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바닥낚시

· 떡밥낚시, 유료터낚시 등 바닥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정보·팁] 고부력과 저부력

IP : 5f58db43844759b 날짜 : 조회 : 9928 본문+댓글추천 : 0

풍선에 조약돌 달아 땅에 달랑말랑하게 준비, 열기구에 바윗돌 달아 땅에 달랑말랑하게 준비. 둘다 영점맞춤이지만 사람(붕어)가 풍선이나 열기구가 위로 올라가게 하는 힘의 차이는? 예민함의 차이 보다는 무게추의 기본 무게에 의한 관성저항 차이에 의해 이물감을 느끼는것 같습니다. 영점 맞춤이 된 열기구의 바윗돌도 사람이 충분히 들어 올릴 수는 있습니다. 그러나 사람이 바윗돌에 힘을 주고 일정시간 관성저항을 해소한 후에 열기구가 중후하에 떠오르겠지만, 1~2초 정도 힘을 주던 사람은 이물감에 바윗돌을 놓아버리고 집에 갑니다.

IP : fafa80ca35ddbc4
고부력은..고부력
저부력은..저부력
분활은...한개의 부력을 두개로 나눈거지..저부력의 표현은 안닌것 같습니다
추천 0

IP : f18834b3a509fd0
부력 10을 9;1로 분할해서 1을 들어올릴때 찌올림 표현과 부력1의 찌에 1을 들어올릴때 찌올림 표현은 분명히 다를 것입니다. 그래서 순부력을 따지는게 아닐지...
추천 0

IP : 0f5daa3e925a9d5
<찌의 움직임>

♧ 상하 움직임 ⇒ 찌톱 굵기 및 물의저항(찌, 봉돌 상하 표면적)에 ⇒ 반비례
♧ 좌우 움직임 ⇒ (봉돌 등) 무게 및 물의저항(찌, 봉돌 좌우 표면적)에 ⇒ 반비례

그럼으로 찌몸통과 봉돌이 작으면(저부력찌) 물의 저항을 적게 받아 고기 입질에 예민하게 반응하며
좌우 움직임도 봉돌(추)의 무게가 작아 좌우로도 예민하게 반응함으로써 많이 까불거린다고도 함
추천 0

IP : d7344c0187c0081
헐크가 들어 올린다면 둘다 그냥 들어 올리겠지요. 물론 어린애는 바위는 포기하겠지만요.
추천 0

IP : a489c613d1e4886
확실히 겨울에 하우스에서 온니 올림만 해본결과
저부력이 유리하다고 스스로 결론지음.
하지만 주력대는 역시나 풍덩!ㅋ...
추천 0

IP : 9be1932cf422792
찌의 상하 움직임 폭은 붕어 맘이지만 찌올림의 속도는 찌의 순부력과 낚시꾼의 찌맞춤에 따라 달리 표현되는 듯 합니다
추천 0

IP : 9be1932cf422792
겨울철 하우스 저부력은 개인적인 경험에서 3~4그램 사이로 느꼈습니다. 1~2그램찌는 찌표현이 부정확한 느낌이......
추천 0

IP : bb0b778c0ae6880
어쩌면 우리네 낚시꾼들이 고부력으로도 시원하게 찌올림을 해주던 예전 붕어들에게 미안한 마음을 가져야 합니다..
동면하는 붕어를 깨우고 수입붕어 사다가 겨울 하우스에서 가둬놓고..저부력으로나 감지할 수 잇는 환자붕어들을 만든 탓이겠지요...
추천 0

IP : 87d3c9ab5791492
단순히 들어 올린다는 관점에서만 보면
1짜리 저부력과 10을 9:1로 분활 하였을때
들어 올리는 힘은 똑같지 않을 까요.
단지 9와 1 중간에 줄이 휘었다가 9가 서서히 올라 가면서 찌가 움직이기에 챔질 타이밍이 좀 늦을 뿐 ...
추천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