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물낚시

· 생미끼 붕어 대물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정보·팁] 펌자료 " 혹부리붕어의 원조가 번포산붕어인가?!!"

IP : 40bae16ea955b78 날짜 : 조회 : 17257 본문+댓글추천 : 0

펌자료  혹부리붕어의 원조가 번포산붕어인가 (월척지식 - 대물낚시)
위 사진은 90년대에 철원의 토교지에서 잡힌 62센티 "혹부리붕어" 전해오는 문헌에는 이북지방의 함경도에 "번포호"라는 큰 호수가 있는데 여기서 서식 하는 붕어가 체고가 무척 높고 고기맛이 일품이라고 하며 중국 내륙 지방의 붕어와 체형이 유사하다 합니다 여기 붕어는 떡붕어의 생긴 형태 하고는 좀 틀리고 요즘 가끔 잡혀서 낚시인들 사이에 화제가 되는 일명 "혹부리붕어"의 체형을 지녔다 합니다 일제 강점기인 1920년대에 "진도개"를 천연기념물"로 지정하여 진도개의 멸종을 막아주었던 일본의 저명한 동물학자인 "모리 박사"가 여기 번포호 붕어를 전국적으로 번식 시키기 위하여 남한에도 3군데 저수지에 체고가 높은 "번포산붕어"를 이식 했다는 기록이 있는데 그중 한곳이 강원도 철원에 있는 "토교지'이고 또 한곳은 전남 여천군 소라면에 있는 "죽림지"이고 또 한곳은 경상도의 어디?라고 알고 있읍니다!!! 지금 가끔 잡히는 혹부리 붕어들은 혹시라도 "번포붕어"의 유전자를 물려 받은게 아니가 하는 의구심을 갖게 합니다 또한 이 번포붕어는 성장 속도가 무척 빨라 평균 7년이면 체장 40센티를 넘는다고 알려져 있읍니 또한 이 "번포산 붕어"는 일본의 떡붕어의 원산지인 "비파호"에도 유입되어 일본산 떡붕어의 개량 에도 한 몫을 하였다는 '설'이 있읍니다

1등! IP : 6e16aa04e5105cc
좋은정보 감사드립니다

근데 경험상 이름모를 소류지에서도 혹부리붕어를 낚아본적이 있는데

번포붕어의 유전자를 물려받기에는 조금 의아한 생각이 드네요
추천 0

2등! IP : 8612d41e59d2f29
저도 혹부리 붕어가 번포붕어?로 알고 있습니다..

5치,6치,7치급 혹부리 붕어 만나보시면 정말 멋집니다...
추천 0

IP : 15580fe6858d92b
62cm...꿈의6짜네요 ㅎㄷㄷ;;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저역시도 고창에서 혹부리붕어를 잡아봤습니다
요즘은 개체수가 많아졌나봅니다~
추천 0

IP : 0362e00fd74a36c
충청도 미호천의 가지수로...밤낚시하면 8치이상 토종으로 7~8수씩은 하는 곳 인데
어느날 첫 수에 혹부리가 나오더니 그날 밤에는 8~9치혹부리로만 10수 이상을 걸었던 기억이 있습니다..
체고가 높아서인지 힘 이 장난이 아니더군요...웬만한 월척급보다 더 힘 을 쓰는데 흐미~
지금까지 꽤 오랜동안 낚시 해 오면서 혹부리를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본 가장 인상깊은 날 이었습니다...
추천 0

IP : 7386255007b0fe4
진돗개 이야기가 나와서 갑자기 뭐가 생각나서 적어봅니다.

대학교 다닐때 교수님중 한분이 수업시간에 하도 학생들이 엎어져서 자고 있으니 잠께고 집중하라는 의미로

진돗개가 왜 한국 천연기념물인 이유를 아냐?라고 물어본적이 있었죠

물론 대답은 아무도 못했습니다.

