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수님 월붕하세요 저의짭은 조력의 의견을 묻읍니다 먼저 현장찌 맞춤시 모든채비를 달고 1차 맞춤시 찌의 몸통까지 본 봉돌을달고 나머지 부력은 원줄에 좁 쌀봉돌로 케미 아래까지 맞춤니다 낙시 할땐 1목을 내놓고 시작 많은 의견과 조언 부탁드립니다
다만 좀더 안정적인 입질을 원하신다면 바늘떼고 맟추세요....
(제가 문장 이해력이 부족한 점 미리 양\해 바랍니다 ^^)
원줄에 좁쌀을 물린다면
본봉돌이 밑에 있고 좁쌀봉돌이 원줄(즉 본봉돌 위에) 있다는 말씀 아닌지요?
목줄에 좁쌀을 물리셔야 정확한 좁쌀봉돌 채비가 되구요
만약 원줄에 좁쌀을 물리신다면 변형된 분할봉돌 채비가 됩나다
목줄에 좁쌀봉돌을 물리시는 좁쌀봉돌 채비라면 찌 맞춤 시 케미 바로아래 맞추시면 조금 가벼운 맞춤이라 보여집니다
물흐름이나 대류발생시 뜨는 경향이 있습니다
케미 1/2 정도 맞춤에 찌 한목 내놓고 하시는것이 안정적 입니다
원줄에 좁쌀봉돌을 물리시는 분할 채비라면
이는 좁쌀의 크기도 커져야 하고(본 봉돌의 무게감을 나눠줘야 하므로) 두개 정도 물리는 경우가 일반적인데요
주로 장찌 사용자 분들이 깊은 수심에서 낚시 하실때 사용 하십니다
좁쌀 맞춤시 절대 어렵게 생각 하지 마시구요
본봉돌에 바늘까지 다달고 목줄에다 좁쌀봉돌 2호 정도를 달고
본봉돌을 깍아 가면서 주간케미(야간케미) 1/2 정도 나오게 맞추시는게
좋습니다
본봉돌에 찌몸톧 연결부에 맞춤 후
바늘달고 원줄에 물렸던 좁쌀 빼서 목줄에 달고....
이거나 위에 말씀드린 방법이나 결국 같은 말인데 과정을 무척 어렵게 설명하고 있는 듯 생각 하는 1인 입니다
저와 비슷하게 찌 맞춤을 하시는것 같은데요.
우선 바늘을 달지않고 찌 맞춤 하시기에
원봉돌과 원줄에 좁쌀을 물리시지 않나 생각 되어집니다.
찌 맞춤이 끝나시면 바늘달고 목줄에 좁쌀을 물리실듯 사료됩니다.
저역시 현장 찌맞춤은 그렇게 합니다.
맞는지 모르겠습니다.^^
더 자세한것은 고수님들께서 답변해 주시길....^^
성재현님의 좁쌀봉돌채비와 반대로 인거 같구요..
그렇게 하셔도 무방하리라 사료 됩니다..
분활봉돌채비구요..
너무 예민한 채비는 찌올림이 방정맞을수 있고
헛챔질의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즐기는 낚시하시길...
낚시에 스승이없고,정도가없다하지만 초보일때는 기본낚시를 습작하시는것이 기본을 탄탄하게 만듭니다
우선 바늘부분은 빼고 말씀드리지요
민물과 바다모두 수중찌(봉돌)와 찌 사이에 작용한는 텐션(장력)은 무지하게 중요합니다
그 텐션의 정점이 어디에서 어떻게 무너지냐가 입질로 오는것이고요
봉돌은 미끼를 가라앉히고,찌를 세우는 기능만하는것이나니라, 찌까지의 통신을 전달하는 스위치 역활을하는것입니다
채비는 가장 단조롭게,부력은 최대한 이용,미끼는 좋아하고 맛있는것으로...
모두 말씀드릴려니 힘드네요
예로 바다낙시도 목줄에 봉돌을 두개달때와 하나일때 입수 속도가 틀려지듯 찌는 봉돌을 단조롭게 맞추세요
이론적으로는 좁쌀의 크기는 찌톱의 부력만 상쇄시켜주는게 이상적이나 수심이 깊거나, 대류 등이 있을때는 좀더 무거운
좁쌀봉돌을 쓰시는게 조과에 도움이 됩니다. 수심이 2M권 밑이거나 대류가 거의 없는 양어장, 하우스등은 예민한 채비가 필수겠죠
저도 채비부분에서 고심을 많이 했으나 실질적으로 떡밥낚시는 미끼운용술이 굉장히 중요한부분임을 잊지마시길 바랍니다!!
항상 안출 하시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