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님들 의견을 여쭙니다
요즘도 유료터는 수중펌프를 이용해서 결빙을 방지 낚시터를 운영하고 있는데요
좌대나 잔교의 배치가 수심이 4미터가 넘는 경우가 많은 것 같습니다
경험상 이선 수심에 배치된 좌대나 잔교는
조황이 아주 안좋은 경우가 대부분 이었습니다
겨울낚시 꼭 수심이 깊은 곳에서 해야 한다는 것에
개인적으로 반대의 생각을 하는데요
월님들은 경험상 어떻게 생각 하시는지 궁금 합니다
- © 1998 ~ 2025 Wolchuck all right reserved. ▲TOP
하지만 유료터 주인장들도 그나마 조과가 낳은곳에 좌대배치를 하지않을까요?
손맛이라도 봐야 담에 또 가지않겠습니까?
글고 유료터에서는 수심깊은곳이 조황이 좋을때도 많이있었습니다...
일단 채비 예민하게 하시고 들이대보시는게...저의개인적인생각은 겨울철에 깊은수심대 괜찮습니다 안출하셔요 ^^
겨울철 유료터 주인장들이 좌대 배치를 너무 깊은 수심쪽에만 배치 하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들어서요
주로 다른 계절엔 낚시가 이루어 지지 않는 곳
배터나 제방권에 좌대를 놓아두고 영업을 하시네요
물론 저수온으로 인한 안좋은 조과도 있겠지만
유료터에도 포인트가 따로 있다고 보는데요
이런 저런 이유나 경험보다
낚시인이나 유료터 주인장들도 모두 깊은수심의 겨울낚시를
정석으로 믿는 것 같아 여쭤 봤습니다 ^^
수초대가 잘 형성되어 있는곳은 수초가 태양열을 받아 그곳이 수온이 그나마 높은곳이구요.
그래서 대부분 수초대 지역 아니면 거의 수심 깊은곳을 선택하게 됩니다.
저수지 중에서도 수심이 비슷한 평지형과 수심층의 편차가 많은 계곡형 저수지가 있는데
수심차가 있는 저수지라면 깊은곳을 선택하는게 맞는거 같네요.
잡이터의 경우 이런 맥락으로 좌대배치를 하고있는 거겠죠.
항상 안출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