교수님 왈 : 1930년대 민족말살 정책의 일환으로 창씨개명, 신사참배, 정신대선발등등 있던시기에

일본은 내선일체, 일선동조론, 황국신민화등의 일환으로

-조선하고 일본은 하나 니깐 우리가 니네들 지배하는거 당연히 받아 들여라-

1930년대 중후반쯤 조선총독부에서 일본인 학자에게

일본견(아키다)과 비교해서 덩치는 작고 비슷한 견(일본견보다 우수하면 안됨)을 골라

그 개를 조선의 고유견으로 일방적으로 문화재로 지정해라 해서 진돗개가 우리나라 고유종 되었다고 들은게 생각나서 적어봅니다.

낚시사이트에서 갑자기 개 이야기로 넘어가다니.. ^^;;
추천 0

IP : 48ffdd0e5d6ae36
예전 낚시에 미쳐지낼때인 1982년도경 아주 오래된 "낚시춘추"1972년도 판에서 번포붕어에 대한 글을 읽어봤읍니다

그 글을 읽고 결국 "혹부리 번포 붕어"를 잡어봐야겠다는 결심을 하고 당시에는 갈 생각도 못했던 "철원 토교지"는 배제하고

전남 여천군 소라면에 있던 "죽림지"로 금요일만 되면 서울에서 여천까지 500키로 정도를 2년 정도 다녔던 추억이 있읍니다

당시 제가 확인 했던거는 딴곳 보다는 월등하게 잡히는 붕어 개체수의 30~40%가 혹부리 체형을 가져 체고가 엄청 높았읍니다

당시에 2월달초에도 물낚시가 잘됐었읍니다만 최대어는 32센티 정도 였읍니다만 역시 체고가 무척 높은 혹부리붕어 였읍니다

그후 생활에 쫓겨 가지 못하다가 90년도경에 다시 가보니 아쉽게도 저수지 주변에 "여천공단"이 들어섰고

저수지 관리인이 낚시터를 운영 하는것 보다 유원지형 매점을 운영하는것이 수익이 되는지 매점으로 업종을 바꾸셨더군요

하지만 아직도 낚시는 할수 있으니 가까운곳에 사시는분들은 한번 가보셔도 될겁니다

**걸린놈만 잡는다 님! 번포는 함경북도에 있는 지명 이고 그곳에 있는 저수지 이름이 번포 저수지 입니다
추천 0

IP : 3c93b3cf90cd094
청도쪽 각지형 저수지에도 7~9치급 혹부리가 나오더군요
해서 낚시점 사장님께 물어보니 사장님도 다른유입구가 없는데 혹부리 붕어가
잡힌다구 하더군요 참으로 신기 하네요^^
유익한 정보 감사합니다^^
추천 0

IP : 234ed7044879425
유익한 정보네요..
또 하나 배웠습니다. 감사합니다.
추천 0

IP : 48ffdd0e5d6ae36
혹부리 붕어가 없던 지역에도 혹부리 붕어가 생기는 이유를 제나름대로 추측해 보았읍니다

**토종붕어들의 산란기가 모내기철과 비슷해서 수초에 산란해놨던 붕어알들이 논에 물을 대면 저수지의 물이 말라

수초에 붙어있던 붕어알들이 그대로 물밖으로 노출 되는데 그 알들을 통째로 먹은 조류들의 뱃속에서 소화되질 않고(조류의특성)

그냥 공중에서 배설이 되어 딴곳의 저수지나 물에 떨어져서 부화가 되는것이 아닌가 생각 합니다

전혀 붕어가 없던 섬이나 산속에 웅덩이를 파놓고 몇년후에 가보면

그곳 웅덩이에 송사리나 붕어가 살고 있는것도 비슷한 원리 아닐까요^^
추천 0

IP : e62e3a27954185f
좋은정보 잘보고 갑니다~

특히 국현성재님 덕에 새로운걸 자세히 알게되 감사합니다..
추천 0

IP : f9ee347c872b369
제가 전남 여수 소라면 사람이라서 죽림지를 자주가는데~ 붕어체형이 비슷합니다 혹부리는아닌데 흠 번포붕어였군여 4짜 체형이 저거랑 비슷하더라구요~ 잘알고갑니다~~
추천 0

