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십니까?
낚시하다가 철수할때 채비를 회수하며 낚시대의 이물질이나 이슬등을
수건으로 닦으며 탁탁 접어넣으면 나중에 초리대 끝 부분에서 원줄이 꼬여
한참 고생할경우가 가끔있더군요
이런경우을 방지하거나 해결할수있는 방법 있으면 부탁드립니다
맹탕에서 낚시할 경우는 그냥 채비는 물속에 두고 낚시대를 접어넣으니 원줄꼬임이 없던데
포인트 앞쪽에 수초나 기타 장애물이 있을때에는 채비를 먼저 회수하여
뒷꼿이에 걸어둔뒤 대를 접으니 초리대가 흔들려서인지 원줄이 초리대에 꼬이거나 감기는 경우가 많터군요
좋은 해결 방법있을까요?
- © 1998 ~ 2025 Wolchuck all right reserved. ▲TOP
부작용 뒷마개 빠지는 못된 낚시대가 한두대 있음
모두들 별 다른 묘책이 없나봅니다
기냥 초릿대를 물속에 넣고 접어볼까요?
260명이 넘게 조회하였는데......
저도 낚시하며 그런일로 고민한적 있었습니다
대도 깔끔하게 관리하는 편이고 채비 감으며 찌에 흙도 묻지말라고
밋밋한 자리에서는 채비 회수시 채비는 물에 넣어두고
수건으로 대를 닦으며 접다가 원줄을 케이스에 감거나 줄감개에 감지요
때로는 지나가는꾼님 경험담처럼,특히 긴대를 접다가
5번대 이상부터 원줄이 감기어 대를 접는대에 좀 더 시간이 걸리지요
그럴때에 저는 아렇게합니다
올 여름 제가 낚시하다가 촬영한 사진처럼 발앞 자리가 채비 회수시
수초에의해 채비를 담글 자리도 없고
뒷꽂이에 바늘을 꽂아놓고 대를 탁탁치며 회수하다가는 원줄이 대에 잘 꼬이지요
이럴적에는,채비가 셋팅된 바늘을 자신의 키 정도 되는 덩굴이나
이런것이 없을시에는,낚시의자 머리 끝 부분에 바늘을 살짝 꽂아두고
대를 눞혀서 탁탁치며 접어보세요
위치가 높을수록 더 좋지만,채비 회수할때 원줄이 대에 한결 덜 꼬일겁니다
평소 대 관리할적에 전용 왁스를 잘 먹여주는 것도 좋은 방법이구요
사진의 좌측 2.8칸 향어대는,지나가는꾼 선뱃님이 사용하시던 것 입니다
저때는 향어대가 몇 대 없었기에 기억하고있지요
앞으로도 잘 간직하며,유용히 사용하겠습니다
선뱃님,받침대가 마련되는대로 출조를 떠나거든
찌를 멍하니 바라보는 저의 사진을 담아보겠습니다
늘 재밌는 낚시를 즐기시길바라며,사과 튼실한놈으로 많이 수확하시구요
다른말이 필요없군요
명쾌하고 시원한 해결 감사합니다
그리고 2.8대 그넘을 보니 시집보낸 딸 생각하는 아버지 마음을 조금이나마 이해할것 같습니다
저넘(2.8대) 말썽 부리지말고 말 (재기능 발휘)잘 들어야 할낀데......
아마도 굵은넘 만나면 재기능 충분히 할껍니다
시원한 파라솔 사진은 이곳에 올려 주시면 고~맙지요
기대해 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