤은 좀무거워도 관계없이 찌올려 주니..
가벼운것보단 약간 무거운듯함이 낫겟구요~!

붕어들이 안 먹어주는거 애타게 채비탓 할수도..ㅎ
너무 채비에 신경 쓰시지 마시고..
봄이라 입질 살아날 시기네요~!
조황 좋은곳 정보도 알아보시며 즐건 손맛 보시길..!~
추천 0

IP : 8cacb667f44ebc3
찌맞춤열심히하고 이제됐다하고서 출조하면 무조건 꽝이지요 ..
한시간 두시간 입질하나없게되면 .그럴때는 어김없이 내가 찌를잘못췄다는 고정관념에 쌓여서
채비를 넣엇다 뺏다하면서 내채비에대한 의심을하기 시작하기 시작합니다 .
그때부터 낚시는틀린거지요 ㅎㅎㅎ
제가 찌를새로구입할쩍마다 겪는 일입니다 .
자기 채비에대한불신 .이것이야말로 낚시의 최대적입니다 .
자기의 채비에 대해서 믿음을갖는게 가장좋은 답같네요 .
하지만 아직도 물속일을 잘몰라서 헤메고잇는 초보조사입니다 .^^;;
추천 1

IP : bf79a7757b27254
조금 무거운것이 다소 득이 많고,

위에서 언급되었듯이 찌를 통해서 보이는 채비의 안착에 집중하시는게

찌의 의심병을 없앨 수 있습니다.
추천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