IP : 9e5fa80ced19545
개연성이 있는 설이기는 하나 정작 검증된 사실은 아닌것 같습니다.
(우리나라에서 토종붕어에 대해 그렇게 오래 연구한 사례가 없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아마 돌연변이에서 시작 된것이 오랜기간 진화를 거듭해서
토종붕어의 변종으로 정착한 경우 일것 같습니다.
추천 0

IP : 1ec0fd6b58bef63
이 글을 읽으시는 분들 중 혹부리 붕어와 베스 등으로 인해 덩치를 키운 토종붕어를 구분하실 수 있는 분은 그리 많지 않으실 겁니다.
주위에서 덩치가 큰 토종붕어들은 혹부리....로 치부하는 경우도 흔하게 봐왔었고..........
이런 이유로 각 회원님들이 겪으신 경험 중 상당수는 이런 오인의 요소가 충분히 있으리라는 짐작입니다.

자세히 살펴보면 외형적으로도 충분히 구분이 가능하나
배를 갈라보시면 토종붕어와 당장 눈에 띄는 다른 점을 발견하실 수 있습니다.
배 부위에 커다란 기름덩어리(?)를 지니고 있습니다.
저도 이 덩어리의 기능적 역할에 대해서는 모르고 있지만....
분명 우리가 흔히 얘기하고 있는 토종붕어......와는 분명 다른 점이 있슴이 현실입니다.

그래서 개인적으로는
토종...떡......중국........잉붕어 외에
혹부리.........로 따로이 관리(?)하고 있습니다.


번포늪........이 원산지....이고 강화도에서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는 정도로만 알고 있었는데
좋은 정보 얻어 갑니다.
추천 0

IP : e0e3d4d7f3de3bd
저수지마다 보면 혹부리 붕어 베스있는곳 많이 서식 하던데 요~
강원도 베스터 많이 있습니다 ^^
추천 0

IP : 98ae79d5f24f32d
강원도 소양댐 파로호 춘천댐낚시에서 과거에는 많이 잡았읍니다.
근래에는 떡붕어가 주종을 이루어 져서 좀 보기가 어려워 졌읍니다.
주로 깊은 물속에서 살아서 높은 수압에 적응되어 있어, 어망에 넣으면 낮은 수압으로 인헤 비늘사이에 피멍이 듭니다.
어떤이는 떡붕어 교잡종이라 하는데, 혹부리붕어로 토종 맞읍니다. 주로 흐르지 않는 곳에 살고 있읍니다.
그와 반대로 흐르는 강가에 사는 토종붕어는 잉어처럼 늘씬하게 생겼고 거친 물결을 타고 오르는 힘이 대단합니다.
추천 0

IP : fecf4e297a2bf81
지나다가 몇자 적어보네요 제가 느낀바로는 어류의 이동경로중의 하나가 우리낚시꾼이라 여겨집니다 산란기에 낚시하다보면 찌 그리구 살림망에 징그러울정도의 고기알 들을 보신 경험있으실 듯 하네요 고기알들은 물기가 말라도 일정기간후(대략 기간은 추정못함 일주일정도 )다시물기와 닿으면 부풀어올라서 토실토실 해지던대요 이점참작해서 제혼자만의 속설만들어봅니다 평소에 보지못했던 강계의 고기인 누치가 내륙 깊은곳에서 낚시에 잡혀 나오는것 봤구요 참붕어 없는 저수지 보기드문 사항이라서 ...혹부리 붕어또한 그런경로 통해서 여기저기 분포하고 있지않을가 생각되어 집니다만....
추천 0

IP : 61ae2f01f641e16
혹부리
전국에걸쳐 분포되여있는걸로알고있읍니다 경남 경북 특정저수지에 혹부리많이
잡힘니다
특히베스터에서-------
생존에의한 특이체질 이정도로
이해하고싶네요
추천 0

IP : c8070a0e14bbb1d
혹부리붕어, 36. 41을 잡아보아서 잘 압니다.
채구 엄청좋구요, 정말 바다고기 돔보다도 더 멋있습니다.
추천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