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호해야할 천연기념물이라서 작대기로 때려서 잡을수도 없고 돌맹이 집어더졌다 맞아서 죽으면 안쓰럽고...
요사이 저도 낚시하다보면 뒤에서 쥐가 왔다갔다하고 쥐가없는곳은 고양이나 살쾡이가 왔다갔다하고... 어떤곳은 황소개구리 울음소리와 입질이 있을만하면 다이빙해대는 황소개구리가 미울때가 한두번이 아니지요.
간혹 그런 생각을 했습니다.
서바이벌 하는 총 있잖습니까?
예전에 잠깐 했던 서바이벌 소총 되팔지 않고 놔뒀다라면 귀찮게 하는 녀석들 이마에 한방씩 놔주는것도 참 좋을텐데 하는 아쉬움이 있습니다.
전에 황소개구리한테 몇발 쥐어 갈겼더니 좌악 뻗어 버리더군요.
지금까지 수달에게 살림망을 3번 뺏겼습니다.
새벽 1시정도에 조우들과 커피 한잔 할 때 2번을 뺐겼고, 한번은 의자에서 잠깐 잠든사이에 뺐겼습니다.
살림망을 물고 땅으로 나와서 살림망을 찢고 식사를 했더군요.
사람이 자리에 없을 때는 그 자리에서 먹고, 자리에 있을 때는 옆으로 끌고가서 먹었더라고요.
수달은 후각이 많이 발달되어 있다고하는데, 살림망에 붕어가 있으면 정말 잘 찾아내더라고요.
수달이 왔을 때, 받침대로 위협도 해보고 해도 쉽게 포기를 하지를 않더군요.
주위 조우 몇 분은 붕어 뺏기지않으려고 플라스틱으로 된 살림망을 준비하신 분도 계십니다.
올해는 수달이 작년보다 더 대담해졌습니다.
사람을 보아도 도망가지도 않고 오히려 자기 영역에 침범했다고 그러는 것인지,주위을 맴돌며 울음소리를 내면서
시위를 하더라고요. 불을 비추면 잠깐 물속에 들어갔다고 다시 나오면서요.
낚시대가 없는 쪽으로 몰아서 큰 돌을 던지니까 그때서야 가데요.
작년에는 수달이 지나가면 한동안 붕어입질이 없었는데, 올해는 수달이 지나갔는데도 조금 뒤에 입질이 왔습니다.
제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주위에 마름과 연이 많이 생겼는데, 붕어의 은식처가 되지 않았나하는 생각을 해봤습니다.
붕어의 한계인지는 모르겠지만 주위에 은폐물이 있으면 멀리 도망가지않고 숨어있다가 후각이 발달한 수달의 먹이감이
되지않나 싶습니다.
수달이 오신거라면 당연히 낚시는 포기해야할듯 합니다...
고기가 떡밥 먹으러 오겠습니까?
워디에 가던 보이더라구요
헌데 그녀석 돌아다니면 입질이 2시간은 없는듯 합니다
사나운 개라도 한녀석 데불고 다녀야 하는지원
예전에 키우던 잡종은 헤엄쳐서 따라다니더라는
고라니 잡아서 혼자 먹고 그거 다먹을 동안은 산에서 내려오지도 않더라구요
꿩잡은거 빼았으면 으르렁 거리고 줄때까지 따라 다니더라구요
그런사람 꼭 신고해야 합니다!!!
좀 귀찮더라도 자리를 옮기는게 상책이겟죠.
갔던 슬픈기억이........
바다낚시가서는(욕지도하얀방파제)
해달이 어망을 노리길래 낚싯대로
콩~때리니 초릿대..가 달랑달랑...
수달 해달 둘다 싫네요
30분 단위로 왔다갔다 하더니 마른 부들타고 내게로 오는게 느껴지고..
독조라 신경쓰여 또 작대기질 몇번씩 하게되고..
이래저래 헛짓이었군..오늘도 그랬고..
바람에 비에 못견디고 들어왔는데 방법은 안하는것 말고 없을까요?
고향이 강원도 영월쪽이라~
시골에선 아주 원수 취급을 받지요.
송어 양식장 주변의 경우~
거의 수달이 몇마리씩 서식한다고 보시면 되고요.
피해가 아주 극심합니다.
매운탕 먹을거리로 그물을 좀 놓으면~
그물이 걸레되어 버립니다.
낚시할 때 뜨면요.
아예 괴기가 근처로 오지도 않고요.
