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바닥낚시

· 떡밥낚시, 유료터낚시 등 바닥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질문/답변] 가벼운 채비?

IP : 2e4451dd64ea3bb 날짜 : 조회 : 12204 본문+댓글추천 : 0

가벼운 캐미, 가벼운 찌고무, 가벼운 원줄 등등 채비기 좀더 무거운 채비보다 찌올림에서 유리하다고 하는데 각각 그에 맞는 찌마춤을 하면 같지 않나요? 초보가 갑자기 궁금해서 질문드립니다 이해시켜 주세요^^

1등! IP : 8ab48740362ff66
같다는 사람과 다르다는 사람과 이 쟁점은아직까지 끊임없는 논쟁이 오고갑니다만...
그냥 개인적인 견해는..저부력일수록 유리하다입니다. 부력값은 같을지모르나 봉돌의 크기에 따른 물의 저항값까지 생각한다면...
그냥 올릴놈은 다올린다 이런 논리를 가지신분이라면 그냥 지나쳐주시구요^^;;
추천 1

2등! IP : b3bb964a18b19ab
저부력과 고부력은 분명히 차이가
있지요

여름과겨울은 수온차도 기압차가 다르니까
저부력이 확실히 유리하죠
입질폭도 다르구요

활성도가 아주 좋다면
고부력도 무관하지만
저부력은 입질시 붕어가
느끼는 이물감도 적고
수면장력도 좀 덜 받겠죠

찌도 중요하지만
요즘 같은 저수온기는
채비도 중요할듯합니다
추천 0

3등! IP : a11cadd7e828561
똑같은 승용차 둘이 마주보고 범퍼를 맞대고 똑같은 힘으로 악셀을 밟고 서로 밀고 있는데 너무도 똑같은힘이라 어느 한쪽으로도 치우치지 않을때
두대의 손바닥만한 장난감자동차가 마주보고 똑같은 힘으로 밀고 있어서 너무도 똑같은 힘이라 어느 한쪽으로도 치우치지 않을때

제가 손가락으로 두 가지 경우를 살짝 민다면?

승용차 두대는 제가 손가락으로 민다고 해서 한쪽으로 밀릴거 같지는 않네요..
장난감 자동차는 제가 손가락으로 밀면 바로 균형이 깨질것 같구요
추천 1

IP : f346842d0d07989
결론을 먼저 말하면 저부력이 일단 조금이라도 유리하겠죠
내림찌와 대물찌를 비교하면 좀 이상할가요
초저부력 내림찌들은 정말 민감하게 반응하죠, 대물찌들은 아무래도 반응이 둔합니다.

문제는 찌 하나의 저부력, 고부력의 단순한 문제로 보기보다는 채비 전체의 문제에서 출발해야한다고 봅니다.

저부력찌를 사용하려면 아무래도 봉돌이 가벼워야합니다. 가벼운 봉돌을 사용하려면 줄도 가늘어져야하죠, 가벼운 봉돌에 굵은 줄을 사용하면 투척도 잘 안되고 해보면 뭔가 어색합니다.
고부력찌는 그에 맞게 채비를 하죠 대부분 대물 채비를 하십니다. 그만큼 본봉돌도 무겁고, 줄 호수도 크고 무겁죠

예민성이 아무래도 저부력찌가 더 높아질 가능성이 높으니 채비상 제로의 부력을 저, 고 부력할거 없이 마추더라도 붕어 입장에서는 그 제로 발런스를 깨기위에 힘을 주는 정도가 아무래도 다르겠죠
추천 1

IP : 054d6e157ee82d8
찌와 봉돌 사이에 낚시줄이 아니라 강체(철사)로 되어 있다면 고부력 찌에 무거운 봉돌이나 저부력 찌에 가벼운 봉돌이나 똑같은 민감성을 갖습니다.

그러나 찌와 봉돌 사이는 강체가 아닌 낚시줄이지요.

붕어가 바늘을 물고 이동할 때 생기는 가속도가 찌가 갖는 수직방향(z+)의 부력과 1:1로 매칭될 수 없기 때문에 저부력이 당연히 민감하고 활성도가 낮거나 붕어가 민감할 때 유리합니다.

