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종붕어라면 잘 올려줍니다.
물고기가 없으니 올려주질 못하지요.^^
너무 어렵게 생각하지 않아도 될 것 같습니다. 요즘은 잘 사용하지 않지만 예전엔 멍텅구리 낚시라는 것도 했는데 그건 아예 찌맞춤이란게 없었습니다. 바늘이 적게는 3개에서 5개정도가 달린 채비였는데 떡밥을 밤톨보다 크게 매달아 던져놓는 낚시였습니다. 그래도 고기 물면 찌가 벌떡 벌떡 일어났습니다.
어자원이 줄어드니 자꾸 낚시를 어렵게 접근하는 것 같습니다.
현장에 가셔서 붕어를 직접 잡아보시면 금방 자신감이 드실겁니다. 찌올림이 깔짝대는 건 찌맞춤 때문이 아니라 잡어인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손가락만한 붕어도 쭉쭉 잘 올려줍니다.
바늘까지다시면 예민해지고요
대물낚시일 경우 잔챙이입질을 피하기위해 약간더 무겁게합니다
바늘까지 달아서 찌를 맞추시면 채비가 조금 더 예민해질 수 있는 것은 맞지만
찌놀림의 입질을 제대로 못 읽고 대응할 경우, 헛챔이 빈번해져 피곤한 낚시가 될 수 있으며
봉돌이 바닥에 위치한 것이 아니라 봉돌은 살짝 떠 있는 상태에서 바늘이 바닥에 위치한 형국이기 때문에
바늘을 빼고 맞추는 것에 비해 찌올림은 시원하고 깨끗하지 못합니다.
찌맞춤은 항상 뜨거운 감자입니다. 어느정도의 방향성은 있으되 정답이 없기 때문이죠.
하지만... 노지낚시라면 무조건 바늘은 제외하고 지금 말씀하신 정도의 부력으로 찌맞추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물고기가 없으니 올려주질 못하지요.^^
너무 어렵게 생각하지 않아도 될 것 같습니다. 요즘은 잘 사용하지 않지만 예전엔 멍텅구리 낚시라는 것도 했는데 그건 아예 찌맞춤이란게 없었습니다. 바늘이 적게는 3개에서 5개정도가 달린 채비였는데 떡밥을 밤톨보다 크게 매달아 던져놓는 낚시였습니다. 그래도 고기 물면 찌가 벌떡 벌떡 일어났습니다.
어자원이 줄어드니 자꾸 낚시를 어렵게 접근하는 것 같습니다.
현장에 가셔서 붕어를 직접 잡아보시면 금방 자신감이 드실겁니다. 찌올림이 깔짝대는 건 찌맞춤 때문이 아니라 잡어인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손가락만한 붕어도 쭉쭉 잘 올려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