수달 뜨는 곳의 경우 덩어리 개채 수가
극히 적다고 보시면 됩니다.
천연기념물 보호~
글쎄요...
최근 그 수가 엄청나게 늘었고요.
지역 주민들과 낚시꾼에겐
유해 동물로 보시면 됩니다.
수달은도망도안가지요..수달뵈면..잡니다^^
그래도 자원은 넘치더군요..잉어와 붕어...
붕어와 잉어 잡아먹혀 낚시를 좀 못하면 또 어떻습니까? 짜장이라도 좀 사서 넣어야죠. 그게 낚시꾼의 도리 아니겠습니까? 저는 생태계가 파괴되면 사재를 털어서라도 수달이 먹이를 넣어주렵니다. 집구석이 망해도 천연기념물 보호 해야죠^^
쓰면서도 왜이리 기쁜지
제가 살고 있는 곳은 주변 저수지에 수달 없는 곳이 없답니다. 자연보호를 위해 베스도 안 잡아야지~
요사이 저도 낚시하다보면 뒤에서 쥐가 왔다갔다하고 쥐가없는곳은 고양이나 살쾡이가 왔다갔다하고... 어떤곳은 황소개구리 울음소리와 입질이 있을만하면 다이빙해대는 황소개구리가 미울때가 한두번이 아니지요.
간혹 그런 생각을 했습니다.
서바이벌 하는 총 있잖습니까?
예전에 잠깐 했던 서바이벌 소총 되팔지 않고 놔뒀다라면 귀찮게 하는 녀석들 이마에 한방씩 놔주는것도 참 좋을텐데 하는 아쉬움이 있습니다.
전에 황소개구리한테 몇발 쥐어 갈겼더니 좌악 뻗어 버리더군요.
무척보고싶은데..
낚시도 안될뿐더러 잡아놓은 망태기도 물밖으로 건져놓으셔야 합니다...
한번은 망태기까지 찢어 놓고 안에 고이 모셔두었던 붕어를 홀라당 쳐드셨더라고요...
섬진강에는 수달이 많습니다.
지금까지 수달에게 살림망을 3번 뺏겼습니다.
새벽 1시정도에 조우들과 커피 한잔 할 때 2번을 뺐겼고, 한번은 의자에서 잠깐 잠든사이에 뺐겼습니다.
살림망을 물고 땅으로 나와서 살림망을 찢고 식사를 했더군요.
사람이 자리에 없을 때는 그 자리에서 먹고, 자리에 있을 때는 옆으로 끌고가서 먹었더라고요.
수달은 후각이 많이 발달되어 있다고하는데, 살림망에 붕어가 있으면 정말 잘 찾아내더라고요.
수달이 왔을 때, 받침대로 위협도 해보고 해도 쉽게 포기를 하지를 않더군요.
주위 조우 몇 분은 붕어 뺏기지않으려고 플라스틱으로 된 살림망을 준비하신 분도 계십니다.
올해는 수달이 작년보다 더 대담해졌습니다.
사람을 보아도 도망가지도 않고 오히려 자기 영역에 침범했다고 그러는 것인지,주위을 맴돌며 울음소리를 내면서
시위를 하더라고요. 불을 비추면 잠깐 물속에 들어갔다고 다시 나오면서요.
낚시대가 없는 쪽으로 몰아서 큰 돌을 던지니까 그때서야 가데요.
작년에는 수달이 지나가면 한동안 붕어입질이 없었는데, 올해는 수달이 지나갔는데도 조금 뒤에 입질이 왔습니다.
제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주위에 마름과 연이 많이 생겼는데, 붕어의 은식처가 되지 않았나하는 생각을 해봤습니다.
붕어의 한계인지는 모르겠지만 주위에 은폐물이 있으면 멀리 도망가지않고 숨어있다가 후각이 발달한 수달의 먹이감이
되지않나 싶습니다.
저수지에 수달이 있더군요.
낮에는 조황이 상당히 좋았는데 밤에는 몰황ㅠㅠ
수달이 사냥하는 소리가 굉장하더라구요
확실히 조과에는 영향이 있는거같습니다.
잡아먹힐까봐 붕어들이 아주아주 예민해져서 밤낚시 하다가 수달보이면 철수하는것이 현명한 선택이라고 생각합니다.
참고로 의성 개천지에도 수달이 서식하더군요.
처음 알았네요..ㅎㅎ
수달은 붕어만먹나요??
수달아 배스나 잡아먹으렴 ㅎㅎ
수달아!수달아! 한식말고 외식도좀 부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