결론, 봉돌과 찌 사이는 낚시줄로 구성되어 있고 봉돌이 움직일 때 찌의 부력이 실시간 적용되지 않으므로 저부력찌+가벼운봉돌이 훨씬 이물감이 적다.
추천 3

IP : f839431c90a013c
굿이설명이필요없죠
저부력채비가 조과가좋은건
답이나와 있잖아요^^
저부력에 예민한찌맞춤 그리고 긴목줄에
작은바늘 작은 미끼 이렇게하면
굿이옥내림까처럼 마이너스찌맛춤을 하지않더라도
신세계를 경험하실겁니다
추천 1

IP : 144d2e75705d5cf
전봇대로 찌로 사용해도 부력만 맞으면 됩니다!
솜1kg, 쇠덩어리1kg 어느것이 더 무거울까요?
추천 0

IP : 17d9e4446b48069
무거운 전자케미 가벼운전자케미 진짜무게가 얼마차이안나는데
조과에 큰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하시나요?
무겁거나 가볍거나 어짜피 찌맞춤만 다시하면된다고생각되는데 제가잘못된생각인가요?
무거운 전자케미달고 찌맞춤하면 안되는지 궁금합니다
추천 0

IP : 29ce3f727d74439
올림 바닥낚시처럼 봉돌이 바닥에 닿아있고, 1그램의 봉돌과 10그램의 봉돌을 각각 영점맞춤을 했다면 당연히 1그램의 채비가 더 예민하게 반응할 겁니다.
붕어가 먹이를 흡입 후 머리를 들어올릴 때, 1그램의 봉돌은 10그램에 비해 부담이 훨씬 작아서 입질표현이 더 잘되겠지요.
부담이 작다는 말은 영점 찌맞춤의 균형상태를 깨트리는 힘이 작다는 말이니까요.
추천 1

IP : 9b41f3cb07cb0e1
관성이란게 있죠
중삐리때 과학시간에 배운거 ᆢ
그리고 운동에너지 ᆢ
무거운걸 움직일려면 더많은 에너지가 필요하죠
추천 0

IP : 8c48471945ec520
저도 한땐 가볍게 최근엔 좀 무겁게 운용했지만 경험상으론 가벼운채비가 입질표현력이 좀 더 깔끔하고 좋았다고 생각합니다

요샌 그냥 별 생각없이 바닥채비로 대펴놓고 그날 어복에 맡기며 맘편히하니 꽝은 없었네요ㅋ
추천 0

IP : 51350982a805296
몇일전 동생하고 낚시를 해서 월척 25마리가량 했습니다
떨군거까지하면 더많아요

중요한건 노지에서 겨울이다보니 동생은3.2칸 고리봉돌 2호

저는 3.2칸 고리봉돌 5호 찌맛춤은 항시 포인트갈때마다 맞춤을하기에 문제는 전혀 없었고요

근데 동생놈만 잡네요? 그래서 동생 찌 봉돌2호찌로
바꿔보았습니다 그때부터 나오네요? ㅋ

분명 노지지만 예민한곳이 있고 예민한 시기가 있습니다


그정도로 예민한 곳에서 낚시안한다 하시는분이라면
할말없지만 분명 예민한곳이나 예민한시기엔 저부력입니다
추천 0

IP : c6f5a27296d7f26
간단하게요...
5그램 부력의 찌
1그램 부력의 찌

똑같이 5~6마디 나오게끔 찌맞춤후

오링을 달아서 케미 하단까지
맞추려면

5그램의 찌가 5개가 필요하다면
1그램의 찌는 2~3개면 됩니다

거꾸로 붕어는 5마디를 올리려면
오링 5개를 올리느냐 2개를 올리느냐 ...
이래 생각하면....

