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에 카본에서 모노로 넘어온 1인 입니다..
낚싯대에 매기전 테스트 할겸 꽈배기매듭을 한후 지긋이 당겨보니 그냥 툭 나가버리네요..이번엔 팔자매듭으로 해보니 역시 툭...
생각보다 약하다는 생각이 듭니다..카본은 손가락이 아플정돈데..
원래 이런가요??
참고로 모노줄 1.2호(붉은줄). 박스엔 다이니마,헤라, 몽. 도사. 이런것들이 써있네요..
아~
깜박한 것이 있네요
매듭을 하셔서 당겨 보셨다면 2가지를 고려해 봐야 할듯 합니다
우선 매듭법에 따라 저하되는 결절강도가 다르고
같은 매듭법이라도 매는 사람의 숙련도와 조심성에 따라 강도가 다르게 나옵니다
두번째로는 원줄의 특성인데 이 부분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자료가 없어서 무어라 말씀을 드릴 수 없네요
저도 카본줄쓰다가 모노줄로 바꿨는데 사실 카본줄은 한번에 전체낚시대를 바꾸면 부담아닌 부담이 되고 거품도 많은거 같아 저렴한 모노줄로 바꾸게 되었는데 생각보다 질기고 강하더군요.
비싼 카본줄을 쓸필요성을 못느끼고 있습니다.
조구업체입장에서 보면 낚시꾼은 봉이지요. 우리스스로 현실적인 판단을 해야겠습니다.
저의 짧은 지식으로 필자님 같이 그렇게 얇은 줄은 않써보았지만
저같은 경우는 3호줄로 쓰는 편입니다..
모노줄 인장력은 최소 25센치 이상 되어야 재대로 발휘한다 들었습니다..
3호 원줄로 쓰지만 저도한 아직 목줄로 써보진 않았습니다..
3호 원줄 쓰고도 4짜까지 끄집어낸 경험이 있습니다..8자 매듭이구요.
모노줄에 색깔 들어간 것은 되도록 피하시고용
특히,헤라 라고 쓰여진 줄은 피하세요.
모노줄이라고 5000원이상하는 줄을 권장합니다.
그리고 월님이 가장선호하는 줄을 권장합니다.
검색하면 나옵니다.
안출하세요.
보통 카본줄이 더 강도가 높은 것으로 생각하고 저 역시도 카본줄이
강도가 높은 것으로 알았지만 몇일 전에야 사실을 알게 되었지요
카본줄의 장점은 내마모성과 신률이 좋다는 점이지
모노줄 보다 인장강도가 높지는 않습니다
조구없체들이 카본줄이나 모노줄 2~3호는 표기보다 다소 굵은 줄을 출시하고 있습니다
자신들의 줄이 강도가 좋다는 평판을 듣기 위한 행동이 아닐까 합니다
모노줄의 강도를 실측한 2012년 3월 자료를 살펴보면
Toray SS나 SE, 토너먼트 줄이 가장 강도가 높고 신률이 낮아 좋은 원줄로 보입니다
구입하신 모노줄이 카본줄 보다 약하다면
혹시 전시상품을 구입하신 것은 아닌지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모노줄은 햇빛에 장시간 노출시 카본줄보다 강도가 약해지는 특성이 있습니다
끝으로 카본코팅된 모노줄이라 표시된 제품들이 있는데
재료공학적으로 모노줄에 카본코팅은 불가능한 것이라 합니다
사실은 모노줄에 불소계 발수제를 코팅한 것으로
코팅의 목적은 모노줄의 특성상 물을 흡수하고 강도가 약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대부분의 모노줄이 이런 가공을 하여 출시 된다고 합니다
## 평가 결과가 좋은 원줄의 상표명을 공개한 것은 해당 업체와 관련이 있어서는 아니고
월척인들의 더 나은 조과를 위한 것으로 문제가 될 경우 삭제하도록 하겠습니다
Toray 토너먼트 1.25호 원줄이
실제치수 1.29호
인장강도 3.15Kg
신률 23.4로서
가장 우수한 결과를 얻었고
구입하셨다는 다이니마 제품은 실측치가 없네요
새로운사실을 알게되었네요~
댓글이 아니라 원글로 한번 올려주십사 부탁드려봅니다.
깜박한 것이 있네요
매듭을 하셔서 당겨 보셨다면 2가지를 고려해 봐야 할듯 합니다
우선 매듭법에 따라 저하되는 결절강도가 다르고
같은 매듭법이라도 매는 사람의 숙련도와 조심성에 따라 강도가 다르게 나옵니다
두번째로는 원줄의 특성인데 이 부분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자료가 없어서 무어라 말씀을 드릴 수 없네요
모노줄은 꽈베기 묶음할때 끝에 매듭을 한번 안만들어주면, 빠집니다.
끊어졌다고 하시는 부분이 돼지 꼬리처럼 꼬여있는지 확인하시고. 만약에 꼬여있다면 끊어진게 아니고 풀린것이니,
과베기 묶음하실때는 항상 끝에 매듭을 한번 지어주시고 꽈주시면 풀리면서 매듭부분에 딱 걸립니다.
뭐 끊어진거라면, 원줄을 다른것을 선택해보셔야 할것 같고요...
감사합니다
http://cafe.naver.com/hitena/
여기로 가보시면 라인에 대한 궁금증이 싹~ 가실겁니다.
낚시인의 주머니만 노리는 업체의 얄팍한 상술과 과장광고에 속지 맙시다!
비싼 카본줄을 쓸필요성을 못느끼고 있습니다.
조구업체입장에서 보면 낚시꾼은 봉이지요. 우리스스로 현실적인 판단을 해야겠습니다.
사실은 저도 그 카페 회원입니다.
모노줄과 카본줄 맞장뜨기로 같이 연결하여 당겨보면 모노줄이 이깁니다. 너무 저가의 모노줄이 아닌 그래도 이름이 조금있는 줄이라면 말입니다.
하지만 카본줄의 장점도 많습니다. 대물낚시때에는 거칠게 사용하게 되는데 내마모성이 좋은 카본줄이 절대 유리하구요...바람불때도 부유물에 의한 밀림현상도 적습니다. 단점은 비싸고 ... 너무 뻣뻣합니다.
매듭을 어떻게 하는가에 따라서 결절강도가 상당히 차이납니다. 1.2호줄은 너무 가늘어서 꽈베기매듭(일명 무매듭)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줄을 잡아주어야 하는데 ... 미끌려서 풀려버립니다.
자기가 낚시하는 스타일에 맞는 나만의 매듭법을 찾아서 사용하셔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말씀드린 그줄은 군계일학쇼핑몰에도 있네요..
물이나 침이 없이 하시면 매듭시 부터 줄이 부실해져요 당겨질때 힘과 열때문에 줄이 상합니다.
도래에 매듭할때도 마찬가지 입니다.
튼튼한채비 하여 줄터지는 현상을 방지하다록 하는것이 중요하다고 봅니다.
저같은 경우는 3호줄로 쓰는 편입니다..
모노줄 인장력은 최소 25센치 이상 되어야 재대로 발휘한다 들었습니다..
3호 원줄로 쓰지만 저도한 아직 목줄로 써보진 않았습니다..
3호 원줄 쓰고도 4짜까지 끄집어낸 경험이 있습니다..8자 매듭이구요.
단점이라면 대물붕어 질긴 밑걸림으로 원줄 가라야됩니다..축~늘어져 뷀뷀 꼬이기때문에 갈아주는 단점이있긴 합니다..