일단 예신이 있는 경우라면
예신이 보이는지 안보이는지
차이부터 있을겁니다
추천 1

IP : 47b023925067e6a
아주쉽게 이야기하자면 고부력과 저부력의 차이는 찌가 표현 하는 방식입니다
크게 표현 하는거는 둘다 같고요
아주 작게< 세밀하게> 표현 하는건 저부력이 월등 합니다
그래서 저수온기때는 저부력을 많이들쓰지요.
추천 0

IP : a2e0bf39f6861ca
중량, 무게의 개념으로만 생각해서 그런 논쟁이 벌어지는 것입니다
핵심은 무게의 개념이 아닌 질량의 개념으로 접근해야 한다는 것이지요
무게의 차이는 찌맞춤으로 해결하겠지만 질량의 차이는 어떤 것으로도 해결되지 않습니다
고부력 채비와 저부력 채비의 예민성은 찌맞춤으로 해결되는 문제가 아니고
채비의 예민성을 결정짓는 질량의 차이이며 질량의 차이는 정지관성의 차이로 나타나게 됩니다
결국 고부력/저부력 논쟁은 이해 여부에 따른 논쟁일 뿐 답이 없는 것이 아닙니다
추천 2

IP : d878bae33f852b2
저부력.고부력 차이도 분명있지만 찌 소재.찌톱 몸통 두께차이.찌맞춤등 여러가지 차이가 있습니다
추천 0

IP : 7f9c94290d24422
고무다라이랑
항공모함을 물에뛰우고
손으로 밀어볼까요?

고무다라이는 밀리지만
항공모함은 밀릴까요?

아마도 일박동안 밀어도
안움직일겁니다

너무 큰비교를 한건지
모르겠습니다

위에 전봇대 부력 잡으신분
과연 붕어가 입질하면
표현해줄런지요?
추천 0

IP : 00ccfe36bf6407d
확실한 답을 원하시면 직접해보시는게 좋습니다 두개의 채비을 셋팅 한후
반반씩 낚시를 해보세요 저도 그렇게 해보니 답이 나오더라구요
단 하루이틀 해서는 안됩니다 최소 4계절은 다해보세요 1년은 해봐야 됩니다
그럼 답니옵니다 붕어야 물어봐라....^^
추천 0

IP : 559085581d2f15c
저는 저부력 고부력 보다는 찌톱이 가느냐 두껍냐에 봅니다 물에 장력이 얼마를 잡냐에 따라 저부력 고부력 아닐까요
추천 0

IP : dea79d20f44c5c8
이론은 이곳에서 ...
실기는 낚시터에서...
한수씩 배우는것도 낚시를 즐기는데
필요한 방법이 아닐까요 ....^^
추천 1

IP : 448de00fb3c8ce5
고부력과 저부력을 극단적으로 표현하면 0.001g까지 표시되는 전자저울과 20kg 스프링 저울 같은차이 아닐까요? 민감도의 차이...스프링저울로 1kg짜리 10개 무게 재서 전자저울에 올려놓으면 조금씩 다 다른무게 나오는 것처럼 ..
추천 0

IP : b116d852e8b8717
낚시터, (저수지,수로, 강계)에 맞게 채비를 셋팅 하시면 될듯하네요.

찬챙이가 없는 베스터는 저부력,옥내림.옥올림
대물을 노리는 토종터(수초대) 중부력이상(잔챙이 성화가 많은저수지는 저부력피곤함)
토종터 맹탕...피래미 잡고기많은곳 은 저부력채비 낚시불가
중부력 이상

저부력채비는 베스터나 잡고기가 없는곳,잔챙이성화가 없는곳 에서 유리함
추천 0

IP : c75d331954e395f
고무다라이/항공모함 비유는 이 문제와 상관없어 보입니다.
추천 0

IP : aab3b66fed1994b
가벼운 채비가 많이 유리하리라 봅니다.

저같은 경우
비수기땐
2호 봉돌을 기준해서
바늘 붕어바늘3-4호 또는 학꽁치 바늘 2호
원줄 카본1.5호미만.
목줄 모노 1호정도.
목줄길이 20센티.
분할봉돌채비에
거의 마이너스 찌맞춤 하는데 한겨울에도 특히 얼음낚시에서 입질 보는데 큰 무리 없었습니다.

가벼운 찌만을 쓴다해서 입질을 많이 본다는 이론은 좀 억지 같구요~~가벼운 찌에 걸맞게 모든 채비가 삼위일체가 돼야지만
입질을 볼수 있다는게 정석 아닐까요?
추천 0

IP : 742f45d371ba90e
전봇대에 정밀한찌맞춤이나 마이너스찌맞춤하여
깊은물에 넣었을때
잉어가 입질한들 푶현이 되겠습니까?
한마디로 무거운채비로 가면갈수록 불리하다는 예기입니